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명리고전인 낙록자부주, 삼명통회를 통해 사주명리에서 필수 적으로 활용되는 대운에 관해 대운의 원리, 대운의 계산법, 대운 활용법의 현 대적 적용과 비판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운은 명리학에서 10년 단위로 변화하 는 개인의 운의 흐름을 의미하며, 사주팔자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대운 계산 법의 원리는 개인의 생년월일시를 간지(干支)로 변환한 사주팔자에서 시작된 다. 특히 월주(月柱)를 기준으로 하여 순행(順行) 또는 역행(逆行)하며 10년씩 운이 바뀌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순행과 역행은 출생연도의 천간(天干)의 음 양(陰陽) 및 남녀에 따라 결정되는데 천간이 양남음녀는 순행하고 음남양녀는 역행하는 순역의 원리가 적용된다. 또 대운에는 일진십세(一辰十歲)라는 프랙 탈원리가 적용된다. 대운의 계산법은 원전에 충실한 원론적인 방법과 역법에 따라 적용한 방법이 있다. 이 둘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각각 살펴 본 후 현대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하는 대운 프로그램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겠다. 원론적인 방법이라는 것은 삼병통회에 소개된 그대로의 음력에 기반한 방 법이다. 역법에 따라 적용한 방법이란 현대에 사용하는 절기 기준의 태양력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다. 원론적인 방법으로 대운을 구하는 방법과 보정치를 주어 정확하게 대운이 들어오는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현대에 많이 사용하 는 세 개의 대운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두 개의 프로그램은 보정치를 주지 않았고 하나의 프로그램은 보정치를 주어 첫 대운이 들어오는 시점이 서로 다름을 알 수가 있었다. 논문에서 명리 고전에 근거하여 대운 계산 방법을 현 대의 역법에 맞게 보정치를 주어 정확하게 첫 대운이 들어오는 시점을 고찰 하였다.
        6,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