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2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냉온도와 저장온도가 수출 딸기 ‘매향’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1년 1월 11일에 숙도 80%의 과실을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상업적 온실에서 수확하여 0, 2, 4℃로 2-5시간 동안 예냉한 딸기를 30분 만에 실험실로 수송하여 4, 8, 10℃로 설정된 챔버에 저장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딸기의 무게, 경도, 색도, 당도 및 산도의 변화와 잿빛곰팡이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딸기의 무게는 저장기간 중 모든 온도처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예냉 및 저장온도가 가장 낮은 처리구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경도는 예냉온도 4℃, 저장온도 10℃ 처리구에서는 저장 후 10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당도는 가장 낮은 온도인 4℃에 저장하였을 때 우수하였다. 산도는 모든 온도처리에서 증가하였으나 실험종료 마지막 날 4℃ 예냉온도와 10℃ 저장온도 처리구에서 0.7%로 가장 높았다. 잿빛곰팡이는 10℃ 저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따라서 딸기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0℃에 예냉하여 4℃에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임상에서 사용하는 진단 검사 장치인 전산화 단층촬영기(CT)를 이용하여 Dicom 파일을 획득하였습니다. Dicom 파일과 3D 프로그램, 3D 프린터로 손가락 보조기(Finger brace)를 제작하였습니다. 손가락 보조기(Fin ger brace)는 인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형태의 정밀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3D Print는 정밀도가 우수하 고, 재료가 다양하고, 출력 시간이 짧은 이점이 있습니다. 임상에서는 알루미늄 보호대나 의료기 업체의 손 가락 보호대가 한정적입니다. 3D 프린터로 손가락 보조기(Finger brace)를 제작하면, 환자의 손가락 외상, 질병, 변형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정밀한 형태의 맞춤형 손가락 보조기(Finger brace)를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2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ditional alpha-linolenic acid (ALA) supplementation during in vitro maturation (IVM) and culture (IVC) on nucleic maturation and embryo development of pig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incubated in IVM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ALA (25, 50 and 100 μM) for 44 h. After in vitro maturation, nuclear maturation of oocytes were evaluated by aceto-orcein stain. Mature oocytes with 50 μM ALA were fertilized and cultured in IVC medium with ALA (25, 50 and 100 μM) during early-embryogenesis (48 hours after fertilization). Then, embryos were cultured with 25 μM ALA during early embryogenesis and/or late embryogenesis (120 hours after early-embryogenesis). In results, oocyte matu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 μM ALA treatment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p<0.05). Treatment of 25 μM ALA during early-embryogenesis enhanced cleavage rate of embryo compared with other groups (p<0.05), whereas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 of blastocys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imilarly, cleavage rate of embryos were increased by 25 μM ALA supplement during early- or late-embryogenesis than ALA treatment both stage of embryogenesis (p<0.05), but did not influence to blastocyst formation. Interestingly, total cell number of blastocyst were enhanced in ALA treatment group during early-embryogenesi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LA supplement enhance the nuclear maturation of oocyte and embryo development, however, excessive ALA could negatively influe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ALA is used for improvement of in vitro production of mammalian embryo and further study regarding with functional mechanism of ALA is needed.
        2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극심하고 지속적인 자외선에의 노출은 정상적인 피부구조를 파괴하는 다양한 피부 광노화 과정을 야기한 다. 자외선은 인체 피부에서 세포외기질의 구성성분을 분해시키는 기질 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발현을 활성화시키고, 콜라겐 합성은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의 탄력과 구조적 치밀도를 약화시켜 궁극 적으로 피부주름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부 광노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소재로서 영실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주인 Hs68을 이용하여 영실의 세포증식 촉진효능을 확인하였다. 여기 에 더해 영실이 activator protein (AP)-1 전사인자의 억제를 통해 MMP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mRNA 및 단백 질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진피층을 구성하는 타입 Ⅰ형 콜라겐과 표피-진피 경계부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타입 Ⅳ형 콜라겐 역시 영실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며, 자외선에 의한 염증반응의 억제에도 영실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영실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와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짐으로써 항노화, 항염증 및 항주름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rrect development of male gametophytes (pollen grains) in flowering plants is essential for proliferate in gamete production. Here we have taken a map-based cloning approach using Arabidopsis male gametophytic mutant, named gemini pollen3 (gem3)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key gene that is expressed gametophytically for the completion of microgametogenesis focusing on genes which control cell division and cell fate determination. Previously reported gem1 and gem2 mutant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gem3 that are disturbed at asymmetric division and cytokinesis at pollen mitosis I (PMI) in Arabidopsis. However, gem3 was mapped to a different genetic locus, and pollen developmental analysis revealed that gem3 exert an effect at meiosis and mitosis causing complete sterility. We also discovered that gem3 homozygous lines produce aberrant pollen grains, arising from incomplete cytokinesis during male meiosis with sporophytic phenotypes of twisted-shape leaves, large flowers. This mutation shows reduced genetic transmission of gem3 allele through male gametophyte. In previous results, the gem3 locus was confirmed by mapping to the region located on chromosome 5. To further confirm strong candidate gene, we performed sequencing and genetic complementation analysis. Currently, we are performing functional studies of the gem3 gene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molecular mechanisms that control asymmetric division at meiosis and mitosis during pollen developmen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