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러의 드라마 『돈 카를로스』와 『오를레앙의 처녀』는 모두 가톨릭 교회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에서 소재를 취하여 만들어진 작품이다.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다른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가톨릭 교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다. 『돈 카를로스』에서는 권력에 대한 욕망 속에서 도덕적으로 타락한 성직자의 모습과 개신교도들을 폭력적으로 박해하는 종교재판을 통해 가톨릭 교회에 대한 비판이 직접적으로 행해진다. 『오를레앙의 처녀』에서 교회 비판은 기독교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 가톨릭 교회의 중심 교리를 거부하는 형태로 나 타난다. 드라마에서는 무엇보다 성례와 종교재판을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신과 인간 사이에 성직자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다. 신의 표상 또한 인간을 심판하고 처벌하는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인간에게 구원의 은총을 베푸는 존재로 나타난다. 두 작품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간의 죄에 대한 용서와 처벌의 권리를 성직자들에게 부여하는 가톨릭 교회의 교리에 반대하며 신 앞에서 모든 신자의 동등함을 선언하는 실러의 개혁주의적 교회관이 인식된다.
        5,500원
        2.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빅토리아 시대의 찬송가 작가 프랜시스 리들리 하버갈의 『산악 처녀들』을 탐색한다. 이 작품은 12쪽짜리 칸타타로『표면 아래』(1874)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하버갈의 사후인 1881년에『스위스 편지와 알프스 시』에 다시 한 번 게재되었다. 이 글은 알프스 산맥 등반 경험을 글로 쓰곤 했던 하버갈의 삶을 고려할 때『산악 처녀들』은 기독교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적인 담론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알프스(영국 문화와는 거리가 먼)는 여성이 능동적 활동, 신체 능력, 자율, 연대, 영웅주의를 즐길 수 있는 분리주의 여성 세계를 떠올릴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이 상상의 세계에서 타락에 대한 기존의 유대- 기독교적 메타내러티브는 수정된다. 또한 더 이상 여성의 과오가 재앙이나 남성 구원자의 출현으로 이어질 필요가 없고, 신실한 여성들이 그들 스스로의 구원자가 되어 서로를 구원한다.
        6,400원
        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처녀 순교자 전설은 고대에서 중세시대에 걸쳐 가장 뛰어나고 인기 있는 문학 형태 중 하나였다.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처녀 순교자 전설의 비평가들은 대 체로 두 관점으로 나눠져 왔다. 많은 비평가들이 처녀 순교자 전설을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 억압과 폭력으로 읽어왔다. 그러나 다른 비평가들은 처녀 순교자 전설을 가부장적 억압에 대한 여성의 저항으로 해석해왔다. 이러한 두 비평관점 에 반대하면서, 필자는 처녀 순교자 전설을 젠더특정적인 관점에서 볼 수 없다 고 생각한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 필자는 『순결한 열정』의 다섯 처녀 순교자 전설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처녀 순교자의 아름다움은 젠더특정적인 세속적 문학 작품의 여주인공의 아름다움과 다름을 증명한다. 즉, 처녀 순교자의 아름 다움은 젠더를 초월한다. 또한, 처녀 순교자의 아름다움의 역할은 세속적인 작 품의 여주인공의 아름다움과 다르다. 세속적 작품의 여주인공의 아름다움이 남 성의 욕망을 자극하지만, 처녀 순교자의 아름다움은 신의 영광을 위해 쓰인다.
        5,200원
        5.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처녀생식은 관심 개체의 생식세포에서 반수체 유전물질을 이배체로 복원시킴으로써, 요구되는 특정형질을 다음세대에 거의 소실 없이 전달할 수 있다. 쥐의 처녀생식을 통한 난모세포의 활성화 는, 앞선 논문 들에서 알려진 바, strontium에 가장 유의적으로 그 비율이 높다. 그러나 기존의 strontium의 유의성을 살펴보고자 했던 실험의 경우는, 배양될 배아들을 단일 단계만의 배지에서 실험을 진행한 사례가 다수이다. 따라서, 본 실험은 활성화된 쥐의 parthenotes의 배반포까지의 발 달률 및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R1ECM배지에서 KSOM배지로의 두 단계 배양 체계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이미 보고된 glucose의 농도에 따른 배아의 발달률 변화와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첨가로 인한 발달률 증가가, 단일 단계 배양이 아닌 두 단계 배양 체계에서도 유의적 결과를 보이 는가를 살펴보았다. R1ECM배지에서 One cell embryo 까지의 배양을 진행했으며, 이후 3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KSOM만을, modified KSOM (high glucose)을, KSOM+EGF을 사용하여 각각 2, 4, 8-cell과 배반포까지의 발달률을 비교하였다. 각 그룹은 통제집단 (KSOM으로의 배지 교체를 하지 않음.)과 비교했을 때, 모두 유의적 발달률을 보였다. 특히, KSOM+EGF 집단이 가장 특기할 만한 결과치를 보였다. 다만, glucose의 농도를 달리한 KSOM 집단은, KSOM만을 사용한 집단과 큰 차 이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KSOM 배지 배양에서 glucose의 농도 변화는 오히려 배지의 전체 농도의 지나친 증가를 야기한 것처럼 보였는데, 이는 좀 더 세밀한 조절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실험에 이용된 암컷 쥐의 난모세포는 hCG 주입 후 16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채취되었는데, 본 실 험과 hCG 주입 이후의 경과된 시간과의 연관성은 향후의 추가적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쥐 난 모 세포의 처녀생식 활성화를 위해 cytochalasin B와 cycloheximide가 첨가된 1.25 mM의 strontium을 사 용했는데, 해당 시약에서 cytochalasin B의 작용을 통해 세포 분열의 진행 단계에서 arrest 현상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tamin or mineral supplements on the conception rates of dairy heifers when replacing the last injection of GnRH with hCG in ovsynch protocol (experiment 1) and also to investigate whether the estrus synchronization treatment in the heifer stage affects the conception rates after 1st parturitio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50 heif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20 heifers each in groups 1 and 2, and 10 in group 3. All three groups were treated with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GnRH on day 0 (day 0 = the day of program start), PGF2α on day 7 and hCG on day 9, and were inseminated on day 10, 12~16h after hCG injection. In group 1 (vitamin group), the heifers were treated with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5 ml of vitamin-ADE 500Ⓡ, and group 2 (mineral group) was treated twice with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30 ml of mineral supplement-LAPTOVETⓇ on a one-week interval beginning on the day of hormone treatment (day 0 and day 7 respectively). Group 3 (control) was treated only with hormones. Pregnancy diagnosis was performed by ultrasonography through a rectal probe. First service conception rates (FSCR) and average services per conception (ASPC) were recorded for all subjects. Of the total 50 heifers, 6 (2 in group 1, 3 in group 2, and 1 in group 3) heifers were eliminated due to accidents during experiment 1. FSCRs were 58.8% (10/17), 66.7% (12/18) and 44.4% (4/9) in groups 1, 2 and 3, respectively. ASPCs were 1.53±0.72, 1.27±0.59 and 1.63±0.74 in groups 1, 2 and 3,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relatively good results (higher FSCR and lower ASPC) were obtained in both group 1 and 2. In experiment 2, 11 primiparous cows from group 2 of experiment 1 in heifer stage which had been treated both with the hormones for estrus synchronizing and mineral supplements (ES group), and 12 primiparous cows treated only with minerals (non-ES group)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strus synchronization program on conception rates after 1st parturition. Following the examination, postpartum ASPCs were 1.55±0.82 and 2.17±1.47 in ES group and non-ES group, respectively. The postpartum average days open (ADO) were 116±56 and 197±93 in ES group and non-ES group,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sirable results (lower ASPC and shorter ADO) were found in ES group after 1st parturiton. In conclusion, experiment 1 indicates that vitamin or mineral supplement with ovsynch protocol may have some positive effect on FSCR and ASPC of dairy heifers, and in experiment 2, ES program in heifer stage had a positive effect on ASPC and ADO following 1st parturition.
        4,000원
        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처녀치마는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다년초로서 4월부터 아름다운 적자색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개화기간이 길며, 잎이 상록성이기 때 문에 분화용, 정원용 및 조경용 식물로서 유망한 특산식물이다. 따 라서 자생 처녀치마의 엽삽번식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를 얻고자 잎 부위, 삽목용토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잎을 상 • 하로 1/2 절단하여 윗부분(Upper half)과 아랫부분(Lower half)을 이용 하였고, 전체 잎을 이용한 처리구(Vertical), 잎을 세로방향으로 1/2 절단하여 이용한 처리구(Half horizontal), 그리고 자르지 않고 전체 잎을 그대로 옆으로 식재한 처리구(Horizontal)로 구분하였다. 삽목용토 실험을 위해 원예용상토(Horticultural Media), 마사토(Decomposed gra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피트모스(Peatmoss) 및 펄 라이트(Perlite)를 단용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삽수조제 방법에 따른 잎 부위별 실험에서, 전체 잎을 기부만 절단하여 이용한 처리구 (Vertical)와 잎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옆으로 눕혀서 식재한 처리구 (Horizontal)에서 각각 69%, 66%의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이는 잎의 선단부위와 기부가 포함되었을 때 발근이 잘 된다는 것을 의 미한다. 삽목용토에 따른 발근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버미큘라이트, 마사토 단용 처리구에서 각각 94%, 87%의 높은 발근율 을 보였고 뿌리생육도 좋았다. 또한 발근이 잘 된 처리구는 잎의 기부에서 신초가 형성되었다.
        3,000원
        9.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 ethanol에 의한 처녀발생유가 및 체외수정된 돼지 난포란을 CZB와 CRlaa 에서 배양하여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CZB에 각기 다른 농도의 cholesterol (0g/mL, 2g/mL, 5g/mL, 10g/mL)을 첨가한 후 체외수정된 돼지 난포란을 배양하여 배발달률을 조사하였다. CZB 구는 BOEC와 공배양하였다. 처녀발생유가 48시간 후 2~8세포기로 발달한 난자의 비율은 CZB 구가 32.2%, CRlaa구가 16.8%였으며
        4,000원
        11.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development of parthenogenetic embryo was examined after ethanol treatment of follicular oocytes matured in vitro for 42, 48, 54 and 60h in the pig. The follicular oocytes were matured in TCM 199 containing 15% FCS and gonadotrophins in an atmosphere of 39 5% . The cumulus-free oocytes were activated by 10% ethanol treatment in M2+4mg /ml BSA for 10 min. The ethanol-activated oocytes were washed and further cultured in TCM199+20%FCS containing granulosa cell monolayer. Maturation rates at 42, 48, 54 and 60h of IVM were 75.0, 86.5, 81.6 and 87.9%, respectively. Thus the oocytes maturated in vitro for longer periods did not improve nuclear maturation much. Pronuclear formation rates at 18h post-activation in ethanol-activated oocytes were 21.9, 25.0, 47.4 and 32.6%. The cytoplasmic maturation leading to pronuclear formation upon activation increased when the I VM period was extended from 42 to 54h. When the activated oocytes were cultured for 96~120h to analyse early development of the activated oocytes, the rates of embryonic development upto 5~8 cell were 5.3, 5.8, 12.0 and 11.7% among the cultured embryos. The result indicate that earlier development of activated porcine occyte is dependent on the duration of oocyte maturation, and that better development could be obtained from the oocyte matured for 54h.
        4,000원
        13.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tal thirty of flushing were attempted on day 4 to 15 of estrus cycle with S heifers and 9 cows by nonsurgical method. The flushed or recovered rate among flushings was 86.7% (26/30) or 88.5% (23/26),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overed rate between heifers (85.7%,6/7) and cows (89.5%, 17119). The embryo was recovered on day 4 to 15 of estrus cycle from the donors in natural heat without any technical difficulties.The I2FG Foley catheter used for pubertal heifers had sometimes plug in it with uterine mucus during flushing of uterine horn. But the problem could be overcomed by pumping the catherter with fluthing solution or by changing the catheter. Three normal embryos were recovered from 3 pubertal (10-11 month old) heifers. The rate of normal and abnormal eggs was 60.9% (14123) and 39.1% (9/23), respectively. The abnormal eggs were on degenerating except one unfertilized egg and were mostly recovered from heifers or cows flushed consecutively during the estrus cycle. The developmental states of normal embryos were l6-cells on day 5, 32-cells on day 6, compacted-morula on day 7, early-to expanded-blastocyst on day 8-to 9, and hatching-to hatched-blastocyst on day 10 to 11 of estrus cycle. The stage of embryos on day 8 to 10 showed varities among donors. On day 8 to 9 of estrus cycle hatching-blas tocyst was recovered from some donor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