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wing on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ingguo Lane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in Changzhou City, analyzing the evolutionary mechanisms of cultural capital reproduction and social space reconstruction. The research finds that the local government, leveraging institutional cultural capital and symbolic power, selectively codifies historical narratives—such as the official discourse of “the first lane of Jiangnan celebrities”—to dominate the construction of a new cultural field. Developers, in turn, capitalize on economic resources to drive spatial reproduction, converting cultural capital into economic capital and shaping a consumer-oriented field characterized by an “elegant gathering and slow-living” lifestyle. Meanwhile, indigenous residents face displacement, loss of social capital, and deprivation of cultural interpretive rights amid the dynamics of capital. The renewal process not only transforms the material space but also reconstructs social relations through a closed-loop conversion between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presenting a dynamic logic of “institutional cultural capital dominance—economic capital proliferation—social capital dissolution.”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future culture-oriented urban renewal to prioritize the sustainable reproduction of cultural capital and the inclusive development of social space, in order to balance heritage conservation with community rights.
사대부가 창작의 주체인 문인화는 필묵을 숭상하며 채색이 맑고 담백하다. 민화나 궁정 회화에 비해 정신적 의미의 표현 과 화면의 상징적 의미를 더욱 중요시하고 문인의 사고방식으 로 물상을 정신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화가 개인의 정서와 관념 을 투영한다. 이로써 작품은 정신세계의 물질화 형식으로 존재 한다. 그리하여 문인화는 ‘자기 위안’과 ‘유사성을 추구하지 않 고 운율 생성을 추구하는’ 회화 이념을 형성하였다. 문인화는 어떤 기법의 대명사가 아니라 일종의 관념이자 의 식이다. 필묵과 색채의 계승 면에서 채색-흑백-간결한 필묵-필 묵+색채의 발전과정을 거쳤다. 이는 오채의 아름다움을 보여준 당(唐)대에 기원하여 송대에 발전하였다. 당시 궁정 회화가 주 류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문인화가는 자신만의 회화의 길을 묵묵히 고수하며 탐색하였다. 북송부터 오대 시기까지 색 채를 벗겨냄으로써 차별화된 흑백산수화가 형성되었다. 원대에 는 복잡한 필치의 준찰(皴擦)을 버리고 깨끗하고 간결하게 화 면을 구성하였다. 대부분 수묵 위주이지만 화가는 ‘묵분오색’, ‘여백’ 등의 형식을 통해 문인화의 독특한 필묵의 언어 및 색채 관계를 형성하였다. 명·청시대에는 고대의 기법을 바탕으로 필 (筆)을 뼈대로, 묵(墨)은 살로 삼고 색으로 정신(神)을 입힘으로 써 필묵과 색채가 서로 돋보이도록 하였다. 본고는 회화 주체의 역할 변화 및 시대적 배경의 관점에서 문인화의 ‘기승전결’을 탐구하고, 문인의 내면 정신과 사고방식 을 결합하여 필묵과 색채 표현 간의 부침을 분석한다. 필묵과 채색으로 화면의 색채를 운용하는 관계에서 출발하여 문인화의 비판적인 색채 계승 및 재창조를 해석하고 문인화의 필묵과 색 채 간 긴밀한 연관성을 정리한다. 그러면 문인화를 더 잘 이해 하고 시대정신에 맞는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