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1802.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도내(慶北道內) 각(各) 지역별(地域別) 벼 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 및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경북면방(慶北面方)에서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의 조성(組成)은 KJ군(群) 레이스 5종(種), KI군(群) 레이스 6종(種)으로 총(總)11개(個) 레이스가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우점(優占)된 레이스는 KJ301로서 그 분포(分布) 비율(比率)이 37.9~39.0%였고 그 다음으로 KJ401, KJ201, KJ101, KI3I5, KJ105, KI307, 의 순(順)이었다. 레이스군별(軍別)로는 KJ군(群)레이스가 우점도(優占度)가 높았으며 지역별(地域別) 우점(優占)레이스는 거의 KJ301이었다. KI군(群)레이스 분포비율(分布比率)은 남부(南部), 연해부(沿海部)에 비(比)해 중(中), 북부(北部) 지역(地域)이 높았다. 레이스군별(軍別) 분포비율(分布比率) 변동(變動)은 주(主)로 벼품종별(品種別) 식부면적(植付面積)과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Blasticidin-S 내성균(耐性菌)에 의한 영향(影響)은 없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되고 있는 벼도열병균(稻熱病菌)의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의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31.2%였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남부지역(南部地域)이 43.2%로 가장 높았고 중부(中部) 29.4%, 북부(北部) 25.0%, 연해부(沿海部) 지역(地域)이 10.5%로 가장 낮았다. 내성균(耐性菌)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레이스군별(軍別) 분포(分布) 비율(比率)과는 일정(一定)한 관계(關係)가 없었으나 도열병(稻熱病) 살균제(殺菌劑) 사용량(使用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000원
        1817.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species and the distribution of horizontal mean temperature at the Jepth of 10m and of vertical temperture sections in the different fishing grounds, using the date of catches in 1980, showing a relative good ones during six years from 1975 to 1980, and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Yellowfin and bigeye are mainly caught in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s including equatorial upwelling region in 5˚N to 5˚S, and albacore is mainly caught in Subtropical region in 20˚5 to 40˚5. The good fishing grounds of yellowfin and bigeye are made in the depth layer of 100 m to 250 m and temperature of 15˚C to 26˚C having a smooth gradient of thermocline in the Central Pacific between 180˚ and 1500W. But albacore is caught well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rmocline ranges from 100e to 25˚C and its gradient very smoothly. Approaching to the American Continent, the catches of yellowfin and big eye decrease because the thermocline becomes shallower and steeper at Eastern Pacific Region between 1500 and 800W.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