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베토벤 교향곡 제3번이 서양 고전음악사에서 낭만 주의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작품임에 주목하고, 제1악 장의 형태적 혁신과 감정 표현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음악사적 독창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악장을 중심으 로 형식 분석 및 동기 발전 기법, 조성 구조, 리듬과 음색 변화 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이 악장은 고전주의의 소나타 형식을 계승하면서도 전개부와 코다(Coda)의 규모와 전 개 방식을 전위적으로 확장·재구성하여 극적인 긴장 구조와 정 서적 표현을 극대화한 점이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전개부는 동 기 단편의 재조합, 연쇄적 전조(c-f-B♭-A♭), 다성적 대위법 의 활용을 통해 감정적 긴장감을 형성하며 코다는 축소된 소나 타 형식을 내포하면서 주제를 순환적으로 재현하여 감정의 정 화를 완성한다. 주요 동기는 리듬적 변형, 음색 교차, 강약 변 화 등 기법을 통해 '역동적인 통일성(dynamic unity)'을 이루며 악장 전체를 유기적으로 결속한다. 베토벤이 악장 전체를 관통하는 동기의 순환적 재현과 치밀 한 리듬적 구성, 짜임새 있는 음향적 대비를 통해 소나타 형식 내부에서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 다. 특히 전개부와 코다에서 나타나는 동기의 확장과 응집 과 정은 낭만주의적 음악어법의 원형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베토벤의 형식적·음악적 혁신이 감 정 표현의 심화와 필연적으로 연계된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규 명함으로써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로의 전환이 단순한 시대적 구분이 아니라 음악 내적 논리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을 입증하 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 민족주의 작곡가의 대표인 바르톡의 제2기(1906~39) 작품 <현악기·타악기·첼레스타를 위한 음악 (Music for Strings, Percussion and Celesta, 1936)>의 주요 음 악적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바르톡에 관한 선 행 연구를 파악한 후, 작품의 형식 구조, 악기의 편성, 음악의 3 가지 요소인 선율, 리듬 등의 특징을 통해 그의 작품에 내재된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악 기·타악기·첼레스타를 위한 음악>이 고전과 현대의 특징을 모 두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전체적으로 황금 분 할(golden section), 피보나치 수열(Fibonacci Number Series) 등 수학적 개념을 융합한 작품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작품의 흐 름에 있어 민족주의적 특징과 표현주의적 특징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평적인 선율과 수직적인 리듬이 전 작품에 관통되어 있고, 새로운 악기 편성과 독특한 음색을 시도했다. 종 합적으로 보면, 이 작품은 일견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무조 음 악 작품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질서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 다. 이 작품은 독창적인 악기 편성, 작곡 기법을 가지고 있으므 로 색다른 음악을 보여 준다. 본 연구자는 해당 작품에 다각적 인 해석을 제시하여 후속 연주자들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얼후 예술의 대가인 송비(宋飛)의 ‘이중 언 어’ 교수법의 분석을 통해 얼후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송비(宋飛)의 ‘이중 언어’ 교수법과 관련된 성과보고 음악회 및 세미나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이중 언어’ 교수법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중 언 어’ 교수법의 장단점을 분석한 후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 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중 언어’ 교수법 중 화언균(華彦鈞), 손문명(孫 文明), 유천화(劉天華) 등과 같은 대가의 전통 작품은 모국어 작품의 문화적 초석이라고 볼 수 있으며, 비모국어 작품은 주 로 바이올린 이식 작품을 위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송비(宋飛)가 그의 제자인 황효청(黃曉晴) 및 담흔(譚欣) 에게 계발식(啟發式), 삼투식(渗透式), 구전심수(口傳心授), 자각 식(感悟式) 등의 방법을 통해 훈련시켰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계발식(啟發式) 교육은 송비 (宋飛)의 교육 원칙 중 계발성의 원칙을 반영한 것으로 학습자 들이 독립적인 사고와 적극적인 탐색을 통해 문제 분석 및 해 결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었다. 삼투식(渗透 式)은 지식만 중시하고 감정을 경시하는 전통 교육의 폐단을 없앴다는 장점과 함께 예술 교육에서 활용 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크다. 구전심수(口傳心授)는 중국 전통 음악 전승 및 발전 의 주요 모형으로서 음악의 윤강(潤腔)과 정취 및 곡정(曲情)을 심도 있게 체험하고 이해하도록 돕는다는 장점이 있었다. 마지 막으로 자각식(感悟式)은 학생의 분석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생 이 규율과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었다. 본 연구 내용 및 결과는 교육 현장에 있는 얼후 교육자와 학 습자에게 ‘이중 언어’ 교수법을 계승 및 발전시킬 수 있는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교수효과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및 교수효능감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 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 경력)에 따라 저학년, 교직 경력 20년 이상의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장의 직접적인 수업지도성인 수업개선과 수업평가를 잘 할수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문화일수록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장의 수업 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문화 역시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를 통해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의 교수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제고하고 유익한 학교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