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2

        2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deburring system using the joint of revolute robot manipulator with a tool holder was developed for deburring automation. The tool holder composed of the plunger with spring was developed for freedom of three degree operation. The tool holder was applied for compensation of position errors during trajectory tracing or deburring the workpiece of ununiform. To reduce interacting forces between the high stiffness tool at the end effecter and the workpiece during deburring operation, it was developed to operate flexibly to the direction of tangent line on the revolute axis and to the direction of axis. In this paper, using the deburring system attached at the revolute robot manipulator, deburr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goo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eburring system using the revolute robot manipulator was shown.
        4,000원
        2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vertical wall with the flap were visualized in the water channel using PIV. And the effect of flap angle change was investigated to see how quickly the spreading can be prevented and confined if oil spill occurs at sea. As a result, the fluid in the front of the vertical wall flows constantly, Nearing a boundary layer on the vertical wall, and a flow separation phenomenon occurs. Thereafter, flow loss or depth loss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wall was confirmed. Also, it was observed that irregular reverse circulation flow occurred due to flap angle change and pressure gradient at the back of vertical wall.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it is most effective at 20 degrees ang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fin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PIV and CFD by assuming that there is a double vertical wall in which oil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is trapped in the oil fence.
        4,000원
        38.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고속으로 활주하는 선박의 승선감 향상 및 운항성능 특성 연구를 위해 30ton급 세관감시정의 측정위치에 따른 멀미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관공선내의 선원들은 유사시에 신속·정확한 판단이 요구되므로 측정위치에 따른 멀미도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멀미도 평가는 ISO 2631-3(1985)을 기준으로 하였다. 평가 기준은 30분, 2시간, 8시간 이후 성인 100명 중 10명이 멀미를 한다 는 국제표준 지표이며 조우주파수와 수직가속도 성분으로 나타난다. 멀미도 해석은 Maxsurf Motion 모듈을 이용하였다. 30ton급 세관감시정은 고속활주형 선박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선속에 따른 트림변화를 고려하였다. 입사각은 선체 전 방향에서의 영향을 고려한 범위로 선정하였다. 선 속의 경우 선박 운용상태(정박, 저속, 고속)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측정위치의 경우 선원들의 주 활동 구역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해석결과 멀미도의 영향은 30knot, 180°의 경우에 가장 크게 분석되었다.
        39.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선창은 선박의 화물을 싣는 공간으로 구조적 문제로 인해 세정작업은 위험성이 크고 작업 난이도가 높은 작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용 선창세정기의 설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압력변화에 따른 분무특성을 고찰한 결과 노즐 형상의 최적화를 위한 변수 요소를 확인 하였다
        40.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관손상사고에 따른 수리작업 이후 동일한 원인으로 재발하는 경우에 대해 선박의 추진축계의수리 공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line boring machine 개선이 필요하며 Kit process 적용으로 엔진 수명 연장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