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싱가포르 화교 언어공동체에서 최근 ‘구어 싱가포르 영어’, 즉 싱글리시(Si nglish)와 ‘표준 싱가포르 영어’의 우세 속에서 중국어가 경험하고 있는 위상의 변화를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것이 목적이다. 싱가포르의 화교 언어공동체에서는 표준중국어와 기타 중국계 언어들, 싱다린(Singdarin) 등 다양한 중국어가 사용 되고 있다. 싱가포르, 특히 싱가포르의 화교 언어공동체의 다중언어사용은 세계 시민이자 싱가포르인, 화인(華人)으로서의 하이브리드 정체성과 관련을 맺고, 각각의 언어들은 다층적인 정체성 위계를 나타내는 정체성 표지이다. ‘2020년 인구센서스’가 보여주듯이, 최근 싱가포르에서 영어의 확산과 중국어의 위축 추이는 명확하다. 싱가 포르에서 이민자들의 언어인 중국어는 더 이상 지배적인 언어가 아니고, 화교 언어 공동체의 대부분의 아이들은 지배적인 언어인 영어와 함께 성장하면서 영어를 능통하게 구사하지만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이들은 일부에 불과하다. 싱가포르에서 중국어는 점점 유산어의 성격을 띠고 있다.
        5,200원
        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的目的是分析最近3年韓國5種新聞報道之基礎上,介绍韩中两国建交之后韩语里面使用的汉语借词的现状,通过将这些借词和以前的汉语借词进行比较,分析说明这些汉语借词的特征。韩中两国政府正式建立起外交关系,意味着断绝了将近一个世纪的外交关系重新开始。以韩中两国的建交为契机,两国的政治·经济·社会·文化等各领域的交流开始急速增加。随着韩中交流的扩大,大量新的汉语借词开始进入韩语当中。韩国和中国维持了超过两千年的长期的语言接触。属于不同语系的两种语言在如此长的时间内互相影响,这是在世界语言史上都很少见的独特现象。近代以前对于韩语产生影响的汉语借词大部分是通过文献,特别是以四书五经为代表的儒家经典进入韩语当中,但是韩中建交以后进入韩语里的汉语借词则在很多方面上呈现出和以前的借词不同的特征。韩国和中国虽然自古以来一直交流不断,但是像最近一样的大规模的直接交流还是前所未有的。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