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및 채움성은 구조물의 시공품질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항복응력과 같은 유변상수에 의해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유변물성은 모르타르의 유변물성과 굵은 골재의 크기, 형상 및 부피분율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플로우 시험을 통해 모르타르의 항복응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모르타르 배합에 대한 플로 테이블 시험과 상용 레오미터를 이용한 점도곡선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레올로지 모델을 이용한 점도곡선 정량화를 통해 항복응력을 수치화하였다. 최종적으로, 멱함수로 표현되는 항복응력과 플로 테이블 시험 결과간의 상관관계식을 수치해석 결과와 함께 제시하였다.
        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실 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산화 탄소는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 배출된 이산화 탄소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탄산화 양생 기법이 연구 중이다. 탄산화 양생은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 발현을 급속으로 증진 시킨다. 본 연구에선 탄산화 양생의 효율을 높이고 정량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1) 압력 챔버 내 시편에 이산화 탄소를 350 kPa로 가압하여 양생하는 방법, (2) 챔버 내 시편을 이산화 탄소 농도 20%와 상대습도 75±5%의 조건에서 양생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1)번 양생 기법에서 이산화 탄소 압력 감소량을 모니터링하여 반응한 이산화 탄소 양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시편을 크기별로 달리하여 탄산화 양생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원재료로 널리 알려져 있는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미분말을 혼합하여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를 제작한 후, 양생 조건에 따른 내구성을 파악하고자, 탈형한 시험체를 15 및 25°C의 해수에 양생 시켜 재령 91일까지의 내구 특성을 살펴보았다.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혼합비에 대해서 일부 혼합에 대해서는 재령 28일에 비해 재령 91일에서 흡수율 증가 및 강도 감소를 나타났지만, 그 이외에는 양생 조건에 관계없이 재령에 따라 흡수율 감소 및 강도 증가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