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혁신교수법을 적용하여 운영한 지역학 수업, 구체적으로는 <베트남학입문> 교과목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 12 명과의 면담 자료를 근거이론에 기반해 분석했다. 총 52개의 개념과 18 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6개의 상위 범주로 통합한 뒤, ‘혁신교 수법을 통한 학습 성과’라는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학습 성과를 ‘연결형’, ‘도전형’, ‘기본 충실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능동적이고 실천적인 탐색 학습자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교 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결형’ 학습자들은 언 어 학습에 대한 흥미 저하를 사회적 이슈나 다전공 분야와 연결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강화했다. ‘도전형’ 학습자들은 현지어 자료를 탐색하고 현 지인과 직접 교류하는 과정에서 정보 수집과 분석, 문제해결 과정을 능 동적으로 수행했다. ‘기본 충실형’ 학습자들은 혁신교수법을 적용한 구조 화된 학습 환경에서 언어 학습에 대한 만족과 몰입을 경험하며 베트남어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