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제한된 용량과 기능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전제로하여 고급의 postprocessing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algorithm을 개발하고자 의도되었다. 응력도 및 내력도의 도화, 변형의 animation등과 관련된 기존의 postprocessing방법을 개선하엿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유한요소해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3차원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을 가시화하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파이 프 설 t서는 다양한 두께 및 직경, 길이 룹 가진 파이프뜰로 이 루 어진 ':rL조 늄로 서 정확한 해석 을
위해서논 3차원의 유한 요소 모델이 필요 하다 그러나 유한효소 모덴에 의한 헤석 l상빈은 계산 시 간이
길어 칠 뿐만 아니라 방대한 양의 컴퓨터 용량을 핀요로 한다. 반변에, 파이 프 륜 보 요소로 가 정한 단순
한 해석 모덴은 파이프 설비의 정확한 서동을 예측하기에 문제점이 많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이프 설비의 효율적인 해석 모탤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해석 모델 은
보요소로 구성된 모델에 접합부 요소만을 추가함으로써 보요소만으 로 구성된 모델만큼 단순하며, 또
한 파이프 접합부의 국 부적 인 변형을 고려하기 때 문 에 파이프 설비의 거동 을 정확히 예 꽉 할 수 있다.
예제 해석 올 통하여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효융성올 입 증하였다.
Authors studied the propulsion efficiency of G. T. 280 to 300 class tuna longliners used in Korea. At first authors calculated the ratios and factors of the ship by use of principal dimensions. In cordance with this ratios and factors authors, examined the effective horse power, propulsion ficiency and brake horse power, and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EHP is sligh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Froude number and speed. (2) Value of propulsion coefficient is obtained in the range of 51-54% at the cruising speed an its average is 52% in 6-13 knot of the speed. (3) EHP and BHP a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prismatic coefficient at the same sp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