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는 ‘-이-, -히-, -리-, -기-’ 등과 같은 접미사가 첨가되어 흔 히 단일 피동문을 형성하는데 ‘-어지-’를 가하여 이중피동이라고 칭하고 구성된 것이다. 이 연구는 ‘피동접미사 + -어지-’ 구성을 대상으로 삼아, 이의 실제 언어 현실에서 구어로 많이 사용되는 양상과 통사 및 의미 특 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피동접미사 + -어지-’ 구 성에서 ‘-이/히/리/기-’와 ‘-어지-’가 함께 사용될 때, ‘-이/히/리/기-’ 가 피동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어지-’의 피동 의미가 약해지고 다른 의 미가 발생한다는 주장을 제시한다. 연구 방법론은 국립국어원의 일상 대 화 말뭉치 2020(버전 1.1)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필요에 따라 인 터넷 자료를 보완적으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피동접미사 + -어지-’ 구 성의 양상을 추출하고, 다음으로는 통사적 특징을 서술어 제약, 시제나 양태를 나타내는 어미 제약, 보조용언 제약, 부정문 제약으로 구분하여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피동접미사 + -어지-’ 구성의 의미 특징을 검토 하면서 ‘-어지-’의 의미는 ‘동작의 진행’을 강조하는 강조법과 ‘능력’이나 ‘무의도’의 양태 의미로 분석한다. ‘피동접미사 + -어지-’ 구성의 사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서 보면 본 연구가 이 구성이 문법적인 표현으로 인정하는 것을 힘써서 일반적인 언어 변화의 양상을 고찰한 의의가 있다.
        6,900원
        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연결어미 ‘-다가’로 이루어진 구문의 특징을 살펴보고 ‘-다 가’ 구문을 의미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으로 기술할 것이다. ‘-다가’의 여 러 가지 의미 기능 중에서 전후의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계기’가 기본 의미임을 밝힐 것이다. ‘-다가’는 연결어미로서 절과 절을 연결시키는 역 할을 한다. ‘-다가’의 의미는 대등적 접속문과 종속적 접속문에서 선 ·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맥락에 따라 결정되 는 이런 의미들은 ‘-다가’의 문맥 의미로 보고 이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 였다. ‘-다가’의 문맥 의미는 종속적 접속문도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에 따라 ‘우연 계기’, ‘원인 계기’, ‘조건 계기’와 ‘부가 계기’의미로 나타나 므로 다양한 구문과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인지의미론에 개념 화자의 정신 공간 이론을 바탕으로 기저 공간(base space)에서 새로운 정신공간이 구축되며 ‘계기’가 ‘-다가’의 기본 의미를 논증하였다. 그리고 개념 혼성 이론을 이용하여 문맥 의미를 밝혔다.
        6,700원
        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형격 명사구 구성 ‘명사+ 의+ 명사’에서 선행 성분과 후 행 성분을 연결을 시키는 ‘의’는 단순한 수의적 실현 경우에서 특히 통사 적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수의적 경우에서 나타난 ‘의’ 생략 실현 양상을 검토하고자 할 것이다. 본 연구 는 먼저 기저 구조에 들어가 문장에서 서술어와 논항을 연결하는 관계 즉, 연합성 관계를 통해, ‘의’가 속한 관형격 명사구가 서술어와의 연합 성 정도에 따라서 1차 서술어적 관형격 명사구와 2차 서술어적 관형격 명사구로 나뉜다. 다음은 관형격 명사구가 표면구조에서 벗어나서 심층 구조에 변형하며 ‘NP1+ 의+ NP2’는 총 아홉 가지로 분류한다. 그리고 관형격 명사구가 통사적 기저문장 변형에서 유형과 양상을 검토하며 통 사적 수의적 경우는 네 가지, 의미적 수의적 경우는 네 가지로 나뉜다. 이런 분류를 통해 순수한 관형격 조사 ‘의’가 수의적 실현 경우에서 생략 의 형상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문장에서, 화자의 직관과 명사구 사용 상황에 따라 ‘의’가 강한 수의성 (possessiveness)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강한 수의성을 갖 는 ‘의’는 문장 내에서 기저 구조를 분석을 통해 ‘의’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