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근대기 중국과 한국의 회화세계 속에는 드러나거나 내재된 문학 적 내용이 많은데, 이러한 회화작품들은 다시 문학의 창작과 감상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시문이 조형이미지로 표현되는 거대한 흐름 속에 서 시문-회화-시문-회화 순으로 넘나드는 수용(受容)의 역사가 일어 났고 이가 지속되는 가운데, 회화로 그려진 조형이미지가 영향력을 발휘하여 시문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시문의 감상을 지배하게 되었 던 경우를 말한다. 이 글은 시(詩)·화(畵) 제작의 상호영향에 있어서 회화의 조형이미 지가 시문의 우위에서 작동했던 대표적인 예로 당나라 왕유(王維, 701-761)의 ‘망천(輞川)’ 별장에 관련된 시문과 그림의 수용사를 살폈 다. 왕유가 망천장을 시와 그림으로 표현하였고, 왕유의 시화작업은 시·화 상통의 가장 대표적 예로 송대부터 추앙되었다. 조선시대에도 망천은 끊임없는 시·화의 주제였다. ‘망천’은 실재하는 특정한 곳이고, 왕유의 시문은 글자가 바뀌지 않고 전달되었지만 이를 그린 회화의 조형이미지에서 역사적 혹은 지역적 변화가 발생하면서, 망천의 이미 지 자체에 변화가 일게 된다. 특히 중국 명대의 부화해지는 문화 속 에서 망천 조형이미지는 지나치게 소박하게 변화한다. 달라진 조형이 미지는 망천의 상상이미지를 지배하고 시의 제작의 실제 내용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망천을 그린 조선의 회화작품에는 조선의 풍경이 삽입되어 변화했 고, 이러한 변화된 이미지는 조선의 문인들에게 상상된 망천의 이미 지를 알려준다. 현전하는 조선후기 이방운의 망천도 몇 점은 좋은 예 이다. 조선시대 회화로 구현된 망천의 이미지는 왕유의 망천을 표방 하면서 그 시절 은거산수의 이상을 보여주는 보편적 이미지로 작동 하였다.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