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vironmental DNA (eDNA)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aquatic biodiversity monitoring, yet its collection in lentic ecosystems remains technically constrained by filtration capacity and field logistics. In this study, we applied a novel eDNA concentration system, QuickConcTM, to evaluate freshwater mussel diversity in lakes, and compared its performance with the conventional GF/F filtration metho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reservoirs at surface, mid, bottom, and waterside layers, and processed using both filtration techniques. Metabarcoding of mitochondrial 16S rDNA revealed that QuickConcTM captured a higher average number of amplicon sequence variants (ASVs) and exhibited greater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Shannon and Simpson),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ickConcTM samples showed a greater capacity to detect rare taxa and to recover higher ASV richness in certain cases, sugges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biodiversity resolution. Species composition remained consistent across methods, with Cristaria plicata and Sinanodonta lauta being dominant in both cases. However, slight spatial variations in species assemblages were observed between center and waterside sampling point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habitat heterogeneity on eDNA distribution.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QuickConcTM system offers a practical and efficient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ltration methods for eDNA-based freshwater mussel monitoring, particularly in environments with high suspended solids. The findings underline the need for adaptive sampling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method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when designing eDNA surveys in lentic ecosystems.
        4,000원
        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규모 토목 및 건축 구조물 증가 추세로 건설 부재의 고강도 및 경량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 시멘트 경량 복합체의 경우 단위 체적 중량이 낮아 강도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통 경량화를 위해서 시멘트 복합체를 배합할 때 일반 경량골재와 고무재질의 경량골재, 플라스틱 펠릿 등 다양한 인공 경량골재를 적용한 시멘트 복합체로 경량화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시멘트 복합체의 인공 경량골재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골재 자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지만 재료의 매끄러운 표면 특성으로 인해 시멘트 페이스트와 부착하는 데 불리한 부분이 있고 이는 콘크리트 골재 또는 시멘트 복합체 골재로서의 사용에 있어 단점이 된다. 띠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플라스틱 골재 로 가장 적합한 유형으로 확인된 PP, PE 두가지 유형의 플라스틱 골재와 강섬유, 양생방법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 플라스틱의 비중이나 표면 재질뿐만 아니라 강섬유의 혼입유무, 양생방법에 의해서 시멘트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