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컨테이너 수송환경은 컨테이너 선사간 인수합병, 동맹화,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와 하주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복합수송체계 등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컨테이너터미널에 요구되어지는 서비스로서 항만의 대수심화, 하역의 신속화, 이용료의 저가격화 등을 예로들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컨테이너 선사는 컨테이너터미널의 기항을 기피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에 있어서 하역의 효율화와 기능성 평가를 위해 실제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하역기기, 야드샤시 및 외부트럭의 관리에 대한 프로세스 정보를 추출하여 하역 효율화에 저해가 되는 하역기기 운전원의 스킬과 트러블 등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한 프로세스 정보를 활용하여 페트리 넷을 이용해 컨테이너 하역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하역기기의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부의 21C 프론티어 사업 중 하나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에서 연구 개발 중인 수자원 확보기술을 대상으로 기술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는 개발기술의 가치평가를 통하여 R&D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개발된 기술이 실용화 단계까지 성공적으로 갈 수 있도록 기여함에 있다. 수자원 확보기술의 성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정성적 평가가 모두 가능한 2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평가틀이 구축되었다. 4개의 평가기준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적인 강우-유출모형인 Tank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기 위한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 기법으로는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중의 하나인 NSGA-II를 채택하여 Tank 모형과 결합하였으며, 4가지 목적함수(유출용적오차, 평균제곱근 오차, 고수유량 평균제곱근 오차 및 저수유량 평균제곱근 오차)값을 최소화하는 형태의 목적함수를 적용하였다. NSGA-II는 목적함수의 개수가 많아지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system(LRAS) to help evaluate the value of landscape resources(Jeju Island's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for the introduction of direct payment system of the landscape preservation objectively and to applicate the model in the fields. Delphi survey on Jeju's stonewall experts shows that the order of priority among value evaluation elements on Jeju's stonewall is its harmony with surroundings(34%), the preservation of its original state(34%) and its density and scale(32%).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of landscape resources(Jeju's stonewall fencing filming land) and field observation survey utilizing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steps. Step 1 includes the first Delphi survey on Jeju's stonewall experts to decide its value evaluation elements and their priority. Step 2 is the second Delphi survey on Jeju's stonewall experts to grade pictures of landscape resources(Jeju's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on the basis of expert-proposed value evaluation standards. Step 3 consists of analysis work using the result of Delphi survey on experts. Step 4 is to select five grade standard pictures according to each of three grading elements of A, B, C belonging to each of the three standards. Then, it is necessary to make panels including five A-grade pictures, five B-grade pictures and five C-grade pictures according to each of the three elements of density, harmony, and original state preservation. Step 5 consists of field observ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ew experts' value evaluation of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with the aid of NR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area of Pyeongdae-ri is ranked first, and then the area of Bukcheon-ri, Chocheon-up, the area of Gwakgi-ri, Ewol-up, the area of Shinum-ri, Ewol-up and the area of Yongsu-ri, hankyung-Myun are ranked in the order named. When those areas are graded, A Grade Areas includes the areas of Pyeongdae-ri, the area of Bukcheon-ri, the area of Gwakgi-ri, B Grade Areas consist of the area of Shinum-ri and the area of Yongsu-ri, and the areas of Onpyeong, wimi and youngrak belong to C Grade Area.
본 연구에서는 해안 도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재해 발생시 예상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을 수립하고자 대표적인 해안 도시 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에서 각종 지형자료를 추출하였고 수문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강우 분석은 강우의 공간적 특성을 대상유역인 온천천에 티센망을 이용하여 고려하였으며 강우의 시간적 분포는 Huff의 2분위, 6차 회귀다항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홍수예경보 발
This study, a sub-one of comprehensive research work titled under "A Evaluation System of Amenity /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tried to propose a rational methodology for development of rating tabulation for evaluation of amenity /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The system developed in the study has the formalized rating grades between 2 and 5 for convenience/simplification of analysis work. For each evaluation element in the lowest order of the system, 5 types of rating technique were arranged, which wer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its existence or not, relative significance of its holding volume and quality, synthesized weight scale of its quality and quantity, and the others. And, standardized 4-steps procedure for rating tabulation was proposed. Finally, through case studies of 4 sample villages representing the flat-plain, upland, seashore and periurba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of this rating tabulation system was verified.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유량 산정 및 평가를 위해 강우, 유출 및 댐 및 물이용 요소를 포함한 유역통합 수문모형(SWAT-Nak Dong)을 낙동강 전체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하고, 유역내 댐방류 및 인위적인 물이용 요소를 고려한 물수지 시나리오에 따른 유황변동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SWAT 모형은 대규모 복잡한 유역에서의 장기간에 걸친 토지관리, 기후 변화 등에 따른 수자원 및 비점오염 평가, 관리를 위해 1
본 연구의 목적은 IPCC SRES A2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지역 스케일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유출시나리오를 생산하는 것이다. 장기유출분석을 위해 PRMS 모형을 선정하였다. 유역별 PRMS 모형의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6개 댐유역에서 매개변수를 보정하고 지역화방법을 이용하여 미계측유역으로 전이하였다. 3개 댐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하고 지역화방법으로 전이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모의능력을 분석하였다. 관측치와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국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의 SRES A2 시나리오와 LARS-WG를 이용하여 국내 139개 소유역별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해상도 시나리오는 약 350km 수평해상도의 ECHO-G 자료를 NCAR/PSU MM5를 이용하여 27km 수평해상도로 상세화한 것이다. A2 시나리오는 우리나라의 공간적 강수특성을 비교적 잘 모사하였으나, 한강과 금강유역의 강수량이 적게 모의되는 문제
The first theme of this study is to preserve and manage rural multi-functionality resource Informa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thod that can irradiate rural multi-functionality resource Information efficiently and constructively. GIS uses PDA and Tablet PC as an investigation tool and verifies the outcome of the development in the investigation system. This study enhanced the mobility function of PDA by installing recording system and camera to the PDA. Also, Using GPS has been ensured scientific precision and realism to the investigation. Direct input on spot can save time, cost and minimize human error by simplify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Database is composed of characters like scale, form, location, distance, resident's opinion and image of 37 resources. The survey system was applied in 170 villages and got a total of 12,270 resources data.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asy to input and output the surveyed information and to get reports in any kind of form ( i.e. final result can be produced as a map). By utilizing of the Rural Resource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made a simulation to compare the target areas before and after. Also, digitalized investigation system, minimized re-input and reprocessing of data and enabled to simplify and standardize the process than memorandum investigation. Data collected through digital system could offer people useful information by Web-GIS. It was need to specify practical way in decision-making and a way to measure the value of resources to align with the regional plan. Also, need to keep on developing statistical data and application program that can connect us to present the best solution to support regional planning. Therefore, quality of data is very important. Finally,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analyze space md rural resource by monitoring rural environment.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논제(2007)에서 개발된 COMBINE-GRNNM-GA(Type-1)으로부터 최적형태의 구조를 가진 모형을 구성하고, 입력층노드의 기상인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불확실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훈련과정중에 가장 최소의 평활인자를 가진 입력층변수는 COMBINE-GRNNM-GA(Type-1)에서 제거되었으며, 변형된 COMBINE-GRNNM-GA(Type-1)은 기상학적 변수의 새로운 최소 평활인자를 구하기 위하여 재훈련된다. 최소 평활인
Usually, amenity elements coexist with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group discussion of participant research staffs in this study, a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and disamenity elements was pro-posed with 4-tier hierachial order; for amenity, 3-7-29-76(numbers of the high, medium to low categories and elements) and 3-6-16-32 for disamenity. finally, through case studies of 4 sample villages representing the flat-plan, upland, seashore and periurba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