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912

        290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황색점착트랩의 설치각도에 따른 고설재배 딸기해충의 유인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직, 수평 앞면 및 뒷면, 45도 앞면 및 뒷면 등으로 달리 설치하고 유인된 해충수를 조사하였다. 모든 트랩은 딸기 포기 정상부로부터 30cm 높이에 트랩의 중심이 오도록 설치하였다. 총채벌레류의 경우 45도 윗면, 수직, 수평 윗면은 45도 뒷면이나 수평 뒷면보다 많은 수가 유인되었다. 또한 트랩내 공간위치에 따라 유인수가 달랐는데, 수직트랩에서는 주로 상단부와 좌우 가장자리에 많은 수가 유살되는 경향이었다. 다른 각도의 트랩은 위치에 따른 경향성이 없었다. 뿌리파리류는 수직, 45도 위면, 수평 윗면 순으로 많은 유인수를 보였으며, 45도 뒷면과 수평 뒷면보다 유인수가 높았다. 수직과 45도 윗면 트랩에서는 좌우 가장자리에 많은 유살수를 보였다. 매미충류는 수직 또는 45도 위면 트랩에서 통계적으로 많은 수가 유살되었고 전체적으로 45도 뒷면, 수평 윗면이나 뒷면은 적은 수가 유살되었다. 수직과 45도 윗면, 수평 윗면 트랩에서 중앙자리를 중심으로 높은 유살수가 나타났다. 진딧물과 가루이류는 발생밀도가 낮은 관계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290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Nipponopsyche Yazaki is reported from Korea with an unrecorded species, N. fuscescens Yazaki for the first time. Adult, larva, pupa and genitalia of the species are redescribed with SEM illustrations, and DNA barcode for precise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is also provided.
        290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arwig Proreus simulans (Stål, 1860) is newly reported from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The natural photos were taken from Gwangyang for the first time in 2013, at last the voucher specimens are collected by light trap from Suncheon in 2018. The species widely distributes throughout the Oriental Region, prefers to live in lowland paddy fields, frequently hides inside grass leaves, so regarded as an important predator of leaf folders on rice, or natural enemy of corn borer. The earwig belongs to Chelisochidae which is also newly recognized family in Korea. The order Dermaptera diversity of Korea is estimated that about 24 species 14 genera 6 families until now.
        290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8년 현재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 호남지역본부로 수입된 식물은 220종 17,030건으로 우드펠렛(18%), 주정박(8%), 페스큐 건초(8%), 알파파건초(8%), 귀리건초(6%), 혼합건초(5%), 티모시건초(5%), 라이그래스건초(5%), 목화씨(사료용)(4%), 소나무원목(3%) 등의 순이다. 이와 같이 호남지역은 비재식 사료류(건초 등) 수입비중이 높으며 이는 전국 수입 건수의 약 67%에 달한다. 검역해충은 795건 검출되었으며 이 중 관리해충 294건, 잠정규제해충 146건, 비검역해충 307건 등이다. 관리해충 중 Carpophilus obsoletus가 210건(72%), 잠정규제해충 중 Cryptoletes ferrugineus가 56건(39%)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또한 호남지역으로 수입 된 재식용 구근류는 생강 및 생강구근, 마늘구근이며 전국 수입 건수의 약 42%를 차지한다. 수입 된 생강 및 생강구근 91건 중 37건에서 해충(선충)을 발견하였고 Meloidogyne sp.(잠정규제해충) 검출로 9건이 폐기·반송되었다. 수입된 마늘구근 34건 중 29건에서 해충을 발견하였고 Carpophilus obsoletus(관리해충) 18건, Cryptoletes ferrugineus(잠정규제해충) 11건이 검출되어 소독하였다.
        290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에서 채집한 사마귀목(Mantodea) 사마귀과(Mantidae) 넓적배사마귀속(Hierodula)의 한국 미기록종 Hierodula formosana Giglio-Tos, 1912, 붉은긴가슴넓적배사마귀(신칭)을 처음 보고한다. 이 종은 그동안 국내에 알려진 Hierodula patellifera (Serville, 1839), 넓적배사마귀와 동일하게 느티나무, 벚나무 등 활엽수의 우거진 수관부에 매달려 전 생애를 보내는 생태적 특징이 있다. 형태적으로 같은 속 넓적배사마귀와 비교하였을 때, 수컷생식기의 차이가 뚜렷하고 앞다리 기절부에 9~11개의 돌기가 있다. 또한 전흉이 뚜렷이 길고 앞가슴 아랫면이 붉은 빛을 띠는 등 구별이 가능한데, 현재 일본에서 확산되고 있는 외래종 Hierodula sp.와 동일종으로 여겨진다. 2017년 9월 전주에서 처음 암컷 3개체가 비공식적으로 채집된 이후, 2018년 9월 완주군 구이면 일대를 조사하였을 때, 총 암컷 4개체, 수컷 10개체를 채집할 수 있었다. 또한 유충의 탈피각, 전년도 알집 등이 함께 확인됨으로써 국내에 최근 정착한 외래종으로 의심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290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19년간(2000~2018.9) 검역현장에서 검출된 해충의 종류는 2,028종이며 150,379회 이다. 이중 곤충은 1,745종으로 86%이며, 딱정벌레목은 검출종 중 740종, 42,4%로 검역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머리대장과(Cucujidae)는 머리대장상과에 포함되고, 검출율은 14.7%로 상위 두 번째 과에 속한다. 특히 Cryptolestes ferrugineus(갈색머리대장), Cryptolestes turcicus(터키모진가슴머리대장), Cryptolestes pusillus(긴수염머리대장)은 딱정벌레목 검출종 중 상위 10위 안에 속해 있는 종으로 검역현장에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는 종이다. 본 연구는 머리대장과 C. ferrugineus(잠정규제), C. turcicus(잠정규제), C. pusillus(비검역), C.pusilloides(관리급)에 대한 외형적 특성과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290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난 19년간(2000~2018.9) 검역현장에서 검출된 해충의 종류는 2,028종이며 150,379회 이다. 이중 곤충은 1,745종으로 86%이며, 딱정벌레목은 검출종 중 740종, 42,4%로 검역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밑빠진벌레과(Nitidulidae)는 딱정벌레목 머리대장상과에 포함되고, 검출율은 9.0%이다. 검출율이 가장 높은 종은 Brachypeplus rubidus로 1,415회 검출되었으며, Carpophilus obsoletus는 999회, Carpophilus hemipterus는 927회, Carpophilus dimidiatus는 477회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검역과정에서 검출되는 밑빠진벌레과의 Carpophilus 속에 속하는 종들에 대해 검토 하였다. 또한 이들의 외형적 특징과 종의 분류 검색을 제시 하고자 한다.
        290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흑백알락나비 (Hestina persimilis (Westwood, 1850))는 한반도의 평안남도 이남의 내륙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국외의 경우 일본, 중국, 히말라야 일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에 대한 생활사 연구는 김과 서(2011)에 의해 월동유충, 종령, 번데기 등에 대한 일부 보고가 있을 뿐 자세한 생활사에 대한 기록은 전무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흑백알락나비의 생태적 습성 및 미성숙단계 (알, 유충, 번데기)의 형태적 특징 등 자세한 생활사 정보를 보고하고자 한다.
        290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ysiphlebus orientalis is previously recorded in 2010, which is a more recently recorded than Lysiphlebia japonica. Host range of Lysiphlebus orientalis range is narrow, while that of Lysiphlebia japonica is very broad. Although two species, Lysiphlebus orientalis and Lysiphlebia japonica, are belonged to different genus, respectively, they are morphologically similar each other, which make us confused. Therefore, we have to identify these two cryptic species using COI DNA barcode. We used the ‘NCBI-BLAST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to perform COI DNA barcode identification, and introduce preliminary results in this presentation.
        29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e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Hymenoptera: Braconidae: Aphidinae) is recognized in this study. The genus Aphidius is a large braconid group distributed in the European, Palaearctic and Oriental regions, which includes currently 61 species in South Korea. This genus mainly parasitizes aphids. In this study, Aphidius transcaspicus Telenga, 1958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Historically, Aphidius transcaspicus is complexed with Aphidius collemani species complex. Descriptions, diagnosis distribution and illustration are provided.
        291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진딧물의 조기 방제를 위해 유시충의 동정이 필요하나 적절한 분류 동정법이 존재하지 않아 분류동정법의 기초자료로써 진딧물의 앞날개의 시맥을 형태계측학을 통하여 분석하여 진딧물의 앞날개로 분류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알려진 감자 비래 진딧물 10종 중, Aphis craccivora, Aphis fabae, Aphis gossypii, Aphis spiraecola, Rhopalosiphum rufiabdominale, Myzus persicae, Brachycaudus helichrysi 총 7종의 유시충 표본에서 앞날개 부분을 25x 배율의 사진을 촬영하여 앞날개 이미지 파일을 확보했으며, 이미지 파일은 tpsDig2를 사용하여 앞날개 맥의 Landmarks를 표시하고, PASTsoftware 를 사용하여 각 진딧물의 Landmarks에 대한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을 수행하였다. 총 7종에 대한 PCA 결과, Rhopalosiphum rufiabdominale 는 다른 6종과 확연하게 구별할 수 있었으며, Myzus persicae 또한 다른 종들과 구별될 수 있었다. Aphis 속 4종과 Brachycaudus helichrysi 는 밀집되어 서로 구별하기 힘들어, 이 5종에 대한 PCA 수행하였다. 그 결과, Aphis fabae 와 Brachycaudus helichrysi 는 서로 구별될 수 있나 다른 3종에 대해서는 구별하기가 어려웠다. 위 분석결과 진딧물의 앞날개 맥으로 주요종의 감자 비래 진딧물의 분류동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91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ombyx mandarina (Lepidoptera: Bombycidae)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ancestor of the domesticated B. mori. Recently, over 40 mitochondrial genomes (mitogenomes) mainly from B. mori strains preserved in China and wild individuals of B. mandarina were sequenced to verify the progenitor of B. mori. At this point, we also were curious about the origin and the relationships of Korean silkworms to foreign B. mandarina and B. mori. As a first step, we sequenced the complete mitogenome of the B. mandarina collected in Korea and compared it to pre-exsiting data (37 strains of B. mori and 14 individuals of B. mandarina). The complete mitogenome of B. mandarina was 15,694-bp long, consisted of 13 protein-coding genes, two rRNA genes, 22 tRNA genes and one non-coding region. The 494-bp long A+T-rich region possessed the highest A/T content (95.3%) than any other region of the genome. Overall, the general mitogenome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Bombyx species have an identical gene arrangement, similar A/ T content (average 82.3%) and so on. Phylogenetic analysis, however, showed that B. mori and B. mandarina formed a distant group each with the highest nodal support. For more findings of mitogenome characteristics of Bombyx including the Korean B. mandarina and those preserved in Korea more mitogenomes, particularly from Korea, might be needed.
        291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yellow-legged hornet, Vespa velutina nigrithorax (Hymenoptera: Vespidae), invaded into South Korea in 2003. Currently, V. velutina is distributed throughout South Korean regions,. A genetic trait of invasive species provides important data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V. velutina among the populations of South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using partial sequences of mitochondrial COI, CytB and 16S rRNA. We further developed intergenic spacers (IGS2 and IGS3) to detect genetic variation among Korean populations. Each single haplotype was recovered from the domestic V. velutina from each coding gene sequence. Korean individuals shared the haplotype with that of Japan and China. Phylogenetic analysis (excluding 16S rRNA) using available sequences and ours showed the presence of two groups: the Indonesia and Malaysia group and another group (Korea, Japan, China, France, Vietnam and Thailand). The newly developed IGS2 and IGS3 markers resulted in each seven and four haplotypes, providing better resolution than coding gene sequences.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using the combined sequences of IGS2 and IGS3 showed that the majority of variance was allocated to each population and only minority of variance is allocated to among-populations. This result may indicate that the V. v. nigrithorax invaded in Korea shows a single panmictic population and this possibly suggest that Korean population may have originated from small founder individuals.
        29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ung beetle, Copris tripartitus, has been listed as an endangered insect in Korea. In contrast to typical genomic characteristics, the 15,457-bp long,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of C. tripartitus has a few unusual characteristics. The genome has the trnP-trnT arrangement at the ND4L-ND6 junction, which is found only in two species of Scarabaeoidea, including C. tripartitus, in 53 available species. Twelve protein coding genes (PCGs) have typical ATT and ATG start codons, whereas COII had the start codon GTA, which is unprecedented in Scarabaeidae. The 297-bp A + T-rich region, which is the shortest available in Scarabaeidae, harbors three repeat units (26, 29, and 21 bp), each consisting of duplicated identical sequences interspersed in the A + T-rich region.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concatenated sequences of the 13 PCGs and two rRNA genes using both the Bayesian inference (BI) and maximum likelihood (ML) methods for the families Scarabaeidae and Lucanidae that are available for their mitogenomes in Scarabaeoidea. Our consensus phylogeny yielded monophylies of each family and the subfamily Scarabaeinae in Scarabaeidae with the high nodal supports (0.99-1 by BI and 79-100 by ML). Among the three tribes, represented by multiple genera in Scarabaeinae each Oniticellini and Onitini was supported as monophyletic groups with the highest nodal supports (1 by BI and 100 by ML), whereas Onthophagini was non-monophyletic group, presenting the tribe relationships: ((((Oniticellini + Onthophagini [Caccobius, Milichus, Onthophagus]) + Onthophagini [Digitonthophagus, Phalops]) + Onitini) + (Phanaeini + Eurysternini) + Coprini).
        291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와 세계시장 개방에 따른 외래 및 돌발해충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밀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발생 실태에 관한 자료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경상지역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과 피해조사를 위해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등 돌발해충 6종을 경남 9시군과 경북 9시군에서 월동기 1회, 약충기 2회, 성충기 1회를 순회 조사하였고, 애멸구, 배추좀나방, 볼록총채벌레 등 남방계 해충 5종을 산간지, 중산간지, 평야지 각 3지역에서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돌발해충인 꽃매미와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 발생현황으로 농경지 발생면적은 2017년 비해서 2018년도에 발생면적이 늘었으나 발생 농가수는 줄어들어 발생지역은 점차 확대해가고 있으나 발생밀도는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충별 조사결과로 미국 선녀벌레 약충이 함안에서 가장 밀도가 많이 조사되었고, 함양, 상주, 예천 둥에서 발생하였고, 갈색날개매미충 약충은 하동에서 가장 발생이 많았고 진주, 사천, 고성, 산청, 함양, 거창, 상주, 예천 등에서 넓게 발생하였으나 꽃매미 약충은 함안과 함양에서만 조사되었다. 고도별 발생 차이는 발생밀도가 적어서 알 수가 없었다. 갈색여치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발생을 확인하지 못했고 먹노린재는 하동에서만 일부 조사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다. 목화진딧물은 조사지역간에 밀도 차이가 많았고 고도에 따른 차이보다는 농가에서 농작물 재배관리나 조사 시기에 따른 차이로 보인다. 애멸구의 월동기 조사와 육안조사 결과 발생밀도가 낮았고, 볼록총채벌레는 트랩조사 결과 조사지역 감나무에서 모두 발생하였으나 발생밀도는 높지 않았고 7월중 밀도가 함양에서 평균 9.8마리로 가장 높았다.
        291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cyrtidae, belonging to Chalcidoidea (Hymenoptera), includes about 4,000 species in 460 genera worldwide. Many of the members are very important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insect pests such as scale-insects (Hemiptera, Coccoidea). Many species have been relatively well studied in various taxonomic and biological fields because of economical and ecological importance of Encyrtidae. However, Korean encyrtids are poorly studied so far.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taxonomy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ncyrtidae. In addition further study plans are also presented.
        291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til now, there were no records of fossil ants both types of amber or impression in Korea, despite many fossil ants were known from Japan and China. Majorities of extinct fossil ants were mainly distributed from the Eocene to Miocene strata in worldwide. In Korea, the ant fossils were discovered only from a single site, the Pohang basin which is the typical Neogene sedimentary basin. Duho Formation, which new fossil species was found, belongs to Pohang basin and ranges from about 150m to 200m in thickness. More than 10 unidentified species of ant fossils excavated from Duho Formation were recognized as Formicidae by the authors. Hence, we provided short descriptions of one new fossil species, Aphaenogaster koreana sp, nov. and introduced current status of Cenozoic fossil ants excavated from Duho Formation, Republic of Korea.
        291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pecies in Monochamus (Coleoptera: Cerambycidae) are wellknown vector species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in South Korea. In 2018, the surveys using sentinel logs with two Monochamus species larvae were made from early June to last September in Pinus densiflora forests of Pohang city, South Korea.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10 times in order to investigate parasitism patterns of the larval parasitoids of M. saltuarius and M. alternatus. Three plots were chose at interval distance of 20 m (0 m, 20 m, 40 m) from the edge to the center of the forests (i.e. forest depths) in one damage area of the pine wilt disease for each of three different locations. For each time of the exposure ten sentinel logs were hung along the tree heights (i.e. sentinel logs positions) (height: 0 m, 1.8 m, 3.6 m, 5.4 m, 7.2 m). As the results of the surveys six larval parasitoids in total were identified, and most abundant parasitoids were Spathius verustus and Cynopterus flavator. Analyses showed that the parasitism rate on larvae of two Monochamus species was not affected according to forest depth, but the parasitism rate was the highest in the third plot. Also the parasitism rate was the highest at 5.4 m height of a tree. Lastly, parasitisms rate on M. alternatus was higher than that of M. saltuarius.
        291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antimicrobial peptides (AMPs) have been characterized more than 150 peptides since identification of cecropin in the hemolymph of pupae from Hyalophora cecropia in 1980.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nsects are good species of AMPs selection. Insect AMPs are small (below 10 kDa), cationic, and amphipathic with variable length, sequence, and structure. They perform a critical role on humoral immunity in the insect innate immune system against invading pathogens such as bacteria, fungi, parasites, and viruses. Most of insect AMPs are induced rapidly in the fat bodies and other specific tissues of insects after septic injury or immune challenge. Then the AMPs subsequently released into the hemolymph to act against microorganisms. These peptides have a broad antimicrobial spectrum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including anticancer activities. Insect AMPs can be divided into four families based on their structures and sequences. That is α-helical peptides, cysteine-rich peptides, proline-rich peptides, and glycine-rich peptides/proteins. For instance, cecropins, insect defensins, proline-rich peptides, and attacins are common insect AMPs, but gloverins and moricins have been identified only in lepidopteran species. In this presentation, we focus on AMPs from insects and discuss current knowledge and recent progresses with potential application of insect AMPs.
        292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천적을 이용한 친환경농법은 이미 그 실효성이 인정되어 농업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검증된 농법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내에서 일부 대형 농가를 제외하고는 널리 보급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한국 농업이 가지고 있는 물리,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기존 작물보호제의 사용패턴에 익숙해져 있는 소농들의 관행이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보다 현실적인 한국형 천적방제 모델 개발이 다각도에서 진행중이다. 국내 기후, 환경에 맞는 토착천적의 개발을 비롯하여, 해충의 방제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서식처 보존 전략등의 개발이 진행중이며 여기에 이러한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현지 친화형 천적방제 모델의 개발은 차후 천적농법 이용을 촉진시키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