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2

        19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스프레이 장미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2년 분홍색 스프레이 장미 ‘Pink Sensation’을 모본으로, 오렌지색 스프레이 장미 ‘Orange Jam’ 을 부분으로 하여 잿빛곰팡이병 민감성이 약하고 수송성과 생산성이 좋은 황색 스프레이 장미 ‘Egg Tart’를 육성하였다(품종보호 제7791호). ‘Egg Tart’의 화형은 불규칙한 원형이고, 잎색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강하였으며, 잎 수는 15매, 잎의 길이는 12.3cm로 대조품종 ‘Yellow Tea’에 비해 작았다. 잎의 형태적인 면에서 대조품종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Egg Tart’는 소엽 가장자리의 물결모양이 크지 않고 정단부 소엽이 좁은 타원형이었으며, 특히 정부의 모양은 매우 뾰족한 형태를 보였다. ‘Egg Tart’의 절화수량은 152본(㎡/년), 절화장은 78cm, 꽃잎수는 78.8매, 절화수명은 14.4일로 길어 스프레이 절화장미로서 대조품종 ‘Yellow Tea’보다 우수하였다. ‘Egg Tart’의 수출품종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같은 황색 품종인 ‘Yellow Babe’와 함께 장미 수출업체 재배온실에서 2017 년부터 3년간 실증재배를 하였고 생산된 절화는 내수시장과 일본 수출 시장에 출하하였다. 시험 결과 절화수량과 소화수는 두 품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절화길이와 꽃 직경의 크기는 ‘Egg Tart’가 컸으며, 시장 가격도 내수시장과 일본 시장이 각각 송이당 845원, 758원으로 ‘Yellow Babe’ 보다 높았다. ‘Egg Tart’의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잿빛곰팡이병 균주를 접종하여 병 발생 및 확산 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품종인 ‘Yellow Babe’는 병원균 접종 후 1일 부터 감염이 되었으나 ‘Egg Tart’는 2일부터 감염되었고, 접종 후 4일에 ‘Yellow Babe’는 100% 감염되었지만, ‘Egg Tart’는 38.9%로 대조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염이 적고 확산 속도도 느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황색 스프레이 장미 ‘Egg Tart’는 기존 수출품종 ‘Yellow Babe’를 대체 가능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산자와 시장의 기호성이 우수한 스프레이 장미 품종 ‘Haesal’의 유용한 화색변이 품종을 단기간에 육성하기 위해 삽수와 발근삽목묘에 각각 감마선을 처리한 후 변이 발생 양상과 주요 화색변이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감마선 처리 시료 형태에 상관없이 선량이 높아질수록 식물체 치사율은 높아졌고 신초의 발생량과 신초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50% 치사선량(LD50, Lethal dose 50)은 삽수는 70Gy부터, 발근삽목묘는 90Gy부터였고 변이 발생률은 삽수와 발근삽목묘에서 각각 2.6%, 3.1% 였으며, 변이형태는 양쪽 모두 완전변이체, 키메라, 그리고 꽃 형태변이였다. 감마선을 처리한 삽수로부터 ‘Haesal’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가진 화색변이 MUL-1과 MUL-2를 각각 70Gy와 50Gy 선량에서 유기하였고 특성을 조사한 결과 꽃 직경과 꽃잎수, 절화수량은 ‘Haesal’에 비해 조금 적었지만 화형과 잎의 특성, 절화장 등은 ‘Haesal’과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9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rein, we report significantly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imide (PI) by incorporating a small amount (0.01 wt %) of individualized boron-doped high-quality graphene as a filler. The boron-doped expandable graphite (B-EG) was synthesized by mixing boric acid ( H3BO4) with expandable graphite (EG) and thermally treating the mixture at 2450 °C for 30 min using a graphite furnace in an argon atmosphere. The boron-doped graphene (B-g) was prepared by the solution-phase exfoliation of B-EG with an ultrasonication process, which is a method to obtain individualized graphene as well as few-layer graphene. The PI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using the obtained graphene. The PI nanocomposites synthesized with high-quality B-graphene (B-g) showe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compared to those of pure PI due to the doping effects and strong interfacial interactions between graphene and the PI matrix.
        4,000원
        19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eukaryotic marine microalga was isolated from Jungmun Saekdal Beach, Jeju Island, Korea and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molecular phylogeny and morphology, was used to determine its taxonomical status.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inferred from the small subunit (SSU) 18S rRNA sequence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condary structure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the isolate belonged to the recently described species, Jaagichlorella roystonensis. Distinctive morphological keys of the species were also observed by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TEM). In this study, a Korean marine J. roystonensis species wa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and was subsequently added to the national culture collections in Korea.
        4,000원
        19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frozen-thawed ram sperm per single and double intra-cervical artificial insemination (AI) on fertility in ewes were studied. A total of 89 non-pregnant ewes were synchronized for oestrus with two doses of 100 μg PGF2α (Cloprostenol) 9 days apart. The ewe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D200 (n = 23; double AI with 200 × 106 sperm), S200 (n = 24; single AI with 200 × 106 sperm), D100 (n = 24; double AI with 100 × 106 sperm) and S100 (n = 18; single AI with 100 × 106 sperm). Ewes were inseminated within 12 to 18 h for single AI and, within 10 to 12 h and 16 to 18 h for double AI after the onset of oestrus. The onset of oestrus ranged from 28 to 76 h (54.33 ± 1.28 h). The high percentage (29.2%) of ewes showed oestrus between 51 to 60 h. The non-return rates were highest in group D200 (56.5%) and differed significantly (p < 0.05) from group S100 (11.1%). No ewes were pregnant in group S100, and the pregnancy rates among the remaining groups did not differ. The mean gestation period was 152.8 ± 0.5 days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the groups. The lambing and multiple birth rates were 100% in group D200. The single and twin lambing was highest in group D100 (33.3%) and group D200 (83.3%), respectively. Only one triplet lambing and the highest lambing size (2.2 ± 0.2) was recorded in group D200. In conclusion, double AI with 200 × 106 sperm showed comparatively most practical for achieving high pregnancy rates and lambing performances in Bangladeshi ewes under field conditions.
        4,000원
        19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gnancy rate in indigenous ewes inseminated with frozen-thawed Suffolk semen following natural and synchronized estrus was determined. The serum Progesterone and Estrogen concentration and vaginal electrical resistance (VER) of ewes at the tim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I) were observed as successful pregnancy determinants. 21 healthy ewes were selected for this experiment during January-April, 2017. 10 ewes were inseminated in natural estrus. Whereas, 11 ewes were inseminated after estrus synchronization using intravaginal sponges containing 60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Trans-cervical Al (TCAI) was performed in all ewes within 12-16 hours of observed heat. Prostaglandin E1 analogue impregnated vaginal sponge was used for cervical relaxation 6-8 hours before insemination. Pregnancy was diagnosed through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after 40 days of AI. The pregnancy rate of ewes in synchronized estrus was higher (54.5%) than in natural estrus (30%). Higher serum Progesterone level (0.90 ± 0.02 ng/mL) and significantly (p < 0.001) lower VER (257.78 ± 10.11 ohm) were observed at the time of AI in ewes becoming pregnant. Results suggest that higher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lower VER could be considered as pregnancy indicators. Oestrous synchronization could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in ewes.
        4,000원
        200.
        202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전 해체 공정 중 다량의 콘크리트 방사성 폐기물의 절단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방사성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방사성 에어 로졸은 인체 호흡기 흡착에 의한 내부피폭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방사선 방호를 위한 내부피폭평가가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작업환경의 에어로졸 특성값을 사용하기에는 선행 연구가 미비하며 콘크리트에 포함된 방사성 핵종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정확한 작업자 내부피폭평가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 연구된 콘크리트 에어로졸 특성값을 활용하여 원전 해체 전 절단 작업자의 내부 피폭량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콘크리트 절단 시 발생하는 사전 연구에서 발표된 에어로졸의 수농도 크기 분포데이터를 뉴턴-랩슨법을 이용하여 피폭평가 계산에 필요한 방사능중앙 공기중역학직경(Activity Median Aerodynamic Diameter)값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원전 정지 10년 후 비방사능 값을 ORIGEN code로 계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핵종별 예 탁유효선량을 IMB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핵종별 예탁유효선량값을 비교한 결과 152Eu에 의한 최대 예탁유효선량은 전체 선량값의 83.09%를 차지하고, 152Eu를 포함한 상위 5개 원소(152Eu, 154Eu, 60Co, 239Pu, 55Fe)의 경우 최대 99.63%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원전 해체 전 콘크리트의 구성 원소 중 상위 5개 주요 원소 측정을 먼저 시행한다면 더 빠르고 원활한 방사능 피폭관리 및 해체 작업 안전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