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달의 배설물에 근거해 한국 수달의 서식지 분포 및 그 패턴을 유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포 조사에 사용한 총 750개의 조사 격자 (13.75X11\;km) 중 34%에 이르는 255개의 구획에서 수달의 배설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달 배설물의 지역적 분포 빈도는 경상북도(49.62%), 강원도 (49.56%), 충청북도 (41.67%), 경상남도 (38.00%), 전라북도 (37.93%), 전라남도 (24.24%
에콰로르의 수도인 키도와 갈라파고스에서 2000년 8월 1일부터 18일까지 거미상을 조사한 결과 총 562개체를 채집하였으며, 그 중 22과 48속 50종을 동정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키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에는 배회성 보다 정주성 거미류가 더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asteracantha cancriformis (Linnaeus 175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에 Gasteracantha cancriformis를 재기재하여 보고하고
호주산 독거미의 일종인 Red-Back Spider (Latrodectus hasselti)는 고온의 사막이나 저온의 산악지역을 제외하고 호주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거미로 뉴질랜드의 Katipo Spider나 미국의 Black Widow Spider와 같은 과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주에는 1속 1종이 보고된 바 있으며, 독거미 중에서는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종이다. 이에 저자는 호주 채집여행을 하며 채집한 종들 중 Red-Back sp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