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nthly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by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collected fishes were 1,529 individuals (183,840g) of the total, identified into 6 orders, 16 families and 24 species. The most dominant order fish was Perciformes comprised 9 species, 7 families, and followed Pleuronectiformes comprised 5 species, 3 families, Scorpaeniformes comprised 5 species, 2 families. These 3 orders constituted 81.1% of the total collected fish. During the study, most dominant species was Hexagrammos otakii accounted for 189 individuals (12.4%) of the total, followed by Lateolabrax japonicus 165 individuals (10.8%), Hexagrammos agrammus 154 individuals (10.0%). The fish was collected by a gill net in coastal water of Yeosu from October, 2009 and February, May, August, 2010, the diversity index of the fishes was 2.09~2.66,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The evenness index of them was 0.84~0.89, which was the highest in August, 2010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and the richness index of them was 2.02~3.14, which was the highest in October, 2009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10. The analyzed species diversity index by the each stations was 2.47~2.66 and the evenness index was 0.84~0.90 and the richness index 2.99~3.37. The similarity of community structure per season was very high which was the least in spring and fall. In addition, the community structure was very similar in state 3 and 2 out of each stations.
        4,000원
        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학부설영재교육원 소속 28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13개의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지식수준, 심각성, 확실성, 체험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지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Draw-An-Earth Test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와 이미지에 담긴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DAET 체크리스트와 인터뷰 분석 결과 지구계의 구성요소에서 80개, 지구계의 상호작용에서 11개, 지구계의 소양 영역에서 4개의 요소가 확인되었다. 학생들은 지식 수준과 관련하여 대기 오염, 지구온난화, 수질 오염에 가장 잘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수질 오염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또한 산성비, 대기 오염, 수질 오염에 대하여 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성비, 대기오염, 산림파괴에 대하여 체험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수 학습 측면에서 초등 과학 영재들이 지구계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