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개정 교육과정 語彙領域의 학습목표에 따른 문항 개발 방향에 목적이 있다. 개정 교육과정 語彙領域評價의 양상을 보면 내용 체제면에서 漢字語는 대영 역이었고, 語彙는 중영역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그 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에 따른 漢文科의 위상 과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漢字語領域의 내용 요소를 한문지식의 어휘로 일부 흡수, 통합한 것이다. 내용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漢字語를 통 한 言語生活의 실용성을 강조하였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 보다 문법적인 측 면을 더 강조하였다. 전국단위 評價問項을 보면 語彙領域의 평가 비중이 약 30%정도 차지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학교 현장의 評價에서도 ‘단어의 짜임’, ‘허사의 쓰임’, ‘성어의 의미’와 관련한 평가 문항은 출제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개정되었 다고 해서 語彙領域의 평가 비중이 줄어 들 것이라고 보이지 않는다. 국가수준의 시험에서도 그러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대영역인 漢字語領域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의 語彙領域으로 바뀌어 1:1의 관계로 볼 수는 없지만 상당한 부분에서 공통 요소 를 가지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漢字語가 가지는 위상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는 문법 중심으로 일부 축소, 심화된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여전히 漢文敎育에 있어 語彙領域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유효하다. 語彙領域의 평가는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그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여 야 한다. 語彙領域이 한문과의 다른 평가요소 보다는 문법적인 기능에 대한 평가 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단편적, 일회적 지식이나 기초적 문법기능 측정에 편 중되는 것을 지양하도록 주의해야 하며 학습자의 고등 정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 도록 ‘한문’ 영역과 ‘한문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문법적인 측면의 문항 몇 개를 예시로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향후 語彙領域의 문항이 전반적으로 그러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漢字語彙의 유형‘ 이나 ’成語의 의미‘를 묻 는 문항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000원
        3.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初等學校漢字敎育의 實態와 要求에 대해 設問調査를 통해 밝혀, 추후 國家水準의 敎育課程에 그 결과가 적절히 반영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필자는 전국 16개 시도 초등학생과 초, 중, 고, 교원(교장, 교감, 전문직 포함), 그리고 초, 중, 고에 재학하는 자녀를 둔 학부모를 설문 대상으로 삼았다. 기본적으로 學生이나 敎員, 學父母모두 初等學校漢字敎育의 必要性을 인정 하고 있었으나, 初等學生의 경우, 學校에서 이루어지는 漢字공부에 대한 흥미도 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學校의 漢字敎育실태를 소재지 규모별로 볼 때, 漢字敎育을 하는 學校數는 중소 도시나 읍면지역 소재 학교가 대도시 소재 학교보다 더 많았고, 이들 중에 공부한 기간만 따지면 오히려 대도시 소재 학생들이 타 지 역 학생들보다 더 많았다. 主要學習內容面으로 보면 學校와 家庭이 많이 달랐다. 學校에서는 ‘基礎漢字’ 종류의 지도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家庭에서는 ‘級數試驗’ 대비 교육이 월등 히 많았다. 이것은 學校와 家庭에서 漢字敎育을 통해 추구하는 目的이 다르다는 것으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리라 본다. 다만, 學校에서 이루어지는 漢字敎育 은 교육청 인정도서나 학교 자체 개발자료를 통하는 경우가 많으나, 家庭에서는 그러한 자료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級數試驗대비용 자료로 교육을 시 키는 것도 하나의 영향일 수 있다. 敎員과 學父母의 要求를 바탕으로 初等學校漢字敎育의 바람직한 方向을 제 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89.6%의 절대 다수가 ‘주 1시간 혹은 그 이상의 수 업시수 확보‘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다음 敎育課程에서는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 가 요구된다. 둘째, 漢文敎育用基礎漢字와 같은 漢字學習量의 기준 마련이 필 요하다. 또한 중점 지도 내용-’漢字‘ 혹은 ’漢字語彙’-에 있어서도 적절한 배분이 필요하다. 셋째, 漢字공부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가 낮으므로 좀 더 흥미를 느 낄 수 있는 지도 방법의 구안이 필요하며, 특히 ‘漢字쓰기’에 대해서는 다수가 공통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지도 방법도 찾아야 하겠다. 다음 敎育課程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漢字敎育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그동안 연구자들이나 학계에서는 주로 初等學校漢字敎育의 必要性을 강조하 는데 공을 들였으나, 이제는 漢字敎育을 정규 시간에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향후 ‘누가 가르칠 것인가?’, ‘무엇을, 어 떻게 가르칠 것인가?’ 에 대한 구체적인 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2,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