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층 구조물 및 특수 구조물의 수요 증가로 별도 다짐 없이도 타설 가능한 고유동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유동화제 사용 및 다양한 시멘트계 재료로 배합 되는데, 배합실패 또는 유동화제의 과다 첨가 등으로 인해 타설 시 콘크리트 재료분리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재료분리는 블리딩 및 골재의 침하로 콘크리트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습식체가름에 따른 기존 평가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하여 고유동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2.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회 인프라 시설물 중 발전 플랜트 시설물에 있어 외부 하중 유입 즉, 지진하중 등에 의한 구조물의 구조 건전성은 보장 되어야 하며, 구조물 내부에서 운용되는 전기기기와 같은 비구조요소의 기능적 안전성 또한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플랜트 구조물 및 내부 기기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나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동에 의한 구조적 및 기능적 건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전기기기 캐비닛 구조물을 대상으로 3방향 역학적 계산이 가능한 유한요소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모델링하였으며, 지진 해석의 방법론으로 응답스펙트럼해석과 시간이력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두 해석법을 통해 도출된 전기기기 캐비닛의 응답수준을 파악하고 그 값을 비교하여 내부 기기 등에 대한 내진해석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사용이 일반화 되면서 유동화제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초기 재료물성 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콘크리트 수화반응에 따른 응결시점은 초기 물성 발현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며, 이러한 응결시점 평가를 위해 관입저항시험과 함께 다양한 비파괴 평가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측정법을 이용하여 유동화 모르타르의 응결 지연 현상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PC계 유동화제 첨가량에 따른 총 9종류의 모르타르 샘플을 준비하였으며, 4-전극법을 이용한 초기재령 모르타르 샘플의 전기비저항 변화를 24h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로부터 결정된 전기비저항 상승시기를 모르타르 응결시점 평가를 위한 전기적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측정결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동일 샘플의 관입저항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동화 모르타르의 1일 동 탄성계수 및 압축강도 측정을 통해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한 유동화 모르타르의 초기 재료물성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high-performance and high-fluidity concrete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ecause high-rised build is constructed. An early-age properties of these concrete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acause of comparing existed concrete. This study proposed non-destructive method as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which evaluates setting time of cement-based materials. An assessment of the effect on the setting time was studied on the addition of a superplasticizer to delay the setting time and the curing temperature to promote the setting time. 6th of samples prepared mortar according to adding superplasticizer(PNS) or curing temperature and measur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during 24 h. As the results, mortars which curing higher temperature were promoted rising time which is setting time in the electrical resistivity, also mortars which adding superplasticizer were retard rising time.
        6.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FRCCs)는 시멘트 복합체에 혼입한 전도성 섬유로 인해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전기적 응답 계측을 통하여 별도의 센서 설치가 필요 없는 구조물의 균열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전기적 응답은 균열 발생뿐 만 아니라 온도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 요인은 전기적 응답 계측을 통한 균열 탐지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적 응답을 측정하기 위한 탐침의 개수가 증가 할수록 원하지 않은 접촉 노이즈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탐침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자체적인 자가센싱 임피던스 회로를 설계하였다. FRCC의 균열 발생과 온도 변화가 임피던스에 미치는 영향성은 자가센싱 임피던스 회로를 이용해 실험적으로 측정되었으며, 실험 결과, 임피던스 응답은 균열 발생보다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high-performance and high-fluidity concrete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ecause high-rised build is constructed. high-performance and self-consolidating concrete is demanded high strength as low w/cm and fluidity as adding superplasticizer. However, these superplasticizer are changed early-age property such as bleeding, segregation and late setting time etc. This study persents the setting time of fluidity mortars evaluated using the measurement of eletrical resistivity. 7th Samples prepared mortars which were adding polycarboxylate type superplasticizer(Ester) or poly naphthalene sulfonate(PNS) and measured the electrical resisitivity during 24 h. As a results, mortars which added superplasticizers were late rising time which is setting time in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However, degree of hardening of PNS mortar were higher than Ester mortar.
        9.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화재 손상을 입을 경우 노출온도 및 지속시간에 따라 구조물의 심각한 성능 저하를 야기하며, 콘크리트의 재료 물성 저하를 수반한다. 화재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사용여부 및 보수보강 판단을 위해서는 손상 직후 및 재양생 조건에 따른 주요 손상 부위의 면밀한 손상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양생 조건에 따른 화재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의 재료물성 회복에 관한 실험적 연구 를 수행하였다. 화재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 시편을 상대습도 및 재양생 기간을 달리한 재양생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충격공진기법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시편의 화재 손상 전후 및 재양생 이후의 동탄성계수를 측정하여 손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재양생 조건 중 높은 상 대습도 조건에서 지배적으로 재료물성의 회복이 발생하였다. 추가적으로 콘크리트 시편의 동탄성계수 및 인장강도의 직접적인 비교 및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재양생 조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높은 습도 조건에서 동탄성계수의 회복이 인장강도에 비해 두드 러지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0.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rious non-destructive test have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setting time of concrete.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Wenner’s four electrode method), the effect of chemical admixture(AE admixture and superplasticizer) added for setting time of concrete mixtures is confirmed.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AE admixture dose not affect to change of concrete microstructure but delaying on setting time, and superplasticizer is affected not delaying on setting time, but changing in concrete’s microstructure
        11.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ength properti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with magnesium sulfate(MgSO4). GGBFS was replaced with 1, 2, 3, 4, and 5% MgSO4 by weight. Mixtures of sodium hydroxide(NaOH) and sodium silicate(Na2SiO3) were used as the alkaline activator; a mixture of 5% NaOH and 5% Na2SiO3, and a mixture of 10% NaOH and 10% Na2SiO3 by slag weight. The added activators were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weight ratio of water to slag was 0.45.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compressive strength testing, ultrasonic pulse velocity(UPV), water absorption and X-ray diffraction(XRD). In this study, the strength of hardened samples decreases with increasing MgSO4 content. In addition, the water absorption of samples increases and UPV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MgSO4 content. Brucite, gypsum and M-S-H(magnesium silicate hydrate) are present in the XRD patterns of the hardened samples.
        12.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rious non-destructive test have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setting time of concrete.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Wenner’s four electrode method), the effect of chemical admixture(AE admixture and superplasticizer) added for setting time of concrete mixtures is confirmed.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AE admixture dose not affect to change of concrete microstructure but delaying on setting time, and superplasticizer is affected not delaying on setting time, but changing in concrete’s microstructure
        13.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ength properti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GGBFS) with magnesium sulfate(MgSO4). GGBFS was replaced with 1, 2, 3, 4, and 5% MgSO4 by weight. Mixtures of sodium hydroxide(NaOH) and sodium silicate(Na2SiO3) were used as the alkaline activator; a mixture of 5% NaOH and 5% Na2SiO3, and a mixture of 10% NaOH and 10% Na2SiO3 by slag weight. The added activators were dissolved in the water, and the weight ratio of water to slag was 0.45.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compressive strength testing, ultrasonic pulse velocity(UPV), water absorption and X-ray diffraction(XRD). In this study, the strength of hardened samples decreases with increasing MgSO4 content. In addition, the water absorption of samples increases and UPV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MgSO4 content. Brucite, gypsum and M-S-H(magnesium silicate hydrate) are present in the XRD patterns of the hardened samples.
        1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tting of concrete is a critical period to show phase change from fluid to solid state. The transition of phase makes it difficult to experimentally investigate the evolution of material properties such as elastic modulus and strength. Ultrasonic wave reflection technique is applied to probe the delicate samples, cement past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evolution of mechanical impedance is monitored. The growth of green strength of the samples are related to the mechanical impedance increase.
        16.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concrete is exposed to extrem fire, its strength and durability degrades. The fire-induced damage in concrete is investigated at microscale and a nondestructive testing for the damaged concrete is presented.
        1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초음파 감쇠량을 측정하는 기법1과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부 공극의 크기 분포를 추정2하는 논문을 요약하고자 한다. 초음파 속도법 등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초음파 탐촉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탐촉자와 시편 사이의 커플링(coupling) 문제로 인해 시편의 감쇠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감쇠량에 대한 신뢰성있는 측정을 위해, Fig. 1과 같은 실험 장치를 고안하여 개발하였다.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는 기존의 탐촉자 앞에 얇은 PZT 세라믹을 배치하여 자기보상 주파수 응답함수 기법(self-compensating frequency response function, SC-FRF)를 적용하였다. 이 기법을 이용하여 시편의 고유한 감쇠량을 측정하면, Fig. 2와 같이 주파수에 따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Roney 식과 같은 매질 내 삽입된 입자 분포에 의한 초음파 산란과 비교하면, 시편의 공극에 대한 크기 분포를 Table 1과 같이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19.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mal damage in concrete reduce the stress resistance to external loading and then increase the risk of structural failure. This presentation is aimed to apply a nonlinear ultrasonic NDT on concrete thermally damaged. In addition, SEM images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thermal damage and the feasibility of the nonlinear ultrasonic NDT.
        20.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thermal damage of concrete causes the formation of micro-defects according to physicochemical changes, the adoption of a sensi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method is required. This study introduces an nondestructive evaluation method for thermally damaged concrete, which is on the baasis of nonlinear resonance characteristic. The test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rmal damage of concrete and to demonstrate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