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반도 유사 사례 중 하나인 1976년 판문점 도끼 사건에 대 한 한미일 3국의 관점을 역사적인 측면에서 관련 문서를 통해 고찰하였 다. 한국 정부와 국회는 북한과 공산주의에 관한 강렬한 적대감을 나타내 었다. 미국 백악관도 북한의 전적인 책임을 강조하며 북한을 비난하였다. 미국 의회는 판문점 도끼 사건을 규탄하였지만, 동시에 한국의 국내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이에 박정희 정권은 미국 의회의 대응이 매우 모호하다고 판단하여 불편함을 나타내며 미국 국무부에 도움을 요청하였 다. 한편,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판문점 도끼 사건에 대한 미국의 초기 대응에 공감하였다. 그러나 일본 국회에서 다른 정당은 한반도 유사시 미 국의 동맹인 일본이 개입하게 될 가능성을 매우 우려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유사 사례 중 하나인 1976년 판문점 도끼 사건이 발생하였던 당 시 한미일 3국의 시각이 모두 협력적이지는 않았음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한국, 베트남, 인도의 궤적을 비교 분석하여 우즈베키스탄 전자 산업의 기술 축적 전략을 수립한다. 한국의 국가 주도 모델, 베트남 의 FDI 주도 조립 성장, 인도의 하이브리드 전략에 초점을 맞춘 이 연구 는 우즈베키스탄에 이전 가능한 교훈을 파악한다. 혼합 방법 접근 방식 (정책 분석 및 국가 간 사례 연구)을 채택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모델이 FDI 제한, 저가치 수출, 인력 기술 격차와 같은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지 살펴본다. 주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성공은 장기적인 국가-산 업 협력과 STEM 교육 개혁에 달려 있었고, 베트남은 FDI 친화적 정책 을 우선시했지만 저가치 조립에 국한되어 있다. 인도의 PLI 제도는 보조 금이 국내 R&D를 육성하는 동시에 글로벌 제조업체를 유치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STEM 커리큘럼을 산업 요구 사항(예: 한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에 맞추고 지역 무역 협정을 강화함으로써 우즈베키스탄은 자 원 의존에서 중앙아시아 전자 허브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정책 입안자에게 기술적 도약과 글로벌 경쟁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맥락에 맞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시마 양식을 위한 통합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 비용 효율성,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모두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노동 집약적 수확 방식과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수평 건조 방식은 비효율적이며, 환경적 부작 용을 초래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동화된 수확 시스템, 해상-육상 연계 운송 시스템, 그리고 수직 건조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개발하여 양 식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였다. 자동화된 수확 시스템은 작업 속도를 약 35% 향상시켰으며, 작업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품질 오차율을 2% 이하로 줄이는 성과를 보였다. 해상-육상 연계 운송 시스템은 모듈형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운송 중 손상률 을 기존 15%에서 5%로 감소시켰고, 운송 시간을 평균 6시간에서 4시간으로 단축하였다. 또한, 수직 건조시스템은 고밀도 적재와 자연 대류 방식을 도입하여 건조 시간을 기존 48시간에서 28시간으로 40% 단축하였으며, 에너지 소비를 25% 감소시켰다. 이러한 시스템은 데이터 기반으로 설계 및 검증되었으며, 통합적으로 양식업의 경제성 향상과 환경적 부담 감소를 동시에 실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른 해조류 양식에도 적용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해양 자원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imited fashion products serve as a strategy for demonstrating the brand’s vitality and presence by satisfying the emotional needs of consumers seeking to escape from the boredom of similar products. The MZ generation values unique experiences and desires to purchase rare and unique products. Accordingly, the fashion industry prioritizes launching limited fashion products that emphasize artistry and can convey different values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The open-run phenomenon, characterized by people waiting in line before the store opens and then running to the store to purchase these limited products as soon as the store opens, is rapidly emerging as a consumer trend in our society.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fashion consumers’ psychological factors-that is, FOMO, brand attachment, and need for uniqueness-on their open-run intention for limited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on Korean consumers, and 300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FOMO, brand attachment, and the need for uniqueness significantly increased open-run intention for limited fashion products. Furthermore, consumers’ fashion involvement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FOMO, brand attachment, and open-run intention. However, it did not substantially impact the effect of the need for uniqueness on open-run intention.
This study explores how to integrate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ol Midjourney into the fashion design process, emphasizing the visualization of sporty fashion concepts. The research applied Midjourney at every stage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od board, fashion sketch, flat drawing, production package, fashion show presentation, and store display and sales. Specifically, sporty fashion was selected as the theme, and customized prompts were developed from prior research and design principles to generate visual outputs for each stage. Furthermore, three apparel design experts evaluated the AI-generated images to assess Midjourney’s practical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in each phase of the fashion design workflow. Expert evaluations revealed that Midjourney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early stages, offering diverse and visually engaging imagery that supported creative ideation and mood expression. The tool allowed quick exploration of different silhouettes during the sketching stage but was imprecise in detailed forms and proportions. Limitations became more evident in the flat drawing and work instruction stages, where outputs failed to accurately reflect material textures and technical construction. Prompt refinements and referencebased prompts were tested but often resulted in inconsistent or stylized outputs. Additionally, continuity between stages was missing. Midjourney shows potential as a creative tool, but experts highlight its limitations for practical industry applic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prompt optimization and training data for enhanced accuracy and usability in AI-assisted fashion design workflows.
본 연구는 담액수경재배(Deep Flow Technique, DFT)로 재배된 잎들깨(Perilla frutescens)의 생장 및 생리 적 반응에 미치는 인산결핍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산 결핍 처리는 야마자키 표준 배양액을 수정하여 0% (대조 구), 30%, 50%, 70%, 100%의 5 수준으로 달리 조성하였다. 처리 20일부터 80일까지 인산 결핍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초장, 엽수, 마디 수, 경직경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80일째에는 100% 인산 결핍 처리에서 초장이 10.1cm, 엽수는 식물체당 2.7장으로 급감하였으며, 이는 대조구의 73.5cm 및 12.8장에 비해 현저한 생장 저해를 나타냈다. 또한, 인산 결핍 조건에서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의 생체중은 93.4g 이었으나 100% 인산결핍 처리구에서는 2.1g으로, 건물중은 11.8g에서 0.4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인산 결핍 정도가 증가할수록 하 부엽에서 황화(Chlorosis) 및 괴사(Necrosis)와 같은 생리장해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산이 잎 들깨의 영양생장과 건물생산량 증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나타내었다.
J.M. 쿳시의 소설들은 개인이 사회적, 역사적, 그리고 내면적 혼란과 마 주할 때 발생하는 깊은 정체성의 문제와 실존적 위기를 탐구한다. 본 논문은 쿳시의 대표작인 바바리인들을 기다리며, 마이클 K의 삶과 시대, 치욕, 그리고 적을 중심으로 정체성과 실존적 위기라는 주제를 고찰한다. 쿳시 소설 속 주인공들의 경험 을 바탕으로, 권력 구조, 도덕적 딜레마, 개인적 트라우마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정체성 이 형성되고, 불안정해지며, 재정의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쿳시의 서사 기법 과 인물들의 심리적 깊이를 통해, 그의 작품들이 인간 존재 조건에 대한 정교하고도 깊은 탐구를 제공하며, 정체성을 유동적이고, 취약하며, 더 넓은 사회정치적 힘과 불가 분하게 연결된 것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풀빅산(FA)은 Fe(III)을 킬레이트화하여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Fe(II)로 전환함으로써 대형 해조류의 성장을 촉진하고 손 상된 해중림의 복원을 돕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풀빅산의 공급에 따른해중림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FA 보충제는 철(Fe) 부족 해역 내 인공 어초에 설치되었으며, 해조류 군집 및 해양 환경조사는 사계절을 대표하는 학술 잠수를 통해 수행되었다. 연 구 결과, 풀빅산 공급으로 인해 가용 철(Fe) 농도가 증가하면서 해조류의 광합성과 영양소 흡수가 촉진되어 성장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의 총 생물량은 전체 해조류 총 생물량과 비우점종에 비해 더욱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철 보충제가 특정 우점종의 양적 증가에 기여하며, FA 보충제가 설치된 어초에서 해조류 군집의 양적 및 구조적 변화를 유발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풀빅산을 해중림 복원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해조류 생태계 관리 및 보존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periential marketing by categorizing fashion pop-up stor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sensory,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nd relational. It analyzes how these experiential factors influence shopping flow, impulse buying, and word-of-mouth inten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participants, equally distributed by gender and age group (20 and 30-year-old). Valid responses from 320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SPSS. Findings revealed four key elem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sensory/emotional, rel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nsory/emotional, relational, and cognitive factors positively affected shopping flow, which enhanced impulse buying and word-of-mouth intentions. However, behavioral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a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pop-up store customer behavior and highlight the understudied area of word-of-mouth marketing. The study specifically targeted consumers most likely to visit pop-up stores, ensuring practical significance by providing data to develop strategies for increasing experiential marketing efficiency. Additionally, the results identify the critical elem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pop-up stores and examine how they interact with shopping flow and impulse buying. This research contributes valuable insights into optimizing consumer engagement in pop-up retail environmen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ensory and relational experiences in driving consumer behavior and addressing gaps in existing marketing literature.
본 연구는 ‘설향’ 딸기 유묘를 대상으로, 꽃눈 분화 유도 조건(단일일장, 야간 15°C)과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에서의 형태적 및 생리적 반응을 비교하여, 꽃눈 분화와 관련된 주요 생장 지표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 다. 유묘는 15일간 각각의 환경 조건에 따라 처리된 후, 모든 처리구를 동일한 비유도 조건(연속광, 24-25°C) 하에 배양하며 총 49일간 관찰하였다. 관부 직경, 잎 수, 엽면적, 런너 수 등 형태적 지표와 함께 건물중 분포, 엽록소 농도 (SPAD), 가용성 당(자당, 포도당, 과당)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꽃눈 분화 유도 처리군은 관부 직경과 뿌리 생 체량, 잎의 엽록소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생식 생장으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초기 지표로 판단되었다. 반 면, 비유도 조건에서는 잎 수, 런너 수, 줄기 생체중, 엽면적이 증가하여 영양생장이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 도 처리 28일 이후 관부 내 자당 농도가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꽃눈 분화 개시와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환경 조건에 따른 딸기 유묘의 생장 반응 차이를 규명하고, 꽃눈 분화 예측과 정식 시기 결정을 위한 유용한 생리적 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환경 제어 기반의 효과적인 유묘 관리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라이소자임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라이소자임의 분해 절편도 또한 항균효능이 있는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을 처리하여 확인해 보았다. 130개의 아미노산 으로 구성된 14 kDa 단백질인 라이소자임을 약 24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트립신으 로 분해 하였다. 분해된 생성물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인 분석용 및 제조용 HPLC를 사용하여 분 석 및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라이소자임 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인하고, 분해된 펩타이드 절 편들을 분리하였다. 효능평가 결과, 일부 펩타이드 절편들이 칸디다 알비칸스에 강한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몇몇은 활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activism as a powerful force for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 in South Asian fashion industries, specifically those in Pakistan, Bangladesh, and India. It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ctivism within regional contexts and explores the manifestation of fashion activism in a range of styles and practices. By combining a qualitative literature review with social media analysis, this study evaluates the role of activism in fashion and reveals that fashion serves as a vital medium for advocating social change while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and identity among marginalized groups. The key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media is crucial for amplifying activist messages, encouraging stakeholder collaboration, and raising awareness regarding urgent social issues. In contrast to prior studies, which have primarily focused on a single topic, this research encompasses a comprehensive spectrum of activism within the fashion domain, examining critical themes such as cultural identity, gender equality, economic empowerment, and environmental justice. The findings suggest that fashion activism catalyzes significant transformations beyond conventional metrics, promoting a holis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ocial justice and sustaina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the fashion industry in driving social progres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hese m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