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experiment to evaluate the various aspects of symptom of witches' broom of jujube tree with two different kinds of scions, taken from diseased plant and stem- grafted upon sound stocks-one cut before wintering(stored in cellar), the other after wintering, it was observed that the disease rate of those cut before wintering(Nov.) was whereas those cut after wintering(March) showed much lower rate, initially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 In another experiment of diseased bud grafted into healthy seedling, the finding made in the following year was that 14 stocks(only one of which salt union by callusing) were infected out of the given 23- in the initial stage only 4, yet gradually increased to the number of 14. The shoots from the ground portion of the diseased stock were in general more quickly subjected to the disease than the others. Under natural condition, the diseased trees develop at first seemingly the same leaves as healthy ones, it is not until the branches and loaves grow to a considerable degree that the symptom appears. Once appearing, tile disease grows and the symptom continues to appear as late as in Sept. and early Oct., causing tile plant to develop the extraordinary branches and leaves of extremely reduced size, the typical symptom of witches' broom. Such phenomenon can be observed in the experiments of the foregoing paragraphs. And the suckers and roots of diseased plant are bound to be infected, it was found out with no exception. Viewing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s and observ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low temperature during winter causes the virus in the above-ground portion of diseased plant to diminish or inactivated, and subsequently the virus in the roots moves up or multiply in the sprouting season.
        4,000원
        2.
        198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를 보통기에 동일하게 이앙하여 추앙후 20일, 유전형성기, 감수분열기 및 출수기의 생육시기별로 포장상태에서 3일간씩 관수처리한 경우와 품종, 이앙기 및 재배조건이 다양한 농가포장에서 태풍 'Thelma 호'('87년 7월 16~18일)에 의해 3일간 관수된 경우에 생육단계별 피해상태와 피해주의 고립분얼이삭의 발생에 의한 수량 보상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통기 이앙된 벼의 생육시기별 관수처리에서는 생육이 진전될수록 관수된 수온이 높아져 피해가 컸으나 고온기에 여러 생육단계를 갖는 농가포장이 일시에 관수되면 어린 생육단계일수록 피해가 컸다. 2. 생식생장 관수 피해수의 수량보상은 고립절분얼이삭에 의존하였고 고립절분얼이삭이 9월 15일 출수되어 등숙적산온도가 690℃ , 등숙일조시간이 210시간이 확보되었을 때 쌀 230kg/10a을 보상하였다.0a을 보상하였다.
        3.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상위절 분얼발생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3년에는 벼 생태형 및 품종별로 조사하였고, 1984년에는 다수계품종을 공시하여 시비수준에 따른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상위절 분얼양상은 사위 제 2절 제 3절 그리고 제2, 3절에서 동시 발생하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벼 생태형 및 품종에 따른 상위절분얼 정도는 다수계 품종이 일반계 품종보다 높았고, 조생종품종이 중만생종 품종보다 높았다. 3 벼 상위절 분얼 경율과 본답 이앙으로부터 출수까지 일수와는 부의 유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제2절의 병각회와도 부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다. 4. 시비수준에 따른 벼 상위별 분얼 발생정도는 무비재배조건이 보비(N -P2 O5 -K2 O=15-11-13kg/10a) 및 다비(N-P2 O5 -K2 O=25-15-18kg/10a) 조건보다 높았다.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