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영(造營) 특성으로 본 익산 함벽정원림(涵碧亭園林)의 전환기적 양상1 KCI 등재

A Study on the Transitional Period Characteristics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Hambyokjeong-Garden, Ik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표정(瓢庭) 송병우(宋炳宇, 1874∼1944)가 조영한 익산 함벽정원림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원림의 특성과 전환기적 조영 양상을 추적한 것이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삶과 정신세계의 소중한 결정체였던 누정문화가 일제강점기라는 정치·문화적 과도기에 어떻게 계승, 변동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전환기적 시대 문화가 지역의 근대 정원문화 담론(談論)에 어떤 역할을 끼쳤는지를 조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함벽정의 입지와 규모 그리고 기능과 구조를 보았을 때 함벽정 일대는 별서원림으로 서의 성격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함벽정 지붕의 소재인 붉은색 자기와(磁器瓦), 기단·초 석·기둥의 형태, 계단 입구부의 장식성, 공포결구 수법, 사각기둥과 사분합의 문비(門扉) 그리고 화려하고 다채로운 단청과 지붕 합각부의 ‘쌍희자(雙喜字)’ 길상문 등은 일제강점기 지역의 경제 강자가 보여줄 수 있는 전환기적 의장기법의 양상으로 파악되었다. 공간 및 시각구성 그리고 시설 배치 상의 전환기적 설계양상으로는 정자의 규모 및 암대(巖臺)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축산(築山), 적극적인 읍경(挹景)의 조망처리기법 그리고 급경사지역에 형성된 5단의 화계(花階)에 적용된 돌쌓기기법을 들 수 있다. 또한 함벽정원림 조성 이후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상황 아래 일제의 수리사업에 동조와 유지관리 과정에서 행해진 양버즘나무, 왕벚나무 등의 대체식재나 보완식재는 전통식재의 규범 혼란 속에서 나타나는 식재상의 전환기적 양상으로 추찰된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tudy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al aspects of Hambyeokjeon garden in Iksan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field survey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persons based on Hambeokjeon Pavilion which was built in Ik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This research looks into how Nujung culture, a definition of lives and spirits of Joseon Dynasty scholars, was inherited and changed by experienc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transitional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highlights how the transitional period culture has affected regional discourses on garden culture in modern society. In view of Hambyeokjeong garden's location, scale, and function and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is area has a distinctive nature. In addition, the red porcelain,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roof of Hambyungjeong, the shape of the base, the cornerstone, and the pillars, the decorativeness of the entrance to the stairs, the terror ending technique, the square and the quadrant, and the colorful and colorful mono and roofs Bu Sang's ‘Ssangheeja’ Gil Sang-moon was identified as an aspect of a transitional rigging technique that could be demonstrated by an economic strong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terms of spatial and visual composition and transitional design in the arrangement of facilities, large-scale livestock farming by utilizing the size of the sperm and rock formation, and the landscape processing technique, which was extensively used for the landscape view by pulling scenery of Wanggung reservoir and five stages of flower systems formed in steep slopes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in the wall garden, the large-scale substitutes and complementary plants such as Platanus occidentalis and Prunus yedoensis are supplemented with the traditional plant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the Japanese repair busines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is inferred as part of the transitional phase of the collapse of the norm.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범위
    2.3 조사방법
    2.4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함벽정 건립과 조영의미
    3.2 함벽정원림의 입지 및 조영 특성
    3.3 전환기적 설계특성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노재현(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Jaehyun R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임민환(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 | Minhwan 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