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의 주거생활과 문화는 80년대부터 놀라운 성장을 이루어 왔다. 특히 가계소득의 증가는 대가족 단독세대의 주거문화에서 아파트의 소가족 다세대 주거형태로 변모하였다. 이처럼 주거형태의 변모는 화장실과 욕실의 공간이 실내로 들어오면서 사람들의 생활패턴도 변화를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고령자의 증가로 고령자의 주거형태에 대한 연구와 1인가구의 주거형 태가 많아지면서 욕실(화장실을 포함)공간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고령자 및 1~2인가구가 늘어나고, 개인들의 스마트기기 활용시간이 연장되면서 생리현상의 공간에서 힐링과 정보이용의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욕실 공간의 활용과 사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ICT기반기술을 접목한 욕실공간의 새로운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과 진행은 20~40대의 사용자 포커스그룹(FGI)을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조건과 서비스조건을 파악하고 스마트욕실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연구내용으로 포커스그룹의 설문조사, 인터뷰, 코크레이션 워크샵을 진행하며 욕실사용에 대한 요구조건과 향후 욕실에 대한 서비스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ICT기반 기술의 서비스개념도를 구성하고 퍼소나 유형의 서비스 샘플과 서비스모델 시나리오를 제작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서비스시나리오의 결과에 따라 미래 욕실의 구성과 ICT기술의 융합에 대한 향후 전망을 제안하고 욕실의 사용 환경의 변화와 시설환경의 개선에 대한 전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에 IT기술과 스마트기기의 발전이 사람들의 시간, 공간, 장소에 차별 없이 정보를 공유하며 생활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ICT기술이 갖추어진 욕실환경은 사용자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유지할 수 있는 욕실공 간의 전망을 제안하며, 특히 고령자나 1인 가구에 본 연구결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주민의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에 대한 다양한 욕구와 지역의 특성화와 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조례제정 등으로 공공환경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수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시행 10년째를 맞이하여 각 지자체별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3개 지자체의 인증 결과를 중심으로 인증현황과, 디자인 경향을 분석하고 문제점 파악과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3개 지방자치단체들 의 공공 가로시설물 디자인 인증제도 실태 분석을 통하여 개선 방안으로 공공 시설물 인증을 전담하는 기구 설치 운영과, 정성적 평가를 최소화하고 정량적 평가로 디자인과 품질을 갖추도록 전환 하고,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지역 특성화를 이루도록 조례와 가이드라인 등을 정비해야할 필요성과, 독립적 공공 디자인 전담부서 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민 전체가 사용하는 의약품 용기에는 매우 민감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고령화 인구의 증가와 인적교류의 이해는 다양한 외국인들이 국내에 생활하는 것을 대비하여 의약품의 복약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용기디자인의 준비가 필요로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용기디자인에 필요한 유니버설디자인 7가지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연구 제안하는 것이다. 그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의약품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인 사용방법과 복약조건을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정확한 복약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려면 용기의 사용방법과 인쇄 및 표기를 통하여 가독성이 뛰어난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향후, 올바른 복약을 위해서는 IOT기술과 연계된 복약어플리케이션은 개발되어 활용방안도 고려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공통된 인지와 복약여부의 결과를 갖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복용량과 시간 등의 복약조건들에 대한 인지요소 등을 통하여 3차, 4차 복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복약순응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용기디자인의 조건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용기디자인은 외국인이나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정보전달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용기디자인을 할 때는 용기와 캡의 관계에서 정량배출과, 정시복용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균재질의 용기, 점자표기, 컬러인식표기, 약품 종류표기, 조제에 의한 약의 제제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의 조건들과 방법들의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