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1

        262.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다공성막을 통한 투과성분의 투과속도와 투과 조성을 on-line방식으로 측정할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가교폴리비닐알콜막을 통한 물의 투과증발실험을 행하여 이 장치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투과증발실험에서 투과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데 15분미만의 시간이 걸렸으며 측정을 20분이내에 마칠 수가 있었다. 또한 측정된 투과속도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의 방법대로 액체질소에 의해 투과물을 일정시간 응축시켜 투과속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이를 장치의 record에 표시된 투과속도와 비교한 결과 그 오차가 pm2% 이내로 일치하였다. 측정된 시간에 따른 투과속도 곡선으로 부터 3가지 종류의 확산계수 Dslope, D1/2, Dt를 구하였고 이들이 문헌치와 비교한 결과 비교적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on-line 방식으로 모든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방법, 즉 투과물 응축, 가열, 무게측정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험오차를 줄일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투과특성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투과 장치를 사용하여 액체상태의 feed 투과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63.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6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269.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71.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ypes of relative frequency and delay interval of knowledge of results(KR) on motor skill learning indepen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e effective types of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for motor learning. Forty-six healthy subjects (15 female, 31 male) with no previous experience with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The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0 to 29 years (mean=23.9, SD=0.474).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 high-instant group, a high-delay group, a low-instant group, and a low-delay group. During the acquisition phase, subjects practiced movements to a target (400 mm) with either a high (83%) or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and with either an instantaneous or delayed (after 8s) KR. Four groups were evaluated on retention (after 3min and 24hr) and transfer (450 mm) tes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in acquisition and short-term retention (p>0.05, (2) a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during practice was as effective for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nn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high (83%) KR practice conditions (p<0.05), (3) delayed (8s) KR enhanced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rm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instantaneous KR practice conditions (p<0.05), and (4)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during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ph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relatively less frequent and delayed KR are more effective types for motor learning than more frequent and instantaneous KR.ㅂ
        4,800원
        272.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탄성 섬유와 점탄성 기지로 구성된 2차원의 단일방향 복합재료에서 발생하는 계면 응력 특이성을 시간영역 경계요소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아무런 균열없이 섬유와 기지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단일방향 복합재료에 횡방향 인장변형이 작용할때 자유경계면 부근에 나타나는 계면 특이응력들을 조사하였다. 그러한 응력들은 섬유와 기지의 결합분리나 계면 모서리 균열을 야기 시킬수 있다. 다음에, 여러가지 크기의 모서리 균열들에 대한 응력확대계수가 계산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