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젓갈 및 젓갈 대체 재료 첨가가 김치의 향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the Volatile Compound Profiles of Kimch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4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산업식품공학 (Food Engineering Progress)
한국산업식품공학회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는 김치에 사용되는 젓갈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천연 소재들(고기추출물, 해산물추출물, 채소추출물)이 김치의 휘발성 향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김치가 발효·숙성되면서 원재료에서 유래되는 황화합물이나 aldehyde류는 감소하고, alcohol류와 acid류 등과 같은 발효산물이 증가하여 김치의 휘발성 향미를 이루었다. 발효·숙성 28일째에 젓갈을 첨가한 김치에서 휘발성 물질 중 acetic acid가 가장 낮은 비율(4.90%)로 검출되었으며 채소추출물(5.39%), 대조구 (6.28%), 해산물추출물(6.47%), 고기추출물(8.08%)을 첨가한 김치 순서로 acetic acid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Acetic acid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산도가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는데, 젓갈을 첨가한 김치는 숙성 28일에 가장 낮은 산도와 가장 높은 pH(산도 0.80, pH 4.37)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채소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산도 0.84, pH 4.32), 고기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산도 0.89, pH 4.31), 대조구(산도 0.93, pH 4.27), 해산물 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산도 0.97, pH 4.23) 순서였다. 산도와 pH의 변화 그리고 발효산물인 acetic acid나 alcohol의 함량 비율로 볼 때, 김치에 첨가되는 젓갈 및 젓갈을 대체한 부재료는 발효·숙성에 시간적인 차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담금 직후 (발효·숙성 전)에는 각각의 다양한 부재료로부터 유래되는 향미물질이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나, 김치의 휘발성 성분의 구성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유사한 패턴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내며 부재료에 대한 관능적 영향이 줄어들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젓갈과 젓갈을 대체하기 위한 천연 소재들은 초기 김치 담금시에 관능적 특 성에 영향을 주고 발효·숙성이 진행되는 속도에 영향을 줄 뿐, 최종 김치의 기호도에 영향을 주는 향기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Food safe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ttract the consumer’s interest. Kimchi was fermented with natural ingredients that are expected to replace the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jeotkal), and their effects on volatile aroma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jeotkal and its substitutes to kimchi affected the fermentation speed; however, with the progression of fermentation, sulfur-containing compounds and aldehydes decreased, and fermented products, such as alcohols and acids, increased. The acetic acid level was the lowest in kimchi fermented with jeotkal on the 28th day. As the ratio of acetic acid increased, the acidity increased and pH decreased. Additionally, jeotkal added to kimchi and its substitutes (meat, seafood, and vegetable extracts) that replace jeotkal provide a time difference in fermentation, but as a result, the sensory differences were not affected. Therefore, immediately after preparing kimchi (before fermentation and aging), flavored substances derived from various components may have exerted a sensual effect, but the composi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kimchi changed following fermenta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sensory effect of the auxiliary components was decreased upon fermentation. These results could support a replacement of the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jeotkal) in kimchi without a sensory differenc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젓갈 대체 원료의 제조
    배추김치 제조
    pH 및 적정산도 측정
    휘발성 성분 분석
    관능검사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pH 및 산도의 차이
    휘발성 향기 성분의 차이
    원료 유래 휘발성 성분
    발효 중 생성되는 휘발성 성분
    주성분 분석을 통한 발효·숙성 기간에 따른 휘발성 성분 변화
요 약
References
저자
  • 안선정(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 Sun-Choung Ahn (Dept. of Food Science & Culinary Arts, Shin Han University)
  • 권태은(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Taeeun Kwon (Dep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Sej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