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파리의 월동 유무, 발생실태 및 피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버섯파리의 버섯재배지 내외에서의 월동 유무는 천안시 동남구 동면 죽계리와 풍세면 용정리의 원목재배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버섯재배사 내외에 황색 끈끈이트랩을 설치한 후 주기적으로 트랩을 교체하면서 월동에서 깨어난 성충의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12년 4월 4일에 재배사 근처의 야산에 설치하였던 끈끈이트랩에서 성충의 유인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고버섯 재배지 내외의 원목껍질과 부엽층을 채취하여 실내에서 곤충사육상자에 넣은 후 25±3℃, 습도 80±10% 조건을 유지하면서 번데기에서 우화하는 성충을 조사한 결과 처리 7일째부터 버섯재배지와 야산에서 채집한 춴목껍질과 부엽층에서 버섯파리의 성충이 우화하였다. 천안시 동남구 동면 양곡리의 느타리버섯 재배지에서는 주로 긴수염버섯파리가 발생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을 전후로 가장 많은 발생밀도를 보였다. 그리고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생밀도와 버섯의 피해률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y=0.0398x+0.2271 (R2=0.9087)로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천안시 동남구 동면 죽계리와 풍세면 용정리의 원목재배 표고버섯 재배지에서는 긴수염버섯파리와 미동정 2종의 버섯파리가 발생하고 있었다. 원목재배 표고버섯에서 버섯파리의 발생최성기는 7월 초순을 전후로 가장 많은 발생밀도를 보였다. 느타리버섯과 같이 표고버섯에서도 버섯파리의 발생밀도와 버섯의 피해률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2.
        201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발생하여 배지, 균사 및 버섯에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하여 생산량을 감소키시는 버섯파리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천적인 곤충병원성선충과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재배지 버섯파리 방제 시험은 천안시 동남구 동면 양곡리에서 수행하였으며, 재배형태는 균상재배였다. 버섯파리의 방제를 위하여 곤충병원성 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strain) 제품(에코윈-S)을 50평당 1회 처리시 2천만 마리(1팩)를 물과 희석하여 살포하였다. 처리일은 5월 3일과 6월 1일로 2회 살포하였다. 그 결과 5월 3일에 끈끈이트랩 당 성충유인수가 무처리구 80.2마리, 처리구 32.2마리에서 36일째인 6월 28일에는 각각 1,039.8마리, 357.6마리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65.6%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재배지 버섯파리 방제 시험은 천안시 동남구 동면 죽계리와 풍세면 용정리에서 수행하였으며, 재배형태는 원목재배였다. 동면 죽계리에서 버섯파리의 방제를 위하여 아큐레이퍼응애(Hypoaspis aculeifer)를 127평 당 1회 처리시 2만 마리(2병)을 방사하였다. 처리일은 5월 3일, 6월 1일, 6월 28일로 3회 방사하였다. 그 결과 5월 3일에 끈끈이트랩 당성충유인수가 무처리구 94.5마리, 처리구 39.5마리에서 7월 11일에는 각각 1,774.3마리, 60.4마리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96.6%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풍세면 용정리에서는 아큐레이퍼응애를 1,090평 당 1회 처리시 4만 마리(4병)을 방사하였다. 처리일은 5월 3일, 6월 1일, 6월 28일로 3회 방사하였다. 그 결과 7월 11일의 방제 효과는 97.9%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