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9.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functional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to the market. Many building materials emit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which have the potential to affect health and comfort, and moisture problem has a major role also being established in indoor air quality (1AQ)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eduction of HCHO using the gupsum board and water vapour adsorption/desorption property for ceiling board for mock-up test room and test house. The mock-up test is conducted according environmental standard method for indoor air qual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duction of HCHO gypsum boards are showed an effect to reduce the formaldehyde(HCHO) concentration of mock-up test room and test house. The indoor humidity is also showed to be lower than the general ceiling materials, since there is increased in the absorbed indoor humidity by using a humidifier with moisture adsorption/desorption ceiling materials. In natural conditions, moisture adsorption/desorption ceiling materials is showed a higher humidity than general ceiling materials constructed in the mock-up test room. However It changes of moisture adsorption/desorption is not appeared in test house. Therefore, in case of decreasing and increasing in humidity, these materials can be offset by reduction of HCHO using the gypsum board.
        5,200원
        2.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동주택은 편리한 교통이나 우수한 교육여건보다 풍부한 녹지와 주변 자연경관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교목, 관목, 초본이 다양하게 혼식되어 풍부한 생태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 건물에 의한 공간별 일조환경의 정확한 예측이 요 구된다. 본 연구는 다층구조식재를 위해 관목과 초본의 일조에 영향을 미치는 건물과 교목류 하부의 일조환경을 예측하기 위해 수종별 광 소멸계수를 도출하였다. 공동주택에 식재되는 대표적인 18종의 교목을 대상으로 180도 화각을 가진 어안렌즈로 측정한 영상자료를 Hemisf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물의 엽면적 지수를 산출한 후 Goudriaan의 방정식으로 수종별 광소멸 계수를 산정하였다. 엽면적 지수 증가에 따른 광소멸계수는 꽃사과, 대왕참나무, 고로쇠나무가 유사한 패턴으로 가장 급격하게 감소하여 일사의 차이가 가장 큰 수종 그룹 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원 설계 및 유지관리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공동주택 일조환경 분석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