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5·4운동 이후 1910년대부터 개혁개방 이후인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이 기간에 베이징을 묘사한 시를 큰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분석 대상 작가들은 중국, 타이완, 한국 작가들을 대상으로 했는데, 이들 작품에 표출된 베이징 이미지와 이들의 표상이 시대가 흐를 수록 어떻게 변해가는지 그 변모 과정을 도출했다. 베이징 현대시를 베이징 성, 천안문(天安門) 광장, 전문역(前門驛), 호동(胡同), 공원과 신·구 베이징 사람들로 범주화하여 베이징의 빛과 그림자를 중국 현대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베이징에 산재한 인문·자연·조형 경 관에 대한 표상과 이미지가 어떻게 생성되고 전파되며 유통되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東學革命 및 淸日戰爭, 그리고 俄館播遷에 관한 蔡元培의 인식을 분 석했다. 1894년부터 1896년에 이르기 까지 그의 일기에는 東學革命, 淸日戰爭 관련 기사들이 빈번하게 출현한다. 1894년 6월 13일, 7월 乙亥朔, 8월 29일 癸卯, 9월 17일 庚寅, 9월 25일 戊戌, 10월 5일 戊申, 1896년 정월 30일 乙丑條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밝혔다. 둘 째 蔡元培가 스위스로 시찰 나갔을 때 李灌鎔과의 교류와 미국 하와이에서 申興雨와의 교류 현황을 분석했다. 이처럼 일기를 통해 새로운 자료를 발굴함으로써 한국과 중국에서의 비교 연구 지평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근현대 시기 동아시아의 사상·문화 지도를 그려 볼 수 있으리라 믿는다.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흰 쥐모델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투 여그룹(LJF-HE-L, LJF-HE-M, LJF-HE-H)에서 염증길이와 위액량이 control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위액량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로 위 산분비가 억제되어 공격인자 작용이 약해지는 원인과 펩신 의 활성도를 낮추는 원인으로 인하여 위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 의 위산 분비 억제 기능은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해 발현 되는 CCK-2r와 H2r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한 위산 생성 단계를 조절하여, proton pump 인 H+/K+ ATPase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며, 그 결과로 인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리고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은 점액을 증가시켜 위 점막을 보호하는 PGE2의 함량을 높여, 위 점막 보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불어 염증성 cytokine인 TNF-α와 IL-1β의 생성을 낮춰주어 염증 매개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LJF-HE)이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ntibio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BAAC) prepared from citrus frui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fishmeats made from pollack and ascidian fillet. We inoculated Salmonella typhi into fishmeats that were aferwards treated with BAAC varying the concentration level (50-500ppm) including the control not-treated with BAAC. While specimens were stored at 5 for designated period, we measured changes of total number of bacteria, peroxide level and textural properties. In addition, we performed organoleptic examination, focusing on appearance, texture and odor for fishmeats treated with BAAC and stored for designated period. For pollack and ascidian fishmeats, the initial total number of bacteria were 3.7l0CFU/g and 7.5l0CFU/g, respectively. After they were treated with 250 ppm of BAAC solution and stored for 5 days at 5, the figures reduced to 2.5l0CFU/g and 8.410CFU/g. No bacteria were found in fishmeats treated with above 500 ppm of BAAC, which remarkably proved antibiotic effect of BAAC solution. Furthermore, all the BAAC-treated specimens exhibited notable antioxidant effect. Fishmeats which were previously treated with 500 ppm of BAAC solution and stored for 30 days at 5, showed the lower peroxide level of 16.5 meq/kg than 68.9 meq/kg in the control of pollack and 21.2 meq/kg than 80.7 meq/kg in the control of ascidian. In the results of texture and organoleptic evaluation we could also observe good effects of BAAC on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fisher products.