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4

        282.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잡초군락형별(피, 물달개비, 피+뭍달게피 군락형), 질소시비종(0.80, 160kg/ha)에 따른 수도재식거리 (10 10cm, 20 20cm, 30 30cm)가 잡초와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78년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기(IRRI) 시험포장에서 포장실험으로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의 우점도는 질소시용량에 따라 차리가 있었는데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물달개비의 우점도는 높아졌으나, 피와 방동산이과 잡초는 감소되었다. 2. 재식거리 10 10cm구에서는 잡초발생 억제효과가 질소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저하되었으며, 30 30cm 다비구(160kg/ha)에서는 전혀 잡초억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재식거리 10 10cm구에서는 제초구와 무제초구간의 수량차이가 없었으나, 재식거리 20 20cm 와 3030cm구에서는 무제초구에서 현저한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는데, 그 정도는 30 30cm구에서 더욱 컸다. 4. 잡초와의 경쟁에 의한 수도수량감소는 수량구성요소중 수수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었다. 5. 잡초발생량과 수도수량감소율과의 상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그 정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컸다.
        283.
        198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앙답에 분포되여 있는 잡초군락형 종류와 잡초군락형별, 잡초발생과 수도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1978~1979년에 걸쳐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시험포장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제미작연구소 시험포장에 분포되어 있는 잡초군락형은 8개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군락형은 1)물달개비, 2) 피, 3) 물달개비-피, 4) 피- 물 달개비, 5) 물달개비-올챙이고랭이, 6) 강피-매자기, 7) 강피, 8) 물달개비-피-바람하늘직이 - 매자기 군락형이였다. 2. 이앙답에 발생되는 잡초의 우점도는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변화되었다. 즉, 피의 우점도는 벼출수기까지 증가하다가 이후부터는 감소되었으며, 물달개비와 강피의 경우 벼성숙기까지 계속 증가되었다. 한편 매자기의 우점도는 이앙후 40일경에 최대식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였다. 3. 잡초군락형별 잡초발생과 벼 수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잡초와의 경쟁력은 잡초군락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잡초발생량이 1m2 당 100g 일 때, 벼수량감소는 강피-매자기군락형에서 42%, 피군락형에서 10%, 물달개비, 물달개비-올챙이고랭이군락형에서 각각 15%, 물달개비-피-바람하늘직이-매자기 군락형에서 21%였다.
        284.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쌀 단백질 함량의 품종과 환경에 따른 변이를 알고자 한국재래품종 11, 한국에서 육성된 현장려품종 12 및 일본에서 도입된 현장려품종 10, 합계 33 품종을 보통재배하고, 한편 Indica 2품종과 Japonica 2품종을 유기물과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재배하고, 이들 현미의 질소를 분석하여 이것을 단백질 함량으로 환산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1개 재래품종군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 6.82%, 국내에서 육성된 장려품종군의 평균은 6.51%, 도입된 장려 품종균의 평균은 6.4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래 품종군이 높은 편이었다. 2. 대체로 조생종일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공시된 Indica 품종들이 단백질함량은 현저하게 높았다. 3. 질소비료의 증시는 단백질 함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지만 유기물과 석회의 시용은 거의 영향이 없었다. 4.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5.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백질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시험의 밀도범위에서는 각 품종들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