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1.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fabrication and electrochemical analysis of an individu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 electrode are carried out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electrochemical sensing. The reactive ion etching (RIE) process is performed to obtain sensitive MWNT electrode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 individual MWNT is cut by RIE under oxygen atmosphere into two segments with a small gap: one segment is applied to the working electrode and the other is used as a counter electrode. Electrical contacts are provided by nanolithography to the two MWNT electrodes. Dopamine is specially selected as an analytical molecule for electrochemical detection using the MWNT electrode. Using a quasi-Ag/AgCl reference electrode, which was fabricated by us, the nanoelectrodes are subjected to cyclic voltammetry inside a 2μL droplet of dopamine solution. In the experiment, RIE power is found to be a more effective parameter to cut an individual MWNT and to generate "broken" open state, which shows goo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t the end of the MWNT segments. It is found that the pico-molar level concentration of analytical molecules can be determined by an MWNT electrode. We believe that the MWNT electrode fabricated and treated by RIE has the potential for use in high-sensitivity electrochemical measurement and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contribute to device miniaturization.
        4,000원
        2.
        2009.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s) were synthesized on different substrates (bare Si and SiO2/Si substrate) to investigate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applications as counter electrode materials. The synthesis of MWNTs samples used identical conditions of a Fe catalyst created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at 900˚C. It was found that the diameter of the MWNTs on the Si substrate sample is approximately 5~10nm larger than that of a SiO2/Si substrate sample. Moreover, MWNTs on a Si substrate sample were well-crystallized in terms of their Raman spectrum. In addition, the MWNTs on Si substrate sample show an enhanced redox reaction, as observed through a smaller interface resistance and faster reaction rates in the EIS spectrum. The results show that DSSCs with a MWNT counter electrode on a bare Si substrate sample demonstrat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in excess of 1.4 %.
        3,000원
        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Mystery Island ‘Silk Road’를 자가수분하여 얻은 선발계통(Silk Road-4)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3, 6. 9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 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1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와 2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12.5%로 가장 높았으 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27로 나타났고 3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4.5%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0.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 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그중 300mg L⁻¹ 농도로 3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25%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0.13로 나타났고 50mg L⁻¹ 농도로 1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빈도가 13.8% 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
        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배수성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서양란 심비디움 품종인 C. Show Girl ‘Silky’의 생장점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PLBs(Plant like bodies)에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찔러 상처를 준 후 oryzalin 을 3, 5, 10, 20mg L⁻¹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1, 2, 3주간 진탕처리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 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의 정도는 4배체 뿐 아니라 2배체와 4배체, 4배체와 8배체의 혼수체, 기타 염색체키메라도 처리에 따라 나타났다. 그중 2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46.7%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34.21로 나타났고 5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 현빈도가 44.4%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4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콜히친의 경우 50, 100, 300, 500mg L⁻¹ 농도로 1, 2, 3주 처리하였다. 모든 처리시간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인 50mg L⁻¹ 농도를 제외하고 oryzalin 처리와 마찬가지로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수화 정도의 종류도 oryzalin 처리와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그중 50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 4배체 출현빈도가 63.6%로 가장 높았으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율은 46.67로 나타났고 100mg L⁻¹ 농도로 2주간 처리했을 때는 4배체 출현 빈도가 63%였지만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아 효율이 56.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수화가 된 식물은 2배체 식물 보다 생육이 더뎠고 잎의 길이는 짧은데 비해 넓이가 넓고 두께가 두껍게 나타났으며 기공의 크기는 2배체 식물에 비해 커지고 면적당 기공의 수는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