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드론을 이용한 배추 해충 방제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드론의 살포높이(3, 4, 5 m), 진행속도(3, 4 m/sec) 에 따른 하향풍 속도, 살포 폭, 그리고 낙하 입자수와 입자크기를 감수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항공방제용 농약 4종을 이용하여 배추 주요해충인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담배 거세미나방에 대하여 완전치사농도와 약량을 실험실에서 검정하였다. 드론의 농약 살포시 면별 낙하입자비율은 표면 80.5, 수직면 14.8, 밑면 4.7%였고, 살포높이에 따른 낙하입자수는 3 m = 53, 4 m = 40, 5 m = 39개/cm2였다. 비행속도별 낙하입자수는 3 m/sec = 62, 4 m/sec = 25 개/cm2였다. 실내시험에서 배추좀나방의 완전치사농도와 치사량이 클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20배, 0.5 μl) 비스트리플루론 ․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25배, 0.5 μl)였다. 파밤나방에 대하여는 클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20배, 1 μl), 비스트리플루론 ․ 클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20 배, 1 μl)였고,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하여는 클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20배, 1 μl), 비스트리플루론 ․ 클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20배, 0.5 μl)였 다. 따라서 드론을 이용하여 배추 주요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클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 또는 비스트리플루론 ․ 크로르페나피르액상수화제 를 20배액으로 희석하여 3 m 높이에서 3 m/sec 속도로 살포하면 72개/cm2의 농약입자가 낙하하므로 해충방제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풀무치의 군집형 대발생 대비 예찰매뉴얼 개발을 위하여 형태적 특징, 발생생태, 먹이선호도, 산란조건 시험을 수행하였다. 전남 무안지역에 자연발생한 풀무치 274마리의 성비는 암컷과 수컷이 18.2 : 81.8로 수컷비율이 높았고, 녹색형이 60.9%, 갈색형이 39.1%로 녹색형 이 많았다. 몸길이와 체중이 암컷은 6.5 cm, 2.8 g이고, 수컷은 5.0 cm, 1.5 g으로 암컷이 컸으며, 색깔에 따른 몸 크기는 차이가 없었다. 야외에 서 풀무치의 산란활동은 8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관찰되었는데,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에 산란한 알은 이듬해 5월 하순에 부화하였다. 성충 의 일일 섭식량은 암컷 3.5 g, 수컷 1.6 g 이었다. 풀무치의 먹이선호도는 옥수수 > 조 > 기장 > 억새 > 벼 순이었으며, 억새와 벼는 좋아하지 않 았다. 풀무치가 산란을 가장 선호하는 토양은 순수 모래였으며, 산란유도 후 토양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누적부화량이 많았다.
        4,000원
        3.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남지역에 발생하는 돌발해충 6종(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갈색여치, 먹노린재, 목화진딧물)과남방계해충 5종(볼록총채벌레, 풀색노린재, 애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2017년 발생 실태를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구례지역 감에서 가지 당 약충 14.7 마리로 높은 경향이었지만, 5월 하순 공동방제를 한결과 성충 밀도가 트랩 당 1.4마리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미국선녀벌레와 꽃매미는 일부 발생이 확인되었고,현재까지 산림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먹노린재는 포기당 영암 4.5, 해남 1.2, 완도 2.5마리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 중순부터 9월 상순이었다. 남방계 해충 중 애멸구는 5월 20일 진도에서 처음 비래가 확인되었으며,영광, 완도 등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비래량이 많았다. 점착트랩 색상별 볼록총채벌레 유살정도는 황색보다청색을 선호하였고,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이었다.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9월부터 발생이시작되었다.
        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광에 대한 반응을 실내 시험하여 우수한 광에 대하여 포획장치를 개발하여 포획효과를 현장실증 하였다. 주광색, 녹색, 황색, 청색, 흑색, 적색의 여섯가지 형광등을 이용하여암실에서 각 광원에 대한 갈색날개매미충 성충 유인력을 조사한 결과, 선호하는 광원순서는 흑색>주광색=적색>청색>녹색>황색 이었다. 또 이들 광원간의 선호도 비교시험에서는 주광색 97>흑색 79=적색 79=청색 79>녹색 24>황색13으로 주광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빛을 이용한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유인포획장치를 개발하였다. 포획장치 구성은 주광색 컴팩트램프 2개(30W, 20W), 황색판, 포집수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일일 평균 700마리정도포획되었다. 야간기온이 높으면 성충이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포획량이 많으나 기온이 낮아지면 포획량이현저하게 줄었다. 시간대별 포획량은 20시~23시까지 세 시간 동안에 75%이상 포획된다. 따라서 광을 이용한 포획장치는 야간기온이 22℃ 이상인 7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가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래(Actinidia arguta)는 전국에 자생하지만 상업적으로 약 30ha가 재배되고 있다. 주요 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법을개발한 결과, 뽕나무깍지벌레 성충과 갈색날개매미충 월동난은 겨울철 기계유유제 살포로 90% 이상, 부화유충은5월 중순 유기농업자재 살포로 92% 이상 방제가 가능하였다. 노린재류는 4월 중순부터 다래 생육후기까지 페로몬트랩으로 효과적으로 포획되었다. 기생봉에 기생된 갈색날개노린재 알은 65.4%로 천적이용 가능성이 높았으나, 썩덩나무노린재의 알은 기생률이 매우 낮았다. 녹응애류, 총채벌레류, 애매미충류는 6월 상순에 동시방제를 하면 방제가90% 이상이었고, 밀도가 높을 경우 8월 중순, 9월 상순에 추가 방제가 필요하였다. 한편, 백색필름을 이용한 과수원바닥 멀칭은 자연초종에 비해 총채벌레류와 애매미충류의 피해과율이 34.9% 낮아 효과적이었다. 유기농업자재로는식물추출물 50%+녹나무오일 5%+목초액 30%, 님 80%, 고삼70%+계피 15%, 고삼 75%+계피 0.5%+채종유 15%,식물추출물 91%+목초액 7.5% 등이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6.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 월동중인 알을 방제할 수 있는 자재로 친환경은 기계유유제 10배액, 일반재배는 클로르피리포스수 화제 500배액을 3월 상순에 처리할 경우에 95%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다는 것을 선행 연구에서 밝힌바 있다. 이러한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블루베리, 복숭아, 사과 등 9종의 과수에 대하여 기계유유제 10배액 처리의 갈색날개매미충 알 살란효과와 약해 발생여부를 조사하였다. 산란된 가지를 2017년 2월에 채집하여 기계유유제 10배액을 처리하여 25℃ 항온실에 배치하여 살란효과와 약해 발생여부를 조사하였다. 무처리구의 평균 부화율은 62.8%(34.4~88.4%)임에 비해 처리한 9종 즉 감,대추, 매실, 밤, 복숭아, 블루베리, 사과, 산수유, 아로니아의 모든 기계유유제 10배액 처리구에서는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또 지역에 따라 기생벌인 검정알벌과 의 Telenomus sp. 기생율은 평균 9.2%(0~36.7%)였다. 기생봉 기생율은 전반적으로 갈색날개매미충 발생이 오래된 구례지역에서 높았고, 새롭게 확산된 곡성은 낮은 경향이었다. 실내에서 약해가 발생했던 과종들도 포장시험에서는 약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기계유유제 10배액 처리에 의한 각 과종별 생육사항 등의 구체적인 연구는 추후 수행할 계획이다.
        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화과(Ficus carica)는 지중해 연안지방이 원산지인 아열대 과수이다. 국내에는 1970년대부터 과수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2016년 현재 전국적으로 720 ha가 재배되고 있으며, 이 중 전남지역이 90.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자재배를 비롯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해충 피해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이며, 안정생산의 제한요인이 되고 있다.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는 시설재배 무화과의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4월 중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8월에는 감소하지만 9월 상순에는 다시 증가하였다. 피해는 과일 직경이 2 ㎝ 내외가 되는 5월 중하순에 과정부를 통하여 내부로 침입한 뒤 화기를 가해하였는데, 중심부가 갈변되었다. 피해경감을 위한 물리적 방제법 중에서는 과수원 멀칭이 효과적이었는데, 멀칭재료는 백색 타이백이 피해과율 12.5%로 우수하였고, 흑색부직포는 48.9%로 효과가 낮았다. 백색멀칭 후 결과지 밴딩, 지제부 점착트랩 설치의 경우 초기에는 효과가 좋았지만 나무가 성장하면서 주변 가지와 교차하는 등 밀식 때문에 멀칭 단독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유살정도는 5월부터 9월 하순까지는 청색에 유인이 더 잘 되었으나 10월 이후에는 유사하거나 황색에 유인이 많았다. 대만 총채벌레는 주로 과수원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과수원 내부는 물론 외부의 잡초 등에도 방제가 필요하였다.
        8.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Ricania sp., we investigated the light response to adults and developed an adult capturing device using light with superior attractiveness. The preference among six light sources such as daylight color, green, etc. for the Ricania sp. adult was favored with daylight color 97 > black 79 = red 79 = blue 79 > green 24 > yellow 13. We have developed an adult catching device using the most preferred daylight colors and behavioral habits of the Ricania sp.. The capture device consisted of two daylight compact lamps (30W, 20W), a yellow plate, and a catcher using water, and caught about 700 individuals a day. The capturing device has a large amount of capturing because adult is activity at high nighttime temperatures, but the capturing amount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temperature dropped below 23℃. More than 85% of the Ricania sp. adults were trapped for 3 hours from 19:00 to 23:00.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dult capturing device for the control of Ricania sp. is used from mid July to late August when the night temperature is over 23℃, and lights up from 19:00 to 23:00.
        9.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velopmental ecology and temperature-dependent growth model were calculated to develop the Scotinophara lurida control technology, which is mainly affec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rice cultivation. The survival rate of S. lurida after overwintering in 2019 showed that 167 of 224 survived and the survival rate was 72.8%. Overwintering adult of S. lurida occur in rice fields in mid-June, spawn in early July, and first-generation adults develop in mid-August. In order to determine the temperature-dependent growth model, the growth periods by temperature and development stage were investigated in a incubator at 18, 21, 24, 27, 30℃ and 14L: 10D. The period from egg to adult at the temperature of 18, 21, 24, 27, 30℃ was 119.8, 73.1, 53.5, 39.4, and 82.0 days, respectively. The best development temperature was at 27℃. The regression curve was obtain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growth rate using the Excell program, and the base temperature threshold and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for each development stage were calculated. From eggs to 5 nymphs of S. lurida the base temperature threshold was 17.9℃ and the effective cumulative temperature was 380.2 DD.
        10.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hungensis) 발생현황을 조사하고 친환경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2016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다. 광주, 전남 도내 갈색날개매미충은 15시군 61읍면의 1,344 ha에 발생하였다. 정점지역 4개소 조사 결과 난괴나 약충밀도는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낮아지고 부화율은 감소하고 첫 부화시기나 성충 출현, 산란 시작시기는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알기생봉인 검정알벌류(Telenomus sp.)는 대부분의 지역에 발생하고 있으며, 기생률은 순천이 46.1%로 가장 높았고, 무안 40.6, 곡성 29.2, 구례 25.8, 광주 17 순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알 방제를 위한 살포적기는 3월 상순이었다. 살포자재와 희석배수는 친환경재배는 기계유 유제 10배액, 일반재배는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액을 살포하면 95%가 부화하지 못했다. 기계유유제, 고삼+미생물추출물제, 피마자유제의 유기농업자재가 약충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고, 성충에는 고삼+미생물추출물제, 님추출물제, 기계유유제가 좋았다. 디노테퓨란수화제 등 4종의 화학농약은 모두 약충과 성충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이 가장 선호하는 주광색 등과 행동습성을 이용하여 성충 유인포획장치를 개발하였다. 포획장치 구성은 주광색 컴팩트램프 2개(30W, 20W), 황색판, 포집수반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루에 700마리정도 포획되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이용해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 생활환과 친환경 방제체계를 확립하였다.
        11.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produce high quality watermelon, three tetraploid watermelon breeding lines (‘SA03-1’, ‘SA06-1’ and ‘SB01-1’) were developed by treatment with different chromosome doubling reagents. To identify the optimal tetraploid inductive conditions, the three watermelon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doubled chloroplasts in guard cells. Tetraploid induction rates differed depending on the genotypes and treatment with doubling reagents. However, the highest induction rate occurred with 1.0% colchicine (82.2%). These putative tetraploid lines were re-confirmed for ploidy using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hromosome counting. The internode length of the tetraploid breeding lines was different when the leaf size was larger in all three tetraploid lines compared to their diploids. The fruit weight of the tetraploid fruits for ‘SA03-1’ and ‘SB01-1’ was lower than for their diploid, and the rind thickness and total sugar content (°Brix) of tetraploid SB01-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its diploid. Tetraploid lines were sterile, yielded a lower number of seeds per fruit for ‘SA03-1’ (21), ‘SA06-1’ (62), and ‘SB01-1’ (34.7), and the seeds were larger and thicker than those of their diploids. These tetraploid breeding results will be useful for breeding new seedless watermelon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