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姜龍夏(1840-1908)는 지금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유림면 엄천강 일원에 華山十二曲을 설정하고 「華山十二曲」을 지었다. 강용하는 鄭汝昌·金馹孫·曺植 등 先賢을 宣揚하는 장소로 여겼던 기존의 名所인 龍游潭 등 7개와 臥龍臺·師良浦 등 자신의 의지를 담은 5개를 합쳐 12개 曲으로 삼았다. 그는 스승 任憲晦의 가르침을 잘 따르고, 朱子·李 珥·鄭汝昌·金馹孫·宋時烈 등 선현을 숭상하였다. 강용하는 국가의 위급을 애통했으며, 傷時憫俗의 언어로 자주 辭章에 발휘하고 慕華臺와 臥龍臺를 축조했다. 慕華臺는 匪風下泉, 즉 明나라가 망한 사실을 슬퍼하고 나아가 再造藩邦의 은혜와 의리를 잊지 않는다는 의지를 담았다. 臥龍臺는 시대적 상황을 아파하며 이를 극복 하고 타개할 賢人이 나타나기를 열망하는 뜻을 담았다. 永言臺·拱北臺 등을 만들었다. 그는 자연 경물에 자신의 의식을 담았고, 이런 의식이 화산십이곡을 설정하는데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일제의 조선 병탄의 조짐이 짙어갈 시기에 姜龍夏는 尊道·尊師·尊華意識[尊周意識]을 강화하고, 나아가 사람들에게 그런 의식을 확산하기 위해 화산십이곡을 설정하고 「화산십이곡」을 지었던 것이다. 강용하의 존화의식 표출은 그가 생존했던 당시 흥기했던 지리산권 江右學者의 尊周意識의 영향도 컸다고 본다. 진주에 세거하던 南平文氏 집안의 大明花 선양과 朴震英 (1569-1641)의 우국충정과 존주의식에 대한 선양사업이 활발했다. 강용하는 화산십이곡을 정하는 데 있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있는 先賢들과 관련된 유적지를 기본으로 하고, 자신의 존화의식 등을 공고히 하기 위해 전에 없던 새로운 명칭을 붙였다. 아울러 선현을 선양 하고 존화의식을 확산하기 위해 화산십이곡 12개 명칭에 관련 故事 등을 원용하여 시를 지었다. 강용하는 주자의 「武夷棹歌」의 칠언절구 대신에 주자의 「山北紀行」 오언율시 8구의 형식을 사용했다. 이로써 자기의 생각을 칠언절구보다 더 많이 서술하였고, 율시의 특성인 고사를 적절히 활용하여 표현미도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강용하의 존화의식과 「화산십이곡」은 그 시 대적 의의와 문학적 의의면에서 동시에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2.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洪重聖(1668-1735)은 문학론에서 文氣를 강조했다. 文氣의 개념은 文勢의 氣 이다. 즉 문학작품을 창작할 때 필요한 기본적 소양과 아울러 문학작품의 표현수 준을 말한다. 그는 문기를 길러야 훌륭한 글을 지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文 氣를 기르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중국 秦과 漢의 古文을 비롯하여 唐 宋八家의 문장을 숙독해야한다고 본다. 또 六經을 비롯하여 儒家의 經學을 공부 하여 識見이 고명하게 되면, 文氣가 창성해지고 筆力이 풍부해진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되면 詩또한 工麗하고자 하지 않아도 공려해진다고 간주한다. 그 이유는 고전의 명문을 독서하면 명문이 된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명문이 담아야할 내용과, 명문의 표현기법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가 文氣를 강조한 이유는, 천 부적 재능은 타고나기 때문에 배울 수 없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문장력을 향상시 킬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홍중성의 文氣論은 그의 손자 洪養浩에게 영향을 주어, 道와 氣가 錯綜하여 文이 된다는 道氣論을 전개하게 했다. 李夏坤등 石室學脈문인들은 당시의 擬古的문학풍토를 쇄신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했다. 이런 시대의 대세에 부응하여 홍중성도 중국 古文의 학습을 통해, 문학 창작의 기본요건으로 文氣를 배양할 것을 제기했으니, 그 역시 선각적 문인이요, 개명적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