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語와 漢字 語彙는 한국어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이런 漢字語와 漢字語彙는 대부분 『표준국어대사전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고, 또 여기에 수록된 어휘는 공인된 우리의 漢字語와 漢字 語彙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동안 한국 한자어에 대한 위상이 많이 달라졌고 한자어에 대한 인식 도 변화가 있어왔다. 특히 고전번역원에서 번역한 우리 고전은 ‘고전번역DB’를 통 해 접할 수 있어 이전에는 생각할 수도 없는 양의 한자 어휘를 접할 수 있다. 대부 분 한자어를 번역하여 놓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지만 종종 한자 어휘를 그대로 노출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가 容易롭지 않을 때가 있다. 이 경우 일반인 들은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 하게 되는데, 이 사전을 통하여 충분한 해답을 구 할 수 없는 상황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성경에 있는 단어로 창세기 같은 어휘를 수록하고 있고, ‘愛惜’ 같은 한자어는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예문까지 소개하여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고전의 중요 어휘인 ‘創新’과 ‘情量’ 같은 어휘는 수록되어 있지 못하 다. 또 『조선왕조실록』에 있는 ‘輪廓’의 의미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되지 않 았다. 이처럼 표제어가 없거나 있어도 그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문제는 바로 이런 어휘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져야 된다고 본다. 이를 위해 한자 어와 한자 어휘의 경계도 검토되어야 한다. 한자어와 한자 어휘의 범위와 경계, 그 세밀한 의미 같은 것은 많은 학자들이 참여하여 공론을 거치는 과정이 필요하 다고 본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으로는 먼저 중국의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중에 서 우리도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를 뽑아서 비교한다. 뽑은 한자어를 한국 한자어는 『표준국어대사전』을 통하여 살펴보고, 중국 한자어는 『漢語大詞典』, 『辭海』 『現代漢語詞典』같은 사전을 참고하여 비교 한다. 그리고 한자어의 예문은 고전번역원 의 ‘고전번역DB’에 있는 예문을 사용한다.
        6,600원
        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한자를 사용한 지 1000년이 넘었고, 한자어는 한국 언어의 골간을 이 룬다. 한국 한자어는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적지 않을 변화를 겪으면서 독특한 한국 언어의 일부가 된다. 조선 시대 때 『莊子』나『老子』에서 나온 글을 과거시험 답안에 금지했다. 중국 소설 문체도 사용이 금지 되었다. 국가 공식 시험에 한문 텍스트를 제한 한 것은 한국 한자어 특징을 이루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여기에 근대화 시기에 일본 한자어의 영향도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역사 배경을 가진 한국 한자어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 4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 한자어를 일본의 當用漢字를 改正한 常用漢字, 그리고 중국어 한 자어와 字形을 비도 해보았다. 한국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자어를 중심 으로 살펴보았고 중국어는 바이두의 사전에서 검색하였다. 조사를 해보니, 한국의 한자어의 字形은 일본상용한자, 중국 한자어를 혼용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 한자어를 중국 한자어와 비교하였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한 국 한자어의 용법이나 설명은 중국 한자어에 비하여 간단하고, 세밀하지 못하다. 셋째, 한국 한자어는 대부분 중국 한자어의 字意를 유사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두 글자로 된 중국 한자어 중에 [서술어+목적어]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는 한국 한자어로 될 때 변용되거나 뒤에 ‘하다’라는 접미사를 붙인다. 넷째, 한국어AB=BA 형식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를 소개하는 데 그친다. 한국어 한자어의 중요한 특징으로 그 뜻이 중국 한자어와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 는지, 또 어떤 의미 차이가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연구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기타 특징으로 고대어와 유교문화, 불교 문화, 나아가서는 일본 근대 한자어 같 은 것도 한국 한자어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미 어느 정도 학계의 성과가 있 지만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다루지 못한다.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