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양질의 처리수를 확보 할 수 있는 방류수 재이용 막여과 공정을 도입함에 있어, 처리수량의 안정성 확보(막오염 제 어)가 필수이다. 본 연구는 산화그래핀을 기존 PVDF 중공사막에 적용하여 내오 염성을 향상시키고, 상용화 수준으로 모듈화하여, 공업용수에 적합한 방류수 재이용 막여과 공정 최적화를 구현하였다.
        2.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Duke’, ‘Bluecrop’, and ‘Elliott’, were applied with ground cover mulch systems to evaluate bush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Soil temperature variation was lower in the woodchip mulching plot. Therefore, CEC, soil pH, phosphate, mineral 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mulching materials. The number of main stem was higher in woodchip > sawdust > rice husk > plastic film mulching plot, respectively. Total shoot number was also higher in organic mulching plots than in plastic film plot. However, total shoot numb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organic mulching plots. Fruit weight was the highest in the woodchip mulching plot of all blueberry cultivars, however, soluble sugar content, organic acidity, fruit firm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ching materials. Yield was higher in organic mulching plots than in plastic film plot in all blueberry cultivars. Especially, yield per shrub of woodchip plots was the highest about 3.6 kg in ‘Duke’, 2.7 kg in ‘Bluecrop’, and 2.6 kg in ‘Elliott’. Furthermore, correlation of main stem number and yield was highly significant (r2 = 0.8413). Therefore, woodchip mulching is expected to be an eco-friendly method to increase the number of stems and the yield of blueberries.
        3.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유망 소과류 및 베리류로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 과종 및 품종들을 대상으로 각 과실들 간의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함량, 각 구성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및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같은 과종에서도 품종에 따라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총 안토시 아닌은 블랙 쵸크베리가 가장 많았으며(927.9~1,149.1 ㎎・100 g-1, F.W.), 총 폴리페놀 함량도 블랙 쵸크베리(502.2~530.5 ㎎・100 g-1, F.W.)에서 가장 많았다. DPPH 항산화활성에서도 블랙 쵸크베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토시아닌, 페놀 함 량과 항산화활성과 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요 폴리페놀 구성 성분을 조사한 결과 모든 과종에서 quercetin, catechin, epicatechi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블루베리와 블랙 커런트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delphinidin-3-glucoside로 사스카툰 베리와 블랙 쵸크베리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cyanidin-3- galactoside였다.
        4.
        201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완주에서 재배된 세계 주요 11개 적포도 품종으로 제조된 적포도주의 향기 성분을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향기성분은 총 75종이 확인되었다. 아로마화합물은 그들의 OAV 값에 의해 5 그룹으로 나뉘었다. 알콜, 알데하이드, 에스테르, C6 화합물이 11개 적포도주의 주요한 향기성분이었다. Isoamy alcohol 알콜과 phenylethyl 알콜은 11개 포도주에서 공통적으로 꽃향기, 달콤한 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물질이었다. Octanoic acid, ethyl ester, hexanoic acid ethylester은 모든 레드와인에서 과실향과 꽃향, 달콤한 향을 내는 중요한 성분이었다. 1-Hexanol은 모든 포도주에서 분석되었으나 풀향을 나타내는 향으로 나타났다. Chanceller, Malbec, marchel, Nsrsha, Pinot Meunier, Sangiovetto 포도주의 주요 향기성분은 과실 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Cabernet Franc, Cabernet Sauvignon, Sauvignon Vert 포도주의 주요 향기성분은 풀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MBA와 Narsha 포도주의 경우 꽃향이 주요 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적포도주용 품종을 육성할 때 선발기준으로 향기성분 분석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5.
        201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compared the juice and wine odorants of the Cheongsoo grape cultivar with those of Chardonnay and Reisling wines. The volatile compounds of the three grape varieties were analyzed using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ost common volatile compounds in the juices from the three cultivars were terpenes, C13-norisoprenoids, etones, alcohols, and aldehydes. Terpenes were established as the most abundant group of volatiles in Cheongsoo grape juice, where as aldehydes predominated in Chardonnay and Riesling juices. Forty-two volatile compounds (acids, alcohols, esters, and others) were detected in the three white wines. The concentration of esters was about four times higher in Cheongsoo wine than in Chardonnay and Riesling wines. Five esters found in the Cheongsoo wine, namely, isoamyl acetate, ethyl butanoate, ethyl hexanoate, ethyl octanoate, and ethyl decanoate, exhibited high odor activity values (OAV) of >1. Furthermore, only Cheongsoo wine had a high OAV for isoamyl acetate odorant, which is associated with banana and sweet aromas. Therefore, the abundant and varied esters are believed to be key volatile fruity/sweet odorants in Cheongsoo w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