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南冥과 退溪 先生의 用韻 系統을 歸納했는데, 이 系統으로 平水韻 과 比較하고, 中國의 詩人인 蘇軾과 高啟의 用韻 系統을 比較하여 退溪와 南冥 의 用韻 系統의 특징을 지적해내고, 朝鮮 16세기 文學語音에 대한 초보적인 탐 구를 했다. 南冥이 入聲 韻尾를 쓰는데 혼란한 것이 대략 100분의 8을 점하고, 退溪는 入 聲 韻尾를 쓰는데 혼란한 것이 대략 100분의 13을 점한다. 응당 入聲 韻尾인- p・-l・-k가 셋으로 나누어진 상황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고, 실제 用韻 에 통용한 상황이 있는데, 南冥은 用韻의 혼란이 많지 않은데, 退溪는 用韻의 혼란이 비교적 많다. 平水韻은 13세기에 출현한 뒤로 줄곧 清나라에 이르기까지 影響이 매우 컸 다. 中國의 지식인이 格律詩를 쓰면서, 韻字를 고르고 平仄을 배치할 때 모두 平水韻의 규정을 준수했다. 우리들은 응당 南冥・退溪의 押韻 체계가 平水韻과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보아야 한다. 쉽게 말을 하기 위해서 또한 󰡔廣韻󰡕 의 韻目으로 기초를 삼는다. 눈에 뜨이게 하기 위해서 또한 표를 열거하는 방법을 쓰는데, 첫 번째 줄은 󰡔廣韻󰡕 208韻 韻目이고, 두 번째 줄은 平水韻 106韻의 韻目이고, 세 번째 줄은 退溪先生이 用 韻한 韻部이고, 네 번째 줄은 南冥先生이 用韻한 韻部이다. 韻目은 平聲이 上聲 과 去聲을 포괄한다. 󰡔廣韻󰡕으로부터 平水韻에 이르고, 다시 朝鮮詩人의 用韻 에 이르러 韻部는 간단해지고 통합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부호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