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논지는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와 예이츠의 「레다와 백조」에서 강간 환상의 시적 재현이 성적 욕망을 애초의 파괴적인 짐승적 성격에서 건설적인 시적 차원으로 고양시킨다는 것이다. 󰡔목신의 오후󰡕에서 목신 폰은 찰나적 관능미를 영원성과 결합하여,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영원한 관능미라는 상징주의 미학을 창조하는 시인으로 변모한다. 그리고 「레다와 백조」의 서술자는 백조의 레다 강간에서 잉태한 인류 문명에 내재하는 폭력의 파괴성을 밝힘으로써, 파괴적 힘의 역사를 힘과 지혜가 결합한 인간화된 역사로 전환하려는 예이츠의 시적 상상력을 시사한다.
        6,400원
        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하얀 새들」에 대한 기존의 독법은 텍스트 내적인 영역에 국한되어 상징의 구조, 출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치중했다. 그러나 필자는 이 작품에 대해 전기적 읽기를 함으로써 예이츠와 모드 곤의 삶에서 이 작품이 지니는 극적인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예이츠의 첫 번째 청혼과 모드 곤의 거절이라는 사건은 이 시의 창작 계기가 된다. 이러한 텍스트 외적 맥락에서 「하얀 새들」은 예이츠와 모드 곤이 연인들로서 주고받은 독특하고도 미묘한 마음의 실제 활동과 교류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삶의 한 단편”으로 기능한다. 텍스트 내적 해석으로는 맛볼 수 없는 새로운 의미가 전기라는 더 넓은 맥락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이 논문은 작품에 대한 전기적 읽기가 극적 읽기와 반드시 상충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아울러 보여준다.
        6,100원
        3.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y paper aims to find the locus of emotion in T. S. Eliot’s objective poetics. Eliot is best known as the promulgator of modern poetics of objectivity in contrast to the Romantic conception of poetry emphasizing subjective feelings. Specifically, along with “an objective correlative,” “impersonality,” defined as “escape from emotion” or “escape from personality,” becomes the watchword identifying the objectivity of his poetic theory. The problem is that the subsequent Modernist reception of Eliot’s poetics contains misunderstanding it as if it disregarded the emotional aspect of poetry. But, actually, Eliot affirms emotion and personality as the essential poetic experiences over and over again throughout his essays on poetry. And even in those scholars who have recognized that affirmation, the problem lies, too: they are at a loss, looking on Eliot’s acknowledgment of both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 as a contradiction. In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my thesis has raised and justified the argument that Eliot, in his basic premise, allocates “impersonality” in the sphere of the poetic technique of creation and “personality” or “emotion” in the locus of the poetic content. By finding the locus of emotion in another poetic sphere than the objective technique, my argument has concomitantly clarified that Eliot’s conceptions of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 are not contradictory at all but consistent over the critical writings published throughout his car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