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2.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원예교육을 전인적으로 실시하는 대표적인 활동교육으로서 아동원예전문가(Junior master gardener)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원예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원예전문가(JMG) 프로그램의 개념 및 내용을 분석하고 특성을 규명하며, 국내 원예교육과정 및 한국 JMG 프로그램과 비교・분석하여 국내 원예교육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내 Cooperative extension에 소속되어 있는 아동 원예관련 프로그램과 JM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원예교육 프로그램과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JMG 프로그램 분석 준거를 마련하여 관련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JMG 프로그램의 특성 및 내용 분석 결과,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을 추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과정지향적인 교육체계, 체험활동 중심 교육, 단계적 교육구조의 특성, 학년별 구분, 인증제 및 리더교육의 단계화의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학교 원예교육 현황 및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교육내용 중 대표적으로 학교 원예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실과교육 내용의 현황 중 대별되는 문제점으로는 교육내용의 감소, 기술 지향적 교육목표 및 내용, 학생 및 지도자 교육기회 부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아동들에게 원예교육 기회를 현실적으로 늘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JMG 프로그램 구조 중 통합교과적 교육내용의 추구, 학년별 구분, 체험활동 중심교육에 대한 내용을 연계한다면 원예교육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현재 JMG 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과 한택식물원 등의 교육장에서 어린이 및 청소년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으며 JMG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체험 활동 위주의 프로그램은 국내 교육과정에 있어 창의적 재량활동에도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식물과 정원활동을 통한 키우기, 가꾸기, 감상하기 등의 오감자극 활동을 적극 시도하여 이론의 전달이 놀이 활동 형식으로 이루어져 대상자들에게 지식을 쉽게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향후 원예산업 전반이 기술 지향적이며 고도의 산업화를 지향해야 함은 명백한 일이지만 최소한 인간 중심의 원예분야인 학교원예 분야에서는 과정 지향적이며 활동목표를 중심으로 한 아동원예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