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원전해체 지침서인 MARSSIM과 MARLAP에서는 의사결정 전 부지조사를 계획하고, 계획한 조사를 시행하는데 Data Life Cycle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부지조사 계획단계에서 설정되는 데이터품질목표(DQO)는 부지조사 수행 및 설계의 모든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최선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부지조사 계획을 체계화하여 공식적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QO의 일곱 과정 중 5~7단계에서는 앞선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합리적이고 신뢰성있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부지조사를 설계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 중 설정되는 회색영역은 관심핵종에 대한 조사단위의 평균농도가 실제로 DCGL을 초과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초과한다고 판단하여 제염활동과 같은 추가적인 활동을 하도록 결정내리는 Type II 의사결정 오류로 인한 결과가 미약할 것으로 생각되는 농도범위로 정의된다. 회색영역은 부지에서 수집한 Sample에 속한 특정 핵종의 평균농도와, 규제한도로서 설정될 수 있는 잔류방사능 유도농도(DCGL)를 이용하여 정할 수 있다. 회색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가장 자원효율적으로 부지조사계획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 오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선행연구로 도출된 고리 1호기의 DCGL을 이용하여 회색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해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Sample의 농도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은 대상 지점과 수문학적 동질성을 만족하는 주변 지점을 하나의 지역으로 보고 빈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동질한 지역의 구분은 지역빈도해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기법중 하나인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 기법을 활용하여 강우 지역빈도해석을 위한 동질 강수 지역을 구분하였다. 지역구분 인자로는 지형 정보와 시 단위 강우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적 SOM 지도 구성을 위해 정량적 오차와 위상관계 오차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7 × 6 배열의 42개의 노드를 갖는 모형을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강우 지역빈도해석을 위해 6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동질성 검토 결과 6개의 군집 모두 동질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유사하게 구분된 지역들과 이질성 척도를 비교하였을 때 좀 더 안정적인 지역 구분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1914-1922년 사이에서 모더니즘의 최고 시인 엘리엇과 보티시즘의 창시자이자 소설가-화가 윈덤 루이스의 관계를 천착하는 것이다. 다빈치에 비견된다고 당대에 호평 받은 루이스의 걸작이 논 란의 여지없이 <T. S. 엘리엇>(1938) 초상화인 것은 모더니즘 두 작가의 친밀한 관계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논문은 『T. S. 엘리엇의 서한집 1: 1898-1922년』(2009)과 『루이스의 서한집』(1963)에 수록된 다양한 서신들을 집중적으로 탐색하고, 루이스가 편집한 『블라스트』지와 엘리엇이 편찬한 『크라이티어리언』지, 나아가서 보티시즘과 모더니즘까지 조명하고 있다. 아울러 루이스의 보티시즘 소설 『타르』 (1918)의 엘리엇 서평인 「타르」(1918)와 모더니즘의 걸작 『황무지』 (1922)에서의 짧은 원용은 두 작가의 친밀한 상호 관계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T. S. 엘리엇의 서한집 2: 1923-1925년』과 『루이스의 서한집』을 지속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엘리엇과 루이스의 관계를 재조명하 게 되는 초석이 될 것이다.
Inflammation is the first response of the immune system to infection or irritation in our body. The use of medicinal plants has been widely applied as an alternative source for drug development. One of marine natural resourc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Ishige sinicola ethanol extract (ISEE), was evaluated by using LPS-induced RAW 264.7 cell and mice model. As a result,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L-6, IL-1β, TNF-α) were inhibi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ISEE without any cytotoxicity. Furthermore, ISEE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not onl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kappa B (NF-κB) p65,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including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1/2,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mice ear edema test, the formation of edema was reduced at the highest dosage of ISEE and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infiltrated mast cells was observed in histological analy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SEE has a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material for many kinds of inflammatory disease.
본 논문의 목적은 모더니즘의 최초시라고 평가받고 있는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1915)에 나타난 엘리엇의 다양한 모더니즘 기교를 천착하는 것이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에서 구축된 모더니즘의 대 표 시인 엘리엇의 시적 기교는 인간의 자아를 성적 본능인 이드, 자아, 초자아로 구분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제임스의 “의식의 흐름”의 영향으로 낭만주의나 빅토리아조 시인들의 기교와 확연히 다르다. 엘리엇은 신중하고 우유부단한 화자 프루프록의 내적 독백, 즉 백일몽을 통하여 무의식 속에서 관능적인 여인들과의 조우 단절을 묘사함으로써 모더니즘의 한 주제인 도시 생활 속의 “소외”(疏外)를 표출하고 있다. 아 울러 시인은 베르그송 시간관의 영향으로 기계적인 “시계 시간”보다 프루프록 의식의 “심리 시간”을 수월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한 엘리엇의 모더니즘 기교는 독특한 은유, 직유, 환유, 상징 그리고 형이상시인들의 기상(奇想)보다 더 복잡한 기상의 사용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화자의 망설이는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을 투사하고 있는 엘리엇의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연가」는 확실히 그의 전통적인 하버드 습작시와 모더니즘 대표시 황무지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는 혁신적인 모더니즘 최초의 시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ssessment tool of port service quality (PSQ) in the context of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CTLs), by taking the perspectives from port users. The CTLs defined in this study are the relevant activities of serving the physical flows of a container box from a point of origin via a container port to a point of destination. To address the ports’ role in collaboration between its channel members in CTLs, the PSQ measures for all port user groups (i.e. common PSQ measures) are selected based on the relevant CTLs activities involved by port, and its users within terminal/port area as well as throughout the CTLs chai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s applied as a diagnostic tool to analyse the status quo of Busan Port in CTLs contexts, by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P) scores against each individual CTLs criterion. The findings from the IPA reveal that port managers and policy makers at the Busan Port should concentrate on six PSQ measures (i.e. SR1, SR4, ITS1, VAS1, VAS4, ICI3) to enhance PSQ in CTLs. However, four measures (i.e. ITS2, ITS3, ITS4, VAS2) are identified as a possible overkill, indicating an area of inefficiency where a remedial action of the cost-cutting decision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Busan port shows an outstanding performance on four measures such as SR2, SR3, ICI1 and ICI2. The measures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high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provide managerial guidance to port managers in Busan Port, in view of searching for managerial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port growth.
KAERI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에서 발생하는 금속폐기물의 부피 및 무게 감량을 위해 고방사성 장반감기 핵종을 포함하는 anode sludge내 NM의 고화매질로써 폐피복관과 첨가금속을 재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 함량을 조절한 Zr-17Cr-8NM, Zr-22Cr-8NM, Zr-27Cr-8NM 합금을 유도용융을 통해 제조하였고, 전기화학적 부식시험을 실시하여 부 식특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조성에서 기존 연구 중인 Zr계 합금고화체 조성보다 우수한 부식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Zr-22Cr- 8NM 시편의 부식시험 후 침출용액 조성 분석 결과, 500 mV 전압 조건 이하에서는 NM 침출이 없었고 이를 통해 우수한 화 학적 안정성을 갖는 합금고화체 조성을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