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년생 목본작물인 과수 바이오매스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흡수량을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 시 고려되어야 할 적정 산정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적정 산정 수준을 모색한 결과, 향후 우리나라에 알맞은 적정 산정 수준 (Tier)은 국가 고유의 활동자료와 국가 고유 배출흡수계수를 활용하는 수준 2 (Tier 2)로 나타났다. 국가 고유 배출흡수계수가 없어 수준 1 (Tier 1)을 적용해야 하는 현 시점에서는 매년 활동자료인 과수 재배면적 통계를 발표하기 때문에 손실획득법보다 축적차이법으로 산정하는 것이 적정하다. 수준 2에서 시범 산정한 결과, 이 부문의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와 산정의 단순성 및 비용을 고려할 경우, 활동자료에 있어 단순화한 하위 범주를 사용하고 성숙목과 미성숙목을 구분하지 않는 것이 적정하다. 반면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따른 반응성을 고려한다면, 성숙목과 미성숙목을 구분하는 접근 방법이 적정하다. 산정된 탄소축적량의 불확도는 활동자료보다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의 불확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어 향후 신뢰도 높은 국가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6개의 수간곡선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남부지역 해송에 적합한 수간곡선식을 개발 하는데 있다. 59본의 입목을 벌채하여 1년 단위 수간석해를 통해 자료의 전체 수고, 단면고별 수피 외직경, 단면고별 수피 내 직경, 임령을 측정하였다. 수간곡선식의 적합도는 적합도 지수(fit index, FI), 편차(bias), 평균오차제곱근(root mean square error, RMSE)을 이용하였다. 남부 지방 해송의 수간곡선 추정을 위하여 6종의 수간곡선식을 비교한 결과, Kozak(1988) 식에서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FI, Bias, RMSE는 각각 0.9802, 0.0284, 1.216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로 추정된 수간곡선식은 남부지방의 주요 수종인 해송의 생장 정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아까시나무의 입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용한 수간곡선식은 Kozak 모형이었으며, 모형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한 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성이 인정되었으며, 잔차분석 결과도 양호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수간재적표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수피포함 및 수피제외 재적표를 조제하고자, 수피두께추정식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수피두께추정식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모형이 아까시나무 수간재적표를 조제함에 있어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아까시나무의 수간재적표는 임학뿐 만 아니라 타 분야에 널리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4.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 론 기후변화 협약과 관련된 교토 의정서를 계기로 산림의 탄소 축적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 규모의 산림 바이오매 스 추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국 규모의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은 일반적으로 임업통계상의 임목축적 자 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산림 바이오매스는 줄기의 건중량대 재적 비인 줄기밀도와 임목 전체 건중량 대 줄기 건중량 비인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Lehtonen et al., 2004). 본 연구는 산림청이 권장하는 조림수종의 하나인 백합나 무를 대상으로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조사 분 석하여 백합나무의 바이오매스 추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 는데 목적이 있다.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탐방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자연자원 보전과 국민 여가기회 제공이라는 국 립공원의 상반되는 가치와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환 경훼손적 탐방행태를 개선하고 지속가능성의 원리를 바탕 으로 국립공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줄 수 있는 공원자원 의 이용이 필요하다. 본 계획은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수욕(물놀이)중심의 이 용행태를 개선하여 우수한 자연경관과 독특한 해안생태 자 원을 통한 다양한 볼거리 제공 및 국립공원 보전의 중요도 를 일깨우는 탐방프로그램 다양화와 해안사구, 사구습지 등 핵심적인 자연생태ㆍ경관 훼손을 예방하는데 있다. 차별화된 해변길 조성을 통해 탐방객들에게 체험ㆍ사색 ㆍ명상 등 국립공원의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으며, 공원입 구 및 공원주변 마을지역 등 탐방객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 고 소비를 촉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 및 방법 동일한 수종일지라도 임령에 따라 줄기밀도와 바이오매 스 확장계수가 다른 것(Kauppi et al., 1992)을 고려하여, 경기도지역에서 9년생 임분과 11년생 임분, 전라남도지역 에서 30년생 임분과 , 31년생 2개 임분 등 총 5개 임분을 선정하였다(Table 1). 임분별 20m×20m 조사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한 후 흉고직경급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5주씩 총 25주의 표본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표본목을 벌목하여 줄 기, 가지, 잎으로 구분한 후 다음의 각 항목을 조사하였다. 줄기는 지상 0.2m 높이에서 2m 간격으로 절단하여 생중량 을 측정한 후 2m 길이로 절단한 각 통나무의 중앙부에서 5cm 두께의 원판을 채취하였다. 지상 0.2m 이하의 부분은 인접한 통나무에 포함시켰다. 원판은 생중량을 측정한 후 수피내직경, 수피외직경, 수피재적, 연륜수 등과 수간석해 용 자료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85℃에서 항량이될 때까지 건조시켜 건중량을 측정한 후 수피를 분리하여 수피건중량 을 측정하였다. 측정치에 의하여 각 원판의 건중량대 생중 량비, 수피건중량대 수피재적비 등을 산정하였다. 가지와 잎은 표본목별 생중량을 각각 측정한 후 임분별 3주씩 각각 1,000g 정도의 시료를 취하여 건중량대 생중량비를 구하였 다. 뿌리는 임분별 3개 표본목의 뿌리를 가급적 전량 굴취하 여 생중량을 측정하고 시료를 채취하여 건중량 대 생중량 비를 산정하였다. 각 표본목의 줄기 건중량은 2m 길이의 통나무 생중량과 중앙부 원판의 건중량대 생중량비에 의하여 산출된 통나무 건중량의 합으로 하였다. 수피의 건중량은 원판 측정치에 의하여 산출된 통나무의 수피재적과 원판의 수피건중량대 수피재적비에 의하여 산출된 각 통나무의 수피건중량을 합 산함으로써 구하였다. 목질부 건중량은 줄기의 건중량에서 수피건중량을 뺀 값으로 하였다. 가지, 잎, 뿌리의 건중량은 각각의 생중량과 시료의 건중량대 생중량비에 의하여 산정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임목 부위별 건중량 임분별 표본목의 지상부 부위별 건중량 구성비와 뿌리/ 지상부 비의 평균값 및 Duncan의 다중검정결과는 Table 2와 같다. 임령이 증가할수록 줄기의 구성비는 증가하는 반 면 가지와 잎의 구성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것은 줄 기는 지속적인 축적기관이며, 가지는 비교적 단기간의 축적 기관이고 잎의 경우 비축적기관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 다. 9년생인 임분 1은 임분 2, 3, 4, 5에 비하여 줄기의 구성 비가 낮고 가지와 잎의 구성비는 낮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 였다. 뿌리/지상부 비는 임분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0.094-0.187의 범위를 보였다. 2.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확장계수 임분별 표본목의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평균 값 및 Duncan의 다중검정결과는 Table 3과 같다. 줄기 밀도 는 0.394-0.432의 범위를 보였으며, 임분간 유의적인 차이 는 없었다. 지상부 바이오매스와 뿌리를 포함한 임목전체 바이오매스확장계수는 임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 이었으며, 임분 1의 경우 임분 2, 3, 4, 5 등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임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지와 잎의 구성비가 감소하는 경향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인용문헌 Kauppi, P.E., K. Mielikeinen and K. Kuusela(1992) Biomass and carbon budget of European forests, 1971to 1990. Science 256: 70-74. Lehtonen, A., R. Makipaa, J. Heikkinen, R. Sievanen and J. Liski(2004) Biomass expansion factors for Scotch pine, Norway spruce and birch sccording to stand age for boreal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8: 211-224.
        3,000원
        5.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부지방소나무와 굴참나무의 부위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에 있다. 부위별 상 대생장식의 개발을 위하여 축적 및 임분의 구조를 고려하여 중부지방소나무에서 30개소 (70그루), 굴참나무에서 15개소 (32그루)를 선정하고 시료를 수집하였다. 바이오매스의 추정에 이용된 인자는 흉고직경,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두 가지이며, 지수식, 대수식, 2차방정식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최적의 상대 생장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용된 통계량은 적합도지수 (FI), 잔차의 평균 (Bias), 잔차의 표준오차 (SEE) 이다. 이를 통하여 추정된 수종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중부지방소나무에서 W=aDb, W=aDbHc 식이 적합하며 적합도는 0.937, 0.943이다. 반면, 굴참나무는 W=a+bD+cD2, W=aDbHc 식이 적합 하며 적합도는 0.865, 0.874이다. 또한, 중부지방소나무와 굴참나무의 부위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중부지방소나무 W=aDb이고, 굴참나무 W=a+bD+cD2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중부 지방소나무, 굴참나무의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개발되었던 상대생장식에 대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수종에 대한 탄소량의 계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000원
        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지리적 여건 및 임업경영 여건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목재공급 잠재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목재생산이 가능한 지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목재생산지를 자연적, 이론적, 지리적, 기 술적 목재생산지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수치임상도를 이용하여 전체 산림으로부터 입목지 를 추출하여 자연적 목재생산지를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법정용도지역, 경사도, 하천 그리고 도로 여건을 고려하여 이론적, 지리적, 기술적 목재생산지를 추출하였다. 입목축적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수치임상도의 수종 및 영급에 대한 속성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술적 목재생산지에 대한 임목축적량을 산출함으로써 목 재공급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각 유형별 목재생산지에 대한 자원량을 산출한 결과는 244,150천m3에서부 터 596,248천m3에 이르기까지 자원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 지리적 여건 및 임업경영 여건의 고려 수준 에 따라 잠재력이 고평가 혹은 저평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목재공급 잠재량을 분석한 결 과에서는 경상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강원도의 순으로 잠재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8.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 오서산지역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수고생장 패턴과 지위지수식을 추정하고자 한다. 조사대상 지역은 충남 보령시와 청양군 일대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총 7개소의 조사지를 선정하여 매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총 21본의 표본목을 벌도하여 원판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원판들은 1/100mm의 정밀도를 가진 정밀연륜분석기(Model : DTRS-2000)를 사용하여 1년 단위의 수고, 직경, 재적 등의 생장량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81개의 수고-수령 관측치를 사용하여 Schnute의 생장함수식에 적용하였고 일반적인 수고생장의 패턴을 추정하였으며, 또한 이를 이용하여 기준임령을 30년으로 한 동형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고 및 지위지수 추정식은 충남지역에서 소나무림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오서산지역 소나무림의 생장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강릉시 강릉국유림 관리소 관할의 국유림 내에 위치한 27년생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여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매스 구성비, 바이오매스 추정식, 순생산량, 줄기밀도 및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등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선정된 표준지에 대하여 20m×20m 조사구를 설치한 후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직경급 분포를 고려하여 총 5주의 표본목을 벌채하였으며, 이 중 3주는 뿌리까지 전량 굴취하였다. 27년생 잣나무에 대한 임목 전체 건중량은 117.6 kg/tree로 나타났으며, 잣나무 임분의 지상부 건중량은 59.9 ton/ha,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건중량은 82.4 ton/ha로 나타났다. 뿌리 대 지상부 비율은 0.38이였으며, 순생산량은 지상부 건중량 9.4 ton/ha,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건중량 11.3 ton/ha로 나타났다. 줄기밀도는 0.49 g/㎤,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78, 지상부와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2.19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자료는 잣나무조림지에 대하여 바이오매스 및 탄소축적량을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가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