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당저수지의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비수변 농경지를 대조군 지역으로 설정하고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의 개체수 및 생물량 비교, 어류와 양서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분석, 시기별 개체수 변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지역에서 포획된 어류종수는 8과 13종이며, 양서류 종수는 5종이었다. 수변 농경지에서는 미꾸리과 어류, 붕어, 잉어 등의 13종의 어종이 포획되었고,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미꾸리 과 어류, 붕어 등의 3종의 어종이 포획되었다. 양서류는 황소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한국산개구리, 옴개구리 총 5종의 유생이 포획되었는데,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5종의 양서류 유생이 포획되었고, 수변 농경지에서는 2종의 양서류 유생이 포획되었다. 수변 농경지와 비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변 농경지에는 잉어과 어류가 많이 포획되었으며, 비수변 농경지에는 미꾸리과 어류가 많이 포획되었다. 어류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분석결과, 잉어과 어류는 겨울철에 담수되고, 예당저수지와의 거리가 가까운 농경지에서 주로 출현할 가능성 이 높으며, 미꾸리과 어류는 산간 저수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고, 논과 배수로가 잘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서류의 경우, 비수변 농경지에서 수변 농경지보다 양서류의 유생이 많이 포획되었다. 수변 농경지에 서는 황소개구리가 우점하였고,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참개구리가 우점하였다. 황소개구리 유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요소는 겨울철에 담수되고 예당저수지에 가까운 농경지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고, 참개구리의 경우는 산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예당저수지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다.
        4,000원
        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Baekyang rice fields near the Junam reservoir, 87 of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and 1,010 individuals of White-fronted geese Anser albifrons were observed on average. The number of White-naped cranes and White-fronted geese observed in B site was higher than that in A site where the frequency of disturbances such as vehicles and visitor’s accesses were higher. After the vehicles’ and people’s access were controlled, the number of White-naped cranes used in A sit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at of White-fronted geese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We propose that the controls for the vehicles’ and visitor’s accesses to the Baekyang birdwatching facilities in A site from November to March will stably enhance the foraging opportunity of White-naped crane in the Baekyang rice fields. Among the four types of rice fields, Whitenaped cranes and White-fronted geese preferred mostly to forage at the rice fields which were not plowed and straws were removed. White-fronted geese also preferred to forage at the barley cultivated fields. Small number of White-naped cranes choose the rice fields which were not plowed and straws were left with highest density of seeds (308 m2) in rice fields and lowest proportion of Baekyang rice fields. And the two species didn’t forage at the plowed rice fields. We propose to recommend to farmers to leave straws and not to plow in rice fields.
        4,000원
        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habitat selection by the Eastern Bean Goose Anser fabalis in the Upo wetland, Changnyeong gun. South Korea from October 2004 to March 2005. The mean number of Eastern Bean Geese was 2,104 individual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inimum number of about 100 individuals was observed in October 2004, and the maximum number of about 3,000 individuals was observed in November 2004 and January 2005. Fourteen sites were classified with respect to water depth and dominant food plant types, and the number of geese using the 14 sites was recorded every week. The sites that were mainly used were S-2 in Sajipo and Z-1 in Jjokjibeol in October, S-2 and S-4 in November, sites U-2 in Upo and Z-1 in December, sites U-2 and S-4 in January and February, and sites U-2 and Z-1 in March. Three aquatic plants, Scirpus fluviatillis, Trapa japonica, and Zizania latifolia were the main food for geese in the Upo wetland. We determined the monthly habitat selection indexes (Jacob’s index) for the three habitat types,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aquatic plant species. The habitat selection index of the area where Zizania latifolia predominated from October to February had the highest score of 0.40~0.47 among the three habitat types. This indicated that Bean Geese strongly preferred the habitat where Zizania latifolia predominated from October to February. By contrast, the habitat where Scirpus fluviatillis predominated was selected mainly in March. Faecal samples were collected randomly at the six sites mainly used by the geese each month. Zizania latifolia predominated in faeces from October to November, but the proportion of Scirpus fluviatillis and Trapa japonica in faeces increased from December to February.
        4,000원
        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aging preference in prey size and type is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energy requirements, season-dependent food availability, and social context (e.g. competition and predation risk). The oriental stork (Ciconia boyciana) is known as a wetland forager that inhabits human-managed wetlands such as paddy fields while breeding. However, it became an internationally endangered species. Information on its foraging preference is anticipa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storks in captivity with a variety of food types as well as managing the food availability in foraging habitats of reintroduction site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foraging preference of the subject in captivity as a partial study of the prerelease training and habitat management programs prior to reintroduction. The observations of foraging behavior of breeding adult storks included foraging preference in prey size (i.e. small, less than 6 cm, vs. large, larger than 6 cm, mudfish) during the incubation and nestling periods (March to April of 2009~2010) and prey type (i.e. mudfish, Misgurnus spp., crickets, Gryllus spp., and earthworms, Lumbricus spp.) during the postnesting period (October of 2009~2010). Our results indicated that storks in captivity not only preferred large to small mudfish independent of breeding stage but also preferred mudfish to crickets and earthworms. To our knowledge, captive storks did not appear to be constrained by providing offspring with various mudfish size and were likely dependent on mudfish, suggesting that a mudfish population in paddy fields should be monitored and managed for the main food resource for breeding storks prior to reintroduction.
        4,000원
        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종 황새의 야생 방사를 위한 먹이 서식지 조성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야생 황새의 먹이 서식지 보호와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 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20일부터 8월 16일까지 서식지 먹이 밀도와 수심 변화에 따른 서식지 이용률 및 섭식행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황새는 밀도가 높은 서식지에서
        4,000원
        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Rana chosenica)개체군의 존속 가능성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보전 대책의 마련과 야생복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충북 청원군에 서식하는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군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금개구리의 개체군은 30년간 1,000회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0.113의 낮은 성장률을 가지고 존속해 나갈 것이라 예측이 되었으나 절멸가능성 또한 81.1%로 매우 높아 환경적으로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금개구리 개체군의 개체군 성장
        4,000원
        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종 황새의 보존와 복원 계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황새의 섭식행동과 서식지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 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16일부터 7월 11일까지 25일간 일일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섭식 행동 변화, 먹이 종류 및 양, 먹이 서식지 선택을 관찰하였다. 황새 암수의 하루 중 시간에 따른 섭식 시간과 휴식 시간
        4,000원
        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주시와 청원군 내 금개구리 (Rana chosenica) 개체군의 지역적인 분포를 밝히고 금개구리 울음소리의 시간적 변이를 알아보고자 1/50,000 지도상에 2×2km2의 총 226개 격자를 만들고, 이 중 53개 (총 격자의 23.5%) 격자를 선정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가장 많은 개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개체군을 선정하여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울음소리 개체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53개 격자 중 4곳에서 1번 이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