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품종들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적응한 양질유, 양질막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Erra(female)와 Tower(male)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양질유, 양질박, 다수성 품종으로서 목포51호, 목포52호라는 계통명을 부여하여 지방 적응 연락 시험 및 농가 실증 시험을 거쳐서 장려 품종(내한유채, 영산유채)으로 결정된 품종이다. 특히 본 품종들은 한 조합 내에서 장수, 다분지, 다협, 다립 품종으로 수량 형질이 우수하며, 유질에서 지방산 조성이 극히 양호하며 불량 지방산은 전혀 함유치 않고 양질 지방산인 oleic acid과 linoleic acid이 80% 이상 함유된 양질유 품종이며, 박에서도 glucosinolate가 전혀 없는 무독박 품종이다. 또한 생산력은 전국평균 16~22% 증수된 다수성 성분 육종 품종들이다.
본 연구는 골풀의 본답재배에서 시비량과 재식밀도 차이가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시험하였다. 그 결과 시비량에서는 N-P2O5-K2O(kg/10a)=80-20-40구가 재식밀도에서는 20×10cm와 20×15cm 처리에서 경장과 경수에서 우수하였고 건경 수량과 건경 품질에서도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dye bath soil of mat rush for good quality. Dry stem weight ranged from 102.5 to 107.0 g, dry stem ratio ranged from 34 to 36%, color of stem ranged from soft gray to heavy gray, degree of softness ranged from high to low and degree of floating ranged from extremely high to low. All the good quality components, such as dry stem weight, dry stem ratio, color of stem, degree of softness and degree of floating showed large variations. Hadong white ceramic soil, the superior dye bath soil of mat rush, showed relatively superior values for all the good quality components with 102.5 g in light dry stem weight, 34% in high dry stem ratio, good color of soft gray in color stem, high in degree of softness and extremely high id degree of float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dye bath soils shows different adaptabilities to a particular dye bath and Hadong white ceramic soil seems to be the most suitable dye bath soil of mat rush for good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