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7

        161.
        200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16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골조의 안정과 구조적인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2차 효과에 의한 기하학적 비선형 문제, 세장비가 작은 부재 단면의 소성, 보-기둥 접합부의 상태, 그리고 부재 내부에 발생되어 있는 기하학적 초기결함을 고려한 복합적인 비선형 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철골조 구조물의 거동을 근사적으로 예측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비선형 해석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상호관계를 파악되기 위해서 각 해석에 따른 좌굴하중과 거동을 비교 검토한다.
        4,200원
        163.
        199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6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충격이나 폭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파와 균열의 상호작용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수치해법으로는 응력파의 물리적 특징을 잘 재현시켜주는 Bicharacteristic Method가 사용되었다. 충격하중에 대한 동적응력확대계수 KI(t)가 수치해석적으로 시뮬레이션된 코오스틱곡선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Kalthoff의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와 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균열 주변에 구멍이 존재하는 경우에 응력파가 구멍의 효과에 의해 균열의 응력확대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과 비교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4,000원
        16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puterized visual database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precedents has just begun in some research institutes in the world. In Korea the first visual database has shown its testl version by S architectural design firm in september 1996.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scusses the historical contexts and the recent computerization cases, the traits, the uses and the limits of architectural visual database system of precedents. The forms and contents of data fields in two cases are compared with a focus on the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traits of each data entry. Compared to the KIA format, the S database has better performance for architectural design reference because it collects more pictures and drawings and larger texts for the field of architectural chracteristics. But this latter also is constrained by its capacity of memory and so lacks the reciprocity of the DO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Harvard University. A visual database system which has more flexible allocation of memory and respondent with the users is yet to be prepared. But this system also should be maintained by some experts in architectural history, theory and criticism, because their knowledge is essential for selection of precedents and revision of the data description. A full-fledged electronic visual database in architecture will not only save much effort for the architect, but also will change the architects' design behavior. Nevertheless this does not mean the automatic promotion of architects' creativity.
        4,500원
        167.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early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in Thai, during the period from 1782(King Rama 1) to 1934(King Rama 7). Thai started tn form a connection with western nations from the late 18C, founded the Bangkok Dynasty. Since then, Thai was increasingly influenced by western civilization and this trend included an increasing influence of western architecture. In this paper, the centeral objective is to observe the architectural 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King Rama 1(1782-1809) to King Rama 7(1925-1934). Thi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King Rama 1 to King Rama 3(1824-1851), Thai architecture showed a tendency to follow the preceding traditional example and to imitate Chinese architecture. The second period is from King Rama 4(1851-1868) to King Rama 5(1868-1910). During this period, Thai architectural design was increasingly influenced by western concepts, specially European Neo-classicism Style. During the third period, from King Rama 6(1910-1925) to King Rama 7(1925-1934), Thu had been enjoying extensive commerce with western nations. The grea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during this reign were apparent in the construction of public utilities and facilities. These buildings were designed by western architects. At this time, modern architectural concept of western was introduced.
        4,900원
        169.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70.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velop an automatic irrigation control of system for effective water management in greenhouse. The automatic irrigation control system is composed of an IR-RED optical sensor in tensiometer and an One-chip micro controller.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 1. A practical IR-RED optical sensor in tensiometer, which shows the starting point of irrigation, was developed. 2. The automatic irrigation system with the optical sensor and One-chip micro controller was developed and also designed to be able to combine with the control system for temperature, curtain opening, etc. 3. A multiple irrigation control system for several greenhouses were suggested. 4. The results of the system test with the driving program for automatic water management were excellent.
        4,200원
        171.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① 미세균열의 길이(N=230), ② 미세균열의 간격(N=150) 및 ③ 압열인장강도(N=30)를 이용하여 쥬라기의 합천화강암에서 발달된 여섯 결(R1~H2)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섯 결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이 들 세 인자에 대한 18개의 누적그래프를 상호 대비하였다. 분석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9개 계급구간으로 구분한 압열인장강도값(kg/cm2)의 분포율(%)은 60~70(3.3) < 140~150(6.7) < 100~110ㆍ 110~120(10.0) < 90~100(13.3) < 80~90(16.7) < 120~130ㆍ130~140(20.0)의 순으로 증가한다. 각 계급구간의 빈도수에 따른 강도의 분포곡선은 이봉 분포를 보여 준다. 둘째, 길이, 간격 및 인장강도에 대한 그래프를 H2 < H1 < G2 < G1 < R2 < R1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간격과 길이에 대한 두 그래프 사이의 지수차(λS-λL, Δλ) 는 H2(-1.59) < H1(-0.02) < G2(0.25) < G1(0.63) < R2(1.59) < R1(1.96)(2 < 1)의 순으로 증가한다. 관련 도면으로부터, 상기한 지수차의 증가와 함께 인장강도에 대한 여섯 그래프는 점차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직의 균일도를 지시하는 인장강도에 대한 그래프의 음의 기울기(a)는 3번 결((H1+H2)/2, 0.116) < 2번 결 ((G1+G2)/2, 0.125) < 1번 결((R1+R2)/2, 0.191)의 순으로 증가한다. 셋째, 각 결(R1ㆍR2(1번 결), G1ㆍG2 (2번 결), H1ㆍH2(3번 결))을 구성하는 두 방향에 대한 그래프 사이의 배열순을 비교하였다. 길이와 간격에 대한 두 그래프의 배열순은 상호 역순이다. 간격과 인장강도에 대한 두 그래프는 배열순에서 서로 일관성이 있다. 길이와 간격에 대한 지수차(ΔλL 및 ΔλS)는 1번 결(R, -0.08) < 2번 결(G, 0.14) < 3번 결(H, 0.75) 및 3번 결(H, 0.16) < 2번 결(G, 0.23) < 1번 결(R, 0.45)의 순으로 각각 증가한다. 넷째, 미세균열의 길이, 미세 균열의 간격 및 인장강도의 분포 특성을 보여 주는 여섯 그래프에 대한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길이의 범위에 따라, 여섯 그래프는 G2 < H2 < H1 < R2 < G1 < R1(<7mm) 및 G2 < H1 < H2 < R2 < G1 < R1(≤2.38 mm)의 순을 보여 준다. 간격에 대한 여섯 그래프는 누적 빈도수 12 및 간격 0.53mm에 해당하는 지점 부근에서 병목구간을 형성하여 서로 교차한다. 다섯째, 여섯 결을 대변하는 각 파라미터의 여섯 값을 증 가 및 감소하는 순으로 배열하였다. 길이와 관련된 8개 파라미터 중에서, 총 길이(Lt) 및 그래프(≤2.38 mm)는 배열순에서 상호 부합한다. 간격과 관련된 7개 파라미터 중에서, 간격의 빈도수(N), 평균 간격(Sm) 및 그래프 (≤5 mm)는 배열순에서 상호 일관성이 있다. 배열순의 측면에서, 간격에 대한 상기 세 파라미터의 값은 그룹 E에 속하는 최대인장강도와 일관성이 있다. 표 8에서와 같이, 이들 파라미터 값의 배열순은 여섯 결 및 세 채석면에 대한 사전 인식에 유용하다.
        172.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lemental compositions of selected edible wild plant species, Hemerocallis fulva, Allium victorialis, Syneilesis palmata and Ligularia fischeri. The samples were dried, crushed, and subjected to microwave-assisted digestion. The macro and micro elements were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y (ICP-OES), and ICP-mass spectrometry (ICP-MS), respectively. The macro elements in the analyzed species decreased in the order K Ca P Mg S Fe Zn Na, and the micro elements ˃ ˃ ˃ ˃ ˃ ˃ ˃ followed the order Mn˃Ba˃Rb˃Cu˃Ni˃Ga˃Li˃Cr˃V˃Co˃Be˃Se. The percentage ratio of calcium content for potassium in the samples was 42.9% (A. victorialis) > 42.4% (S. palmata) > 33.8% (L. fischeri) > 25.3% (H. fulva). The calcium content was 13.7, 10.9, 6.4, and 2.9 times higher than the phosphorus content in S. palmata, L. fischeri, A. victorialis, and H. fulva, respectively (p<0.05). Manganese was the most predominant among the trace minerals, and it followed the order of A. victorialis > H. fulva > L. fischeri > S. palmata. In general, these wild plants are richer in calcium as compared to other common vegetables, and hence can be considered a good source for calcium that is lacking in Korean food products.
        173.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Artemisia annua L. after extraction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nd solid-phase micro extraction (SPME)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Via SDE and SPME processes, 79 (1,254.00 mg/kg) and 39 (488.74 mg/kg) compound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The compounds extracted by SDE included 27 alcohols, 13 aldehydes, 22 hydrocarbons, 3 esters, 12 ketones, 1 oxide and 1 N-containing compound, on the other hand, using the SPME method, 7 alcohols, 5 aldehydes, 1 ester, 18 hydrocarbons, 7 ketones, and 1 oxide were extracted.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Artemisia annua L. isolated by the two methods were caryophyllene oxide, -caryophyllene, camphor, -selinene, -muurolene, 1,8-cineol, (E)-pinocarveol and pinocarvone. β β γ The sesquiterpene named caryophyllene oxide was the most abundant volatile flavor compound with relative contents of 234.16 mg/kg and 195.44 mg/kg obtained by the SDE and SPME methods, respectively. Among the identified volatiles, sabinene, β-pinene, α-terpinene, γ-terpinene, yomogi alcohol, myrtenol, (Z)-nerolidol, p-cymen-8-ol and eugenol were detected by the SDE method only while (E)-anethole and α-cubebene were detected by the SPME method on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vary between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Mor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using the SDE method than the SPME method.
        17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천재는 남명학이 완성된 곳이자 제자들과 강학한 본산이다. 산해정이나 뇌룡정과는 달리 산천재는 남명과 특별한 연고가 없는 곳에 지은 건물이다. 남명은 그 터를 잡기 위해 11번 이상 지리산의 이곳저곳을 답사하고서 결국 『주역』 「대축괘」의 뜻을 취하여 자리를 잡았으며, 동시에 지리산의 모습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위치를 택한 것이기도 하였다. 남명의 주요 제자들은 대부분 산천재에서 배웠으며, 그 교육의 효과는 후일 임진왜란을 당했을 때 가장 극명하게 드러났다. 수많은 제자들이 의병장으로 궐기하여 구국의 선봉에 섰기 때문이다. 산천재는 남명 사후 20년 만에 임진왜란으로 1592년 소실되었고, 225년 후인 1818년에 복원되었다. 산천재의 중건은 정조 때부터 있었던 남명 선양 사업의 결실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본다면 제2차 남명 선양사업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광해군 당시에 있었던 서원의 사액 및 영의정 추증 그리고 문묘종사운동이 제1차 선양사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산천재가 폐허로 남아 있던 시기 그곳을 지나간 인물들이 남긴 기록에서 우리는 경의검에 대한 새로운 정보 및 사성현유상과 남명 고택에 대한 정보도 접할 수 있었다. 남명이 손수 심었다는 소나무가 많이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1818년 복원한 산천재에서 약 반세기 후 1871년 덕천서원이 훼철되고 몇 년 뒤 곧 사성현유상을 모시고 남명을 배향하면서 채례를 계속 이어 나갔다는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용암서원이 훼철되고 1883년 무렵에 진행된 뇌룡정 중건과도 일맥상통 한다. 본고에서 살펴본 가장 중요한 점은 바로 남명학의 계승과 선양사업이 시기별로 몇몇 열성 인사들에 의해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움직임에는 또한 늘 본손들 중에서도 정성을 기우리는 사람들이 동참하고 있다. 남명학파는 비록 그 세력은 미약했지만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고, 산천재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17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소고는 그레고리오스가 완전의 개념을 플라톤주의의 이해인 정적인 것으로서가 아니라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으로 이해했을 뿐만 아니라 기독 론을 기초로 한 구원론적 삶의 과정(soteriological life as epektasis)이라고 해석함으로서 기독교화 했다는 것을 검증한다. 그레고리오스 이전까지 완 전이란 단어는 주로 신에게 적용되는 개념이었다. 완전이란 개념에 대한 고전적 이해는 플라톤주의에서 선 그자체로 볼 수 있는데, 플라톤주의는 선 그자체로서 완전을 신에게 적용하며 신은 변화될 수 없기에 완전도 변 화될 수 없는 정적인 것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은 고전적 개념이 4세기 후 반에 들어서면서 고전적 이해로부터 한 발자국 더 나아가게 되고, 이 개념 의 고전이해에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변화는 닛사의 그레고리오스 (Gregory of Nyssa)가 완전에 대한 철학적인 분석과 함께 자신의 인간 이 해에 완전개념을 적용하면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이 지속적인 변 화로서 완전한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인간 스스로가 충족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기초로 해야 지속적인 덕을 추구하는 완전한 삶이 가능하다고 보았고, 이와 같이 완전을 성서와 기독론을 중심으로 이해하며 기독교화 했다. 그레고리오스의 완전에 대한 인류학적 그리고 기독론적 접근은 완전 개념에 대한 고전적 이해에 변형을 가져왔고, 이런 변형은 그의 새로운 영 성신학 형성과 후대 영성신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레고리오스는 완전 을 단지 철학적으로만 이해한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개념으로 특히 기독 론과 구원론적 입장에서 재해석했다. 그에게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그리스 도 안에서 지속적인 성장과정이고, 이것은 그리스도를 기반으로 가능한 구 원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의 완전에 대한 이해는 고전문화의 변형과 기 독교화된 개념인 것이다.
        176.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isted string actuators (TSAs) are tendon-driven actuators that provide high transmission ratios. Twisting a string reduces the length of the string and generates a linear motion of the actuators. In particular, TSAs have characteristic properties (compliance) that are advantageous for operations that need to inter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This complian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robust to disturbance in force control, but it is disadvantageous for precise control because the modeling is inaccurate. In fact, many previous studies have covered the TSA model, but the model is still inadequate to be applied to actual robot control.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odified variable radius model of TASs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 that the modified variable radius model is correc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variable radius string model. In addition, the e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TSA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177.
        201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in yuzu and kumquat cultivated in Korea for comparison with those in lemon and lim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itrus fruits (yuzu, kumquat, lemon and lime) were extracted for 3 h with 100 mL redistilled n-pentane/diethylether (1:1, v/v) mixture, using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pparatus (SDE).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s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aroma compounds analyzed were 104 (3,713.02 mg/kg) in yuzu, 87 (621.71 mg/kg) in kumquat 103 (3,024.69 mg/kg) in lemon and 106 (2,209.16 mg/kg) in lime. Limonene was a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 in four citrus fruits. The peak area of limonene was 35.03% in yuzu, 63.82% in kumquat, 40.35% in lemon, and 25.06% in lime. In addition to limonene,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γ-terpinene, linalool, β-myrcene, (E)-β-farnesene, α-pinene and β-pinene in yuzu, and β-myrcene, α-pinene, (Z)-limonene oxide, (E)-limonene oxide, geranyl acetate and limonen-10-yl acetate in kumquat. Furthermore, γ-terpinene, β-pinene, β-myrcene, geranyl acetate, neryl acetate and (Z)-β-bisabolene in lemon and γ-terpinene, β-pinene, (Z)-β-bisabolene, neral, geranial and neryl acetate in lime were also dete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our citrus fruits was different. Also, yuzu and kumquat are judged to be worthy of use alternatives for lemon and lime widely used in the fragrance industry.
        17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of the guidance line extraction for autonomous agricultural robot based on vision camera in paddy field. It is the important process for guidance line extraction which finds the central point or area of rice row. We are trying to use the central region data of crop that the direction of rice leaves have convergence to central area of rice row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of the guidance line. The guidance line is extracted from the intersection points of extended virtual lines using the modified robust regression. The extended virtual lines are represented as the extended line from each segmented straight line created on the edges of the rice plants in the image using the Hough transform. We also have verified an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experiments in the real wet paddy.
        179.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ulp and peel of orange (Citrus sinensis)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i)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 (SDE) using a solvent mixture of n-pentane and diethyl ether (1:1, v/v)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total volatile flavor contents in the pulp and peel of orange were 120.55 and 4,510.81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in the pulp and peel of grapefruit were 195.60 and 4,223.68 mg/kg, respectively. The monoterpene limonene was identified as the major voltile flavor compound in both orange and grapefruit, exhibiting contents of 65.32 and 3,008.10 mg/kg in the pulp and peel of orange, respectively, and 105.00 and 1,870.24 mg/kg in the pulp and peel of grapefruit, respectively. Limonene, sabinene, α-pinene, β-myrcene, linalool, (Z)-limonene oxide, and (E)-limonene oxide were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both orange and grapefruit. The distinctive component of orange was valencene, while grapefruit contained (E)-caryophyllene and nootkatone. δ-3-Carene, α-terpinolene, borneol, citronellyl acetate, piperitone, and β-copaene were detected in orange but not in grapefruit. Conversely, grapefruit contained β-pinene, α-terpinyl acetate, bicyclogermacrene, nootkatol, β-cubebene, and sesquisabinene, while orange did not. Phenylacetaldehyde, camphor, limona ketone and (Z)-caryophyllene were identified in the pulp of both fruits, while α-thujene, citronellal, citronellol, α-sinensal, γ-muurolene and germacrene D were detected in the peel of both fresh fruit samples.
        180.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인 입자 기반 유체 폭발 시뮬레이션과는 다르게 탄성을 지닌 유체의 폭발을 시뮬레이션 하는 경우 물질의 사실적인 변형을 표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특수한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 입자 기반의 점탄 성체 연구에서는 물체가 힘을 받아 압축이 되었을 때 한계치 이상의 힘을 받으면 변형되는 최대 변형에 너지 이론과 물체의 부피가 일정 수준 이상 줄어들었을 때 변형되는 최대 전단응력 이론을 이용하여 진 흙이나 페인트 같이 소성변형을 하는 물체의 변형을 다루었지만 실리콘이나 탄성이 강한 고무줄과 같이 한계치 이상의 힘을 받았을 때 여러 부분으로 쪼개지는 취성변형을 표현하지는 못하였다. 본 논문은 물 체가 받은 힘을 변형된 길이나 부피로 표현한 기존의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과 달리, 힘을 받았을 때 물 체에 발생하는 최대응력이 물체의 파단응력에 도달하였을 때 항복이 일어난다는 취성 변형에 적합한 쿨 롱-모어 이론을 제안한다. 쿨롱-모어 이론을 적용한 강한 탄성을 가진 반유동체가 힘을 받은 경계면이 파단응력에 도달하였을 때 물체가 현실감 있게 파괴되는 과정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유동체 가 지면에 부딪혀 힘을 받았을 때 쿨롱-모어 이론을 적용하여 물체의 파괴를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