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7

        2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는 주로 실내에 서식하며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주 요 해충이다. 주로 침구류에서 발생하며, 사람이나 동물로부터 떨어진 각질과 비듬 또는 저장 곡식 등을 주요 먹이원으로 한다. 암컷 한 마리가 일생에 200~300개의 알을 산란하기 때문에 빠르게 번식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크기이기 때문에 관찰 및 관리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긴털가루진드기로 인해 발생하는 알레르기 에 관한 연구는 환자의 치료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알레르기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털가루진드기를 효과적으로 방제하 기 위한 통합적 방제 전략을 제시한다. 열, 살비제(Chlorfenapyr, Spiromesifen, Pyflubumide), 초음파, Essential oil(Lemongrass, Peppermint)을 사용하여 살비 및 기피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온 노출은 100% 살비 효과를 보여주 었으며, 살비제는 3시간 동안 90% 이상의 살비 효과를 보여주었다. 긴털가루진드기가 초음파에 노출되었을 때 23%의 기피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Essential oil(Lemongrass, Peppermint)을 유인용 먹이에 처리했을 때, 긴털가루 진드기 97%의 접근을 차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 알레르기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주목받는 긴털가루진 드기에 대한 체계적인 방제 전략을 적절한 환경에 적용시킴으로써, 집먼지진드기로 인한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 발생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한다.
        2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misia tabaci is a polyphagous pest that transmits various viruses, including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while feeding on crops. Prior to identifying attractants of B. tabaci, the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sequence was obtained via transcriptome analysis of female adults. After injecting artificially synthesized PBAN into the female adults, the compounds contained in the female adults were extracted using hexan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as performed. As a result, 22 compounds showed quantitative differences after PBAN injection.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B. tabaci is attracted to 2-ethylhexanoic acid and phyt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2-ethylhexanoic acid and phytol can be used as attractants for the control of B. tabaci.
        2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moths, mating behavior is induced by sex pheromones released by the female being recognized by the males’s chemosensory systems.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sex pheromones in Maruca vitrata, chemosensory genes were identified via transcriptome analysis of male and female antennae and heads. Approximately, 11.1Gb, 10.8Gb, 12.1Gb, and 11.6Gb of data were obtained from the antennae and heads of th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irty-seven odorant binding proteins (OBPs), 21 chemosensory proteins, 7 sensory neuron membrane proteins, 102 odorant receptors (ORs), 36 ionotropic receptors, and 39 gustatory Receptors were identified as chemosensory genes from the M. vitrata. Among these genes, 5 OBPs and 4 ORs were specifically expressed in male antennae. These genes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the sex pheromone recognition of M. vitrata.
        2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bees are pollinating agent of economic importance, and a model organism for microbiome analysis. The microbiota plays a great role in honeybee health and development as such needs to be fully elucidated among Apis mellifera in Korea. using 16S rRNA gene illumina sequencing, the gut microbiota of Apis mellifera at four developmental stages under natural condition shows dysbiosis of essential microbiota, especially between the 5-days larvae and workers.
        2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이식에 강하고 도심 환경에서의 스트레스에 강한 저항성을 지니고 있으며 병해충이 많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대왕참나무가 가로수 및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다. 하지만 대왕참나무의 식재량이 증가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해충 피해가 보고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왕참나 무의 식재 환경에 따른 해충 발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22년부터 2023년 동안 7~8월 중에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육안조사법과 고지 가위를 활용하여 줄기와 잎에서 해충의 종별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대왕참나 무의 식재 환경은 도로변과 공원으로 구분하였고, 서울, 성남, 춘천, 원주, 여수, 함안, 창원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다. 조사 결과 총 20과 34종 1,126개체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가로수에서 15과 18종 699개체가 관찰되었고 공원 지역에서 17과 27종 427개체가 관찰되었다. 가로수에서 나비목과 노린재목 해충이 더 많았으며 공원에서는 딱정벌레목 해충이 더 많았다.
        2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외래해충의 침입과 확산의 우려가 증대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이들에 대한 종합적인 시스템구축으로 신속한 탐색과 방제에 대한 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의 확보를 위안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침입해충에 대한 종합시스템은 내·외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페이지, 이용자별 권한에 따른 데이터 등록 페이지와 관리페이지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서비스제공 페이지는 K-SDM 소개, 통합검색, 외래 곤충 정보(종 별 정보),외래 곤충 분포(조사통계), 외래 곤충 예측(예상 분포 및 시나리오), 정보마당(공지사항, 보도자료), 서비스 이용 매뉴얼, 사이트 맵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시스템의 운용을 위해 회원가입 승인을 마친 내부이용자와 외부 이용자(일반 이용자 제외)가 데이터 등록 시에 사용하는 데이터관리 페이지는 조사데이터 등록, 이전 등록 데이터 수정, 데이터 등록 매뉴얼, 데이터 열람, 필요데이터 출력과 알림, 메시지, 과제등록현황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기관 관리자가 사용하는 DB 및 시스템 관리페이지는 데이터관리, 과제관리, 종 관리, 통계관리, 예측관리, WEB 서비스관리, 이용자 관리, 기관관리를 포함한다. 각 상세 기능들의 구현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졌다.
        29.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iven the limited terrestrial reserves of uranium (approximately 4.6 million tons), exploring alternative resources is necessary to secure a sustainable, long-term supply of nuclear energy. Uranium extraction from seawater (UES) is a potential solution since the amount of uranium dissolved in seawater (approximately 4.5 billion tons) is about 1,000 times that of terrestrial reserves. However, due to the ultra-low concentration of uranium in seawater (approximately 3.3 ppb), making UES economically viable is a challenging task.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potential of using thermal discharge from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for uranium extraction. The motivation for this comes from previous research showing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amidoxime-based adsorbents is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of the seawater in which they are deployed. Specifically, a study conducted in Japan found that a 10°C increase in seawater temperature resulted in a 1.5-fold increase in adsorption capacity.
        30.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iven the limited terrestrial reserves of uranium (about 4.6 million tons), exploring alternative resources is essential to ensure the long-term supply and sustainability of nuclear energy. Uranium extraction from seawater (UES) is a potential solution to this issue since the amount of uranium dissolved in seawater (about 4.5 billion tons) is approximately 1000 times that of terrestrial reserves. However, the ultra-low concentration of uranium in seawater (about 3.3 ppb) makes it a challenging task to make UES economically feasible.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UES technology, which has evolved over the past seven decades. Starting from inorganic adsorbents such as hydrous titanium oxide in the 1960s, amidoxime-based fibrous adsorbents gained the most attention until the early 2010s due to their ease of deployment in actual seawater conditions and high affinity for uranium. Nowadays, research on organic adsorbents with microstructures is prevailing due to their ability to easily control surface area and composi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key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make UES technology economically viabl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