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23.
        2009.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advance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the study is to takes measures on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are really important personnel resources and can be said internal customers of the education system. Previous studies on the service quality show that most of them focused on students, particularly on the improvement of their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degrees of teachers, so that it might seek ways for the advancement of the teaching environment and teaching service quality, for which it has utilized the Performance Model developed by Hung et al.(2003). For the purpose, surveys were conducted on 30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statistic programme and the Performance Model. As a result a total of 18 items are mentioned as those to be improved. They include : Education Environment, Workplace Conditions, Performance Reward, Budget Arrangement, Welfare System. The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wo items of Performance Reward and Welfare System.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teachers who belong to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sangbuk-do want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reward with that of the other professional groups and they also want to enjoy such a welfare as academic fees for the children who studies at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ch complaints that it would give satisfaction to the teachers, the internal customers of the education organization.
        4,000원
        24.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인지기능저하를 보이는 경도인지장애(MCI)노인과 경증 알츠하이머 노인(AD)의 신체적 어포던스 지각 특성을 알기 위하여 정상 노인과 비교 하였다. 방법: 정상 노인 10명, MCI 노인 10명, AD 노인 11명을 대 상으로, 판지로 만든 크기 3.2cm에서 18.2cm의 정육면체 상자(한 변의 길이가 1cm씩 증가) 총 16개의 상자를 한 손 또는 양손으로 잡아 5cm 높이의 장애물을 넘겨 30cm 떨어진 목표 지점으로 옮기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지각판단 오류는 정상-0%, MCI- 22.5%, AD- 37.5%으로 AD 노인이 가장 높았다. 둘째, MCI, AD 노인 중 지각판단오류를 나타낸 노인은 오류를 나타내지 않은 노인과 정상 노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MCI, AD 노인 중 지각판단 오류가 나타 나지 않은 노인은 정상 노인과 비교하여 인지척도 비율에서는 차이가 나타지 않았으나 신체척도 비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MCI와 AD 노인들은 정상 노인과 비교해 인지기능 뿐 아니라 신체적 어포던스 지각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MCI와 AD 노인들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 신체적 어포던스 지각을 고려한 변인이 포함되어야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