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5

        144.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상사화의 종자발아촉진(種子發芽促進)을 위하여 종피제거(種皮除去), 배유(胚乳)의 일부절제(切除)와 xylene처리(處理),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와 화학약품처리(化學藥品處理) 및 저온처리(低溫處理)를 실시(實施)하여 파종 4개월후 발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종피제거(種皮除去)는 무제거(無除去)에 비해 발아율(發芽率)을 높일 수 있었고 특히 종피제거(種皮除去)+xylene처리(處理) 는 63%의 발아율을 얻었다. 2. GA3는 kinetin 처리(處理)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고 특히 GA3 200ppm에서 60%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3. KNO3는 KOH 처리(處理)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특히 KNO3는 0. 1% 처리(處理)에서 76%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종자(種子)를 5℃ 1개월(個月) 저온처리후(低溫處理後) 파종(播種)한 발아율(發芽率)은 77%, 2개월(個月) 처리(處理)는 93%, 3개월(個月) 83%, 4개월(個月) 80%로 5℃ 저온(低溫) 2개월(個月) 처리후(處理後) 파종(播種)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145.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ycoris의 종자발아(種子發芽)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자 온도(溫度), 채종시기(採種時期)와 파종시기(播種時期), 파종용토(播種用土)과 용토(用土)의 수분량(水分量) 및 광선(光線)의 유무(有無)가 종자발아(種子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양꽃과 개상사화(想思花)는 90% 이상 결실(結實)하였고 종자성숙(種子成熟)은 9~10월 상순(上旬)으로 나타났는데 60% 이상의 발아율(發芽率)을 얻는데는 6개월이 소요되었다. 2. 발아적온(發芽適溫)은 25℃로 나타났고 변온처리(變溫處理)는 20, 25℃에서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채종적기(採種適期)는 9월(月) 20일(日)경이었고 파종시기(播種時期)는 채종(採種) 즉시 파종(播種)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4. 파종용토(播種用土)은 사양토가 가장 좋았고 용토(用土)의 수분량(水分量)은 용토(用土) 400mg당 PF 1. 9가 가장 적당하였다. 4. 종자발아(種子發芽)는 암조건(暗條件)이 명조건(明條件)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