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동남연해에 거주하고 있는 복건타성 거주민들은 일적부터 배를 건조하여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았다. 따라서 그들은 풍부한 항해경험을 쌓았으며, 이는 대규모적인 해외무역을 진행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았다. 중국 당나라시기 동남연해에 거주하던 복건타성 거주민들은 생산력의 발전과 더불어 복건타성을 떠나 해외로 진출하여 해외무역에 종사하였다. 송원시기 복건타성의 해외교통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신상(紳商), 선상(船商), 산상(散商), 선원 및 화교상인(華僑商人)들로 구성된 복건타성의 해상들은 빠르고 안전하며, 순조롭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복선(福船)을 이용하여 해외무역에 종사하였다. 복선(福船)은 복건해상(福達海商)들로 하여금 시간을 단축하고 상업기회를 신속하게 잡을 수 있어 무역의 성공률을 높이고 자금이용률을 높였다. 따라서 복선(福船)해상들은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발자취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동부지역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복건해상(福建海商)의 발생원인과 무역현황 및 해외무역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복선(福船)에 대하여 논술하려고 한다.
        4,000원
        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조선기술은 유구하고 찬란한 발전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고대 조선기술사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선기술사의 연구경향은 서양 조선기술사에 편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국 조선기술사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결함을 보완 할 것이다, 인류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조선기술도 급속히 발전되었다. 송대(960-1279년)에 이르러 중국의 조선업은 크게 발전되었으며, 그 특징으로는 선박의 대형화, 조선기지와 선박수량의 현저한 증가, 조선기술의 제고와 설비의 발전으로 나타난다. 송대의 조선기술은 원명(元明)시대의 조선기술 발전에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교량역할을 한 송대의 조선기술을 연구함으로써 중국의 조선기술의 발전사를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박은 물을 떠날 수 없고, 항로의 자연환경에 따라 항행해야 하기 때문에 항행하는 해역환경에 의하여 선박의 특성이 결정된다.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해역은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남방의 해역은 수심이 갚고, 북방의 해역은 수심이 얕다. 중국의 조선기술은 이러한 해역특성에 적응하여 상이한 선형이 발명, 발전되었다.
        4,000원
        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톤(ton)을 사용하고 있다. 톤이란 용어가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반명사가 되기 이전에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고유한 단위로 배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를테면 서유럽에서는 포도주 통인 ton, 북유럽에서는 곡량 단위인 last, 제노바에서 는 cantara, 베네치아에서는 milliaria, 나폴리에서는 carra를 각각 사용했다. 동양권에서는 가장 중요한 화물이 쌀이었기 때문에 한중일 모두 미량 단위인 을 사용하여 배의 크기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인들은 싸라는 독특한 단위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각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른 단위를 사용하여 배의 크기를 나타냈으나, 19세기 중반 Moorsom 방식에 의한 톤수 측정법이 도입되고, 이것이 전세계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톤이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정착하게 되었다.
        5.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의 구법승 엔닌은 견당사선에 동승하여 입당한 뒤 서기 838년 6월 13일부터 847년 12월 14일까지 당에 머무르면서 9년 반에 걸친 행적을 『입당구법순례행기』라는 일기에 남겼다. 이 일기에는 당시 당의 사회, 경제, 종교, 외교, 관사, 지리, 교통 및 행정에 대한 방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이 일기의 초입두분 즉 838년 6원 13일부터 7월 3일의 기록은 마치 항해일지와 같은 방식으로 기록되어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항해 및 조선 관련 용어들은 당시 고대선과 항해기술을 연구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등장하는 ‘누아’가 어떤 구성재 인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대선박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6.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 필자들은 유럽과 중국에서 거의 비슷한 시기에 나침반이 항해에 이용되었음을 역사적 기록과 최근까지의 연구성과들을 검토함으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서양 문명권에서 항해자들이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기까지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즉 표침, 축침, 콤파스 카드 순으로 항해용 나침반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Frode의 사가(saga)를 고려해 볼 때 중국과 유럽에서는 11세기 경에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인들이 세계 최초로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했다는 기존 주장과는 달리, 중국인들과 유럽인들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서로 독자적으로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