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5

        26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생태계의 환경별로 깔따구류의 분포를 밝히고 우점종을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을 평가하고자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 및 주변수로 등의 5개 서식처별로 나누어 '04~'06년까지 각 구획을 대표하는 총 78개 지점에서 깔따구과 및 공서 무척추동물을 정량 채집하였다. 그 결과, 농업지대의 깔따구류는 총 16종으로 동정되었다. 서식지 유형별로 출현한 종수를 보면, 축산폐수 유입지에서 11종, 대단위 농경지는 8종,
        4,000원
        26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6~2007년 동안 도심하천인 미호천과 갑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어종 분포 및 길드분석을 통해 군집구조 및 생태건강도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전형적인 두 도심하천의 BOD, COD농도는 각각 평균 3.5 mg L-1, 5.7 mg L-1였고, 총질소(TN)및 총인(TP)의 농도는 각각 5.1 mg L-1, 274 μg L-1로서 이미 부영양 상태
        4,300원
        26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Ecopath 모델을 이용하여 유수생태계인 낙동강 하류 생태계의 영양구조와 에너지 흐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갈수기(5월)와 풍수기(8월)에 낙동강 하류 삼랑진 일대의 6개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어류의 각 어종별 밀도와 자원량 자료를 위해 2007년 3월에서 11월까지 매달 2회씩 조사를 실시하였다. 낙동강 하류 생태계는 수온이 20.9~31.4℃, 전기전도도 135~364μ
        4,200원
        265.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management program in Korea is designed to enhance fisheries resources, to protect fishing grounds of self-regulatory communities, and to manage their fisheries resources by their own regulations and knowledge. This study explored an applicable ecosystem-based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objectives, indicators and reference points of the ecosystem-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which are applicable to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The objectives of the management system are to maintain sustainable fisheries production, to maintain optimum fishing intensity, to reduce by-catch, to conserve spawning ground and habitat, to maintain optimum habitat environment, to increase/maintain abundance of prey species, to increase/maintain stock biomass, and to conduct stock enhancement on the basis of scientific assessment. The improved method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are introduced by demonstrating a self-regulatory fishery which targets on hen clam in Dong-li fishing village in Busan.
        4,000원
        266.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서곤충은 과별 생물지수(FBI)와 물리적 서식환경(PHA)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건강도를 평가하였다. 원주천 9개 지점을 통해 출현한 수서곤충은 총 8목 37과 62속 92종이었다. 과별생물지수의 경우 지점 1, 2, 3에서 4.55~4.82로 가장 건강한 하천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지점 2가 각각 100, 4.82의 값으로 가장 좋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점 7과 9는 45, 6.17과 6.97로 가장 낮은 서식환경을 나타내어 물리적 서식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서식환경과 과별생물지수는 서로 역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26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학방제에 대한 의존 비중이 높아지면 토양오염 및 지력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친환경 농업토양 내 지렁이의 년 중 발생 소장 및 다양성 분석을 통해 환경오염 측정과 지렁이 지표종 개발을 목표로 수행하였다. 농약사용 정도에 따라 관행농법, 저농약, 무농약, 유기농, 비경작지를 단계별 대상으로 하고 시설재배지(상추, 포도)와 과수원(사과, 배, 복숭아, 감귤, 포도) 포장에서 2006년과 2007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렁이는 50×50×10㎝에서 채집, 보관하였다. 시설재배지 조사 포장에서 지렁이는 3과 5속 11종이 출현하였다. 상추포장에서 출현하지 않은 Eisenia fetida, E. andrei, Amynthas hilgendorfi가 포도포장에서 출현하여 포도포장에서의 지렁이 다양도가 높았다. 종 출현은 유기농에서 8종, 무농약 7종이었으며 이 외 포장에서는 3~5종씩으로 우점종은 Aporrectodea tuberculata, A. heteropodus이었다. 과수원 조사 포장에서 지렁이는 3과 4속 12종이 출현하였다 친환경 단계별 종 출현은 무농약 재배단지 포장에서 1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저농약 재배포장에서 9종이었다.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한 관행과 저농약 포장에서 Eisenia andrei와 Amynthas sp.,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무농약, 유기농 포장에서는 Amynthas heteropodus, Amynthas koreanus, Drawida japonica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금후 연구결과는 농생태계 환경오염 측정과 다년생 및 단년생 작물 재배지에 투입 가능한 지렁이 종 선발에 이용할 계획이다.
        27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habitats of diving beetles in agricultural ecosystems were identified as ponds, irrigation channels, and reservoirs, where the water system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year. Four species, Cybister japonicus, Cybister brevis, Hyphydrus japonicus and Noterus angustulus, were selected as biological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healthiness of the agricultural ecosystem. The species number of 4 indicator species, the species number of diving beetle species, and the diversity index were used as factors for environmental evaluation. The evaluation was classified into grades Ⅰ~Ⅳ. The non-fertilizer and non-pesticide agricultural practicing area and the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ing area were evaluated as grades Ⅰ~Ⅱ, and the general agricultural area to be relatively fine with a grade Ⅱ. However, the analysis indicated the agricultural areas near a residential area and an industrial complex to be poor with a grade of Ⅳ, suggesting that immediate improvement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s needed.
        4,000원
        274.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3년 하계 진해만의 수질개선을 위한 육상오염물질 삭감량을 산정하기 위해 생태계 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에 의해 재현된 진해만의 수질은 마산만 측의 내측에서 해양수질 등급 III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등급 II의 수질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50% 삭감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전 해역을 목표수질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농도 2.0mg/L을 만족하는 조 건은 전체 육상부하의 70~90%를 삭감하거나, 전체 육상부하와 저질 용출부하의 50%를 동시에 삭감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해 삭감해야 할 양은 유기물과 영양염을 동시에 삭감할 경우, 유기물 (COD) 5,632kg/day, 용존무기인 481kg/day 및 용존무기질소 7,991kg/day이며, 이 때 오염부하량의 한계 즉, 환경용량은 화학적산소요구량 부하 13,112kg/day, 용존무기인 206kg/day 그리고 용존무기질소 3,425kg/day 이라고 할 수 있다.
        4,000원
        27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