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March of 2009 through November of 2010, 76 enumeration districts were installed in the Mt. Duryunsan of Haenam to carry out vegetation survey. The dominant species of current vegetation of the Mount Duryun in the overstory correspond to Quercus acuta forest, Carpinus turczaninowii forest, Quercus mongolica forest,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forest, Quercus variabilis forest, Zanthoxylum ailanthoides forest, Neolitsea sericea forest. As for the artificial plantation forest, the result shows that Chamaecyparis obtusa forest are afforested around the Daeheungsa Buddhist Temple. As for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types, Quercus serrata community group is divided into Camellia japonica community and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is subdivided into Neolitsea sericea group and Camellia japonica typical group, while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is subdivided into Quercus mongolica group and Carpinus turczaninowii typical group. Therefore, the Mt. Duryunsan i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group, 2 communities and 4 groups and it is divided into 4 vegetation units in total.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충남 가야산의 현존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야산 천연림의 상관우점종은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이 전체적으로 우점하고 있었고, 인공식재림의 상관우점종은 잣나무림과 리기다소나무림이 나타났다. 집괴분석에 의한 식생유형은 능선부의 신갈나무군락유형, 남사면의 소나무군락유형, 산복부의 소사나무군락유형, 계곡림유형의 총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종다양도 지수를 보면 식생단위 4의 종다양도 지수가 0.697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식생단위 2의 종다양도 지수가 1.12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도는 모든 식생단위에서 0.1~0.2인 0.3 이하로, 다수의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개로 구분된 식생유형 중 계곡림유형은 다른 식생유형보다 출현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계곡림의 특성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계방산 가문비나무 및 전나무 임분의 산림식생유형분류와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한 결과, 군락단위에서 가문비나무군락, 전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가문비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흰인가목군과 부게꽃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전나무군락은 복장나무군과 생강나무군으로 세분되었다. 분류된 식생단위를 기준으로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가문비나무는 식생단위 1과 2의 교목층에서 각각 30.73%, 20.2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당분간 가문비나무의 우점이 계속될 것이라 판단되었다. 또한 종다양도를 분석한 결과 식생단위 4의 종다양도 지수는 0.6976으로 가장 낮았으며, 식생단위 2의 종다양도 지수는 1.125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군락간의 유사도는 식생단위 1과 4, 2와 4가 각각 0.2880과 0.362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식생단위 1과 2, 3과 4의 군락유사성은 각각 0.5411과 0.5041로 나타나, 군락 간 구성종의 차이가 크지 않은 군락으로 판단되었다. 종간연관에 대한 Chi-square matrix와 성좌표를 각각 분석한 결과, 크게 2개의 유형으로 나뉘어졌는데 Ⅰ유형의 식물 종들은 대부분 식물사회학적으로 분류된 가문비나무군락에서 주로 출현하는 식별종과 표징종이었으며, Ⅱ유형의 식물종은 전나무군락에서 주로 출현하는 식물종으로, 비교적 습한 곳에 나타나는 종들로 나뉘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각 수종들이 선호하는 생육환경이 비슷한 종들끼리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고, 선호하는 환경이 다른 종들끼리는 부의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 론 식물구계학적 위치로는 한반도 남부아구(이우철과 임양 재, 1978) , 생태권역의 구분으로는 산악권역(신준환과 김철 민, 1996)에 속하는 덕유산 지역은 주봉인 향적봉(1,614m) 을 중심으로 남덕유(1,507m), 무룡산(1,491m), 적상산 (1,029m), 두문산(1,051m), 지봉(1,247m), 거칠봉(1,177m), 대덕산(1,290m)등 산봉이 1,000m이상인 고산준봉으로 이 루어져 해발 1,000m 이상이 덕유산 국립공원의 30.1%를 차지하고 있으며(국립공원관리공단, 2004), 특히 산정상 향 적봉부근에는 수령 100∼300년 사이의 주목군락 및 구상나 무군락이 자생하는 등 독특한 아고산지대 식생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중 자연보존 상태가 양호한 곳이다 (이경재 등, 1994). 가문비나무는 기후적으로 한랭한 지역의 해발 약 1,500m 이상 지역에서 정상주변 능선과 사면에 국소적으로 집단을 형성하여 분포하며 부식토가 많고 습기가 적당히 있는 곳을 좋아한다. 남한지역에서는 덕유산, 지리산, 계방산의 암석 이 많고 토양유기물이 많은 산정의 능선과 계곡부에만 자생 할정도로 그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며(송정호 등, 2009), 천 연집단의 경우 그 규모가 작고 파편화(fragmentation)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 온난화 등으로 서식지 환경이 악화 되어 보존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Lee et al.,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유전자원보호림으로 지정되어 있 는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를 통하여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가문비나무 에 대한 자생지(현지내) 보존·복원 및 피난처 개발의 기초 자료 제공·활용에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구설정 덕유산 향적봉(1,641m)에서 중봉(1,594m)에 이르는 아 고산지대 구간의 가문비나무의 자생지을 중심으로 Z-M (Zürich-Montpellier)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Ellenberg, 1956; Braun-Blanquet, 1964) 에 따라 동질한 환경조건과 종조성을 나타내는 입지를 선정하여 최소면적(minimum area ; 종수-면적곡선) 이상으로 10m×10m(40개소), 10m×20m (1개소), 20m×20m(7개소)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2. 조사 및 분석방법 현장식생조사는 2011년 2월에 답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 하고, 3월에서 8월에 걸쳐 식물 생육기간에 따른 계절성 (seasonality)을 고려하여 조사되었다. 조사구수는 총 48개 소로 식생조사법에 따라 조사구내에 출현하는 각 종의 피도 (coverage)와 개체수를 조합시킨 우점도(dominance)계급 을 층위별로 구분하고 판정하여 기록하였고, 생육상태는 종 개체의 집합 혹은 이산의 정도에 따른 군도(sociality)계급 등을 추정하였다. 식생조사 자료를 Ellenberg(1956)의 표조 작법과 Hill(1979)의 TWINSPAN을 이용하여 소표(raw table)로부터 여러 단계의 표조작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상재도로 나타낸 식별표를 작성하여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 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군락분류를 하였다. 결론 및 고찰 1. 군락분류체계 Table 1과 2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 봉-중봉 구간 가문비나무 자생지일대의 식생체계는 신갈나 무군락군(Ⅰ)으로 크게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Ⅰ)은 가문비나무군락(1), 까치박달군락(2), 피나무군락(3), 신갈 나무전형군락(4)의 4개 군락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가문비 나무군락(1)은 물참대군(A), 백당나무군(B)의 2개 군으로 각각 세분되었고, 물참대군(A)은 복장나무소군(a), 까치밥 나무(b)의 2개 소군으로 각각 세분되었으며, 백당나무군(B) 은 큰원추리소군(a), 귀룽나무소군(b)의 2개소군으로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가 문비나무 자생지일대의 산림식생체계는 1개의 군락군, 4개 의 군락, 2개의 군, 4개의 소군으로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나타났다. 2. 식생단위별 입지환경특성 복장나무소군(Acer mandshuricum subgroup; VU 1)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물참대군에서 복장나무, 큰천남성, 둥근털제비꽃, 부게꽃나무, 산꼬리풀, 짚신나물 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되었으며, 총 5개의 조 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444m, 평균노암율 82%, 평균수고 는 교목층 11m로 나타났으며, 식생단위 중 가장 높은 노암 율과 가문비나무군락 4개 식생단위 중에서 해발고가 가장 낮은 입지 환경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까치밥나무소군(Ribes mandshuricum subgroup; VU 2) 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물참대군에서 까치밥 나무, 덩굴개별꽃, 큰산꼬리풀, 둥근잎천남성, 나래박쥐나 물, 털괭이눈, 참당귀, 갈퀴꼭두서니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 위단위로 세분되었으며, 총 3개의 조사구이며 평균사면경 사도 35°, 평균출현종수는 48종이었다. 7개의 식생단위 중 경사 가장 급한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큰원추리소군(Hemerocallis middendorffii subgroup; VU 3)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백당나무군에서 큰원추리, 일월비비추, 노랑원추리, 갈색사초, 떡버들, 은분 취, 왕쌀새, 물통이, 참반디 등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위단위 로 세분되었으며, 총 8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572m, 교목층 평균식피율과 평균수고는 각각 43%, 6m로 나타났 고, 평균출현종수는 48종이었다. 가문비나무군락의 4개 식 생단위 중에서 해발고가 가장 높고,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귀룽나무소군(Prunus padus subgroup; VU 4)은 신갈나무군락군 가문비나무군락 백당나무군에서 귀룽나무, 눈개 승마, 애기괭이밥의 식별종에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되었 으며, 총 9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554m, 평균출현 종수는 25종이었다. 까치박달군락(Carpinus cordata community; VU 5)은 신갈나무군락군에서 까치박달, 대팻집나무, 회나무의 식별 종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되었으며, 총 11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339m, 평균출현종수는 13종이었다. 피나무군락(Tilia amurensis community; VU 6)은 신갈 나무군락군에서 피나무, 음나무, 매화말발도리, 꽃며느리밥 풀, 국수나무, 개암나무의 식별종 의하여 하위단위로 세분 되었으며, 총 5개의 조사구이며 평균해발고 1,306m, 평균 출현종수는 13종이었다. 식생단위 중 해발고가 가장 낮은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신갈나무전형군락(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VU 7)은 신갈나무군락군 식별종의 비출현에 의해 분류된 단위로서 조사구수는 총 4개소로 나타났고, 평균해발고 1,478m, 평균출현종수는 7종이었다. 식생단위 중 출현종수 가 가장 낮은 입지 환경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용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004. 국 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연구원. 68쪽. 신준환, 김철민(1996) 우리나라의 생태계 구분(Ⅰ); 생태권역구분. 산림과학논문집 54: 188-199. 송정호, 허성두, 강규석, 양병훈(2009)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 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1): 31-36.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4) 덕유산 국립공원 내 무주리조트 골프장 예정지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18-134.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 류학회지 8: 1-33. 윤충원, 신준환, 양희문, 임종환, 이병천(2011) 한국 산림의 식물사 회학적 분류. 국립산림과학원. 제42호. 90-103쪽. Braun-Blanquet, J.(1964) Pflanw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Y. 865pp.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Ⅳ. 136pp. Stuttgart. Hill, M.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ean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pp. Lee, S.W. at. al.(2008) Diversity and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Picea jezoensis i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Vol 97(2): 187-195.
서 론
덕유산은 주봉인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망봉
(1,046m), 시루봉(1,105m), 무룡산(1,491m), 남덕유산(1,507m),
거칠봉(1,177m), 칠봉(1,161m), 적장산(1,029m), 두문산
(1,051m), 지봉(1,247m) 등이 있으며 고산준령으로 잇는
능선은 전라북도와 경상남도를 양분하고 있다. 덕유산은
1975년 2월 1일에 덕유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전
라북도의 무주군(170㎢), 장수군(10㎢), 경상남도의 거창군
(33㎢), 함양군(6㎢) 등으로 총 219㎢에 달한다.
덕유산 지역에 대한 식물상은 박만규와 박흥덕(1973), 임
경빈(1994a; 1994b) 및 선병윤과 박정희(1999), 임동옥
(2004) 등 지속적으로 연구되고있으나 덕유산 향적봉-중봉
까지 인접이 빈번한 곳에 위치한 산림을 대상으로 사면별에
따른 식물상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지역 중 향적봉-중봉
구간의 식물상 조사 및 특정식물종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덕유산 지역 식물자원의 생태학적 보전대책과 활용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조사지역의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현장식생조사는 3월
에서 8월에 걸쳐 식물 생육기간에 따른 계절성(seasonality)
을 고려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모든 관속식물의 출현종을 기록하고 일부 종은 사진촬영
및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미확인 식물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동정하였다.
식물분류와 동정, 식물종에 대한 배열순서는 대한식물도
감의 분류체계로 정리하였고(이창복, 2003), 학명과 국명은
산림청(2003)의 국가표준식물목록과 대한식물도감을 병용
하여 작성하였다.
본 지역의 소산식물 중 희귀식물(국립수목원, 2009), 한
국의 특산식물(국립수목원, 2009)은 산림청이 정한 자료에
의거하였으며,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김철
환, 2000)을 선별하였다.
결과 및 고찰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관속식물문은 모두 52과 126속 168
종 2아종 17변종으로 총 187분류군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양치식물문은 3목 5과 6속 9종, 나
자식물문은 2목 2과 4속 5종, 피자식물문의 쌍자엽식물강은
22목 41과 96속 124종 2아종 15변종, 단자엽식물강은 4목
4과 20속 30종 2변종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분류군의 4.6% 에 해당되었다(Table 1).
식물분포에 따른 식물구계(floristics)는 각 지역별 식물
상 고유성의 정도에 따라 고유성이 유사하면 같은 식물지리
학적 범주로 고유성이 다르면 다른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구분한다(Takhtajan, 1986). 환경부(2001)에서 식물구계학
적 특정식물종(Specific plant species)을 5개의 등급으로 구
분하여 우리나라 4,200여종의 관속식물 중 1,071종류를 보
고한 바 있다. 등급별로 살펴보면, V등급은 고립 또는 불연
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 IV등급은 4개아구 중 1개의 아
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III등급은 4개의 아구 중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II등급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1,000m 이상의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I등급은 4개의 아
구중 3개의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하였다
(김철환, 2000).
조사지역 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중 I등급 식물이
14과 17속 17종 17분류군, II등급 식물이 14과 25속 25종
2변종 27분류군, III등급 식물이 9과 11속 12종 12분류군,
IV등급 식물이 3과 3속 3종 3분류군, V등급 식물이 1과
1속 1종 1분류군으로 총 60분류군이었으며, 이는 조사지
일대 전체식물 214분류군의 32%에 해당되었다(Table 2).
전반적인 특정식물의 분포유형은 10,00m의 지역에 분포
하는 고산성식물이었으며, 주목, 사스래나무, 금강애기나
리, 눈개승마, 애기괭이밥, 처녀치마, 나도옥잠화 등이 조사
되었다.
특산식물은 그 나라 식물상의 특이성을 설명할 수 있고,
식물체의 특성, 종자전파, 기후변화, 지각변동, 격리기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정 지역 내 제한된 분포양상을 보이
는 분류군으로 분포 지리학적 견지에서 한정된 지역 내에
적응되어 있는 진화적 극상이다(이우철, 1969). 조사지역에
서 출현한 식물 종 중 특산식물은 9과 11속 11종 11분류군
으로 조사지역 내 분포하는 187분류군 중 약 5.9%에 해당
되며(Table 3), 조사지역의 면적과 식생 등을 고려해볼 때
비교적 적지만 화기의 불일치 및 조사회수의 차이로 생각된
다. 조사된 특산식물 중 특기할만한 식물은 Abies koreana
(구상나무), Salix hallaisanensis(떡버들), Heloniopsis koreana
(처녀치마)등이 있다.
희귀식물(Rare plants)은 자생식물 중 개체수와 자생지가
감소되고 있어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식물로서
본 지역에서 확인된 희귀식물에는 Abies koreana(구상나무),
Clematis koreana(세잎종덩굴), Adenophora grandiflora(도
라지모시대), Streptopus ovalis(금강애기나리) 등으로 희귀
식물은 9과 14속 13종 1변종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인용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004. 국
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연구원. 68쪽.
국립수목원(2007) 한국식물분류학회.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2009) 특산식물목록. (http://www. nature.go.kr/).
국립수목원(2009) 희귀식물목록. (http://www. nature.go.kr/).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Ⅰ.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박만규, 박흥덕(1973) 무주구천동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5:31-53.
배관호, 김준수, 홍진기, 오승환, 조현제, 윤충원(2009) 봉화군 석포
리 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2): 35-45.
산림청(2003) http://www.nature.go.kr/.
선병윤, 박정희(1999) 덕유산(무주․거창)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In.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무주․거창의 자연환경, 130-163쪽.
송정호, 허성두, 강규석, 양병훈(2009)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
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1): 31-36.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4) 덕유산 국립공원 내 무주리조트 골프장
예정지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18-134.
이우철(1969) 한국특산 식물에 대하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2):
15-21.
이창복(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10pp.
임경빈, 김용식, 전승훈, 김선희, 김휘(1994a) 덕유산국립공원의 관
속식물상. 응용생태연구 7:112-117.
임경빈, 김용식, 전승훈, 김선희, 전정일(1994b)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응용생태연구 7:91-103.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은미, 고명희(2004) 백두대간 덕유산 지
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07-2007.
Diversity and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Picea jezoensis i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Vol 97(2): 187-195.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Ⅳ. 136pp. Stuttgart.
Lee, Seok Woo, Yang, Byeong Hoon, Hur, Seong Doo, Lee, Jung
Joo, Song, Jeong Ho, Yoshinari MoriguchitGenetic(2008)
Takhtajan, A.(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 California
press, London.
본 연구는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소산 식물상을 밝히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4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3문 2강 32목 64과 142속 181종 2아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214분류군 (taxa)으로 파악되었다. 특정식물종 중 I 등급 식물이 15과 16속 15종 2변종 17분류, II 등급 식물이 13과 15속 14종 2변종 16분류군, III 등급 식물이 16과 19속 18종 2변종 20분류군, IV 등급 식물이 20과 23속 19종 4변종 23분류군, V 등급 식물이 2과 2속 2종 2분류군으로 총 78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9과 11속 10종 2변종 12분류군이었으며, 특산식물은 17과 19속 18종 3변종의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 내 멸종위기식물은 출현하지 않았고,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태계가 안정되고, 생태적 위해성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에는 개다래, 층층나무, 만병초, 마가목 등 계곡성 및 고산성식물종이 주를 이루는 생육환경을 나타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